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주거 복지정책 : 과제와 전망 = The housing welfare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293351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12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63.509519 판사항(23)

      • ISBN

        9788964542941 933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한국주거 복지정책 = The housing welfare policy : 과제와 전망 / 하성규 외 공저

      • 형태사항

        xiv, 504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공저자: 이성우, 황재희, 전희정, 서원석, 서종균, 김수현, 조덕호, 강미나, 김태섭, 박윤호, 윤원근, 임경수, 서종녀, 박미선, 배문호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원주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한밭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일대학교 세방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성결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성공회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협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사회적 약자와 주거빈곤 / 하성규 = 1
      • Ⅰ. 누가 사회적 약자인가 = 2
      • Ⅱ. 사회적 약자와 주거빈곤층 = 8
      • Ⅲ. 주택소요와 주거빈곤 = 13
      • 목차
      • 제1장 사회적 약자와 주거빈곤 / 하성규 = 1
      • Ⅰ. 누가 사회적 약자인가 = 2
      • Ⅱ. 사회적 약자와 주거빈곤층 = 8
      • Ⅲ. 주택소요와 주거빈곤 = 13
      • 제2장 주거복지: 개념과 발전배경 / 하성규 = 19
      • Ⅰ. 주거복지의 개념과 범위 = 19
      • Ⅱ. 삶의 질과 주거 = 21
      • Ⅲ. 사회정책과 주거 = 24
      • Ⅳ. 신자유주의와 주거복지 = 27
      • Ⅴ. 주거복지 모형과 동향 = 32
      • 제3장 한국의 주거복지정책 / 이성우 ; 황재희 = 37
      • Ⅰ. 서론 = 37
      • Ⅱ. 우리나라의 주거복지정책 = 40
      • Ⅲ. 주거복지정책의 시기별 전개 및 그 영향 = 43
      • 1. 6공화국 이전(1960∼1987) = 43
      • 2. 6공화국(1988∼1992) = 44
      • 3. 문민정부(1993∼1997) = 47
      • 4. 국민의 정부(1998∼2002) = 48
      • 5. 참여정부(2003∼2007) = 54
      • 6. 이명박 정부의 주거복지정책 및 현황(2008∼현재) = 62
      • Ⅳ. 주거복지정책의 발전방향 = 69
      • 제4장 북미국가의 주거복지정책: 미국, 캐나다 / 전희정 = 75
      • Ⅰ. 미국의 주거복지정책 = 76
      • 1. 공공임대주택 = 76
      • 2. 주택바우처 = 78
      • 3. 저소득주택 세금면제 = 80
      • 4. 노인과 장애우를 위한 주택 = 81
      • 5. 주정부와 지방정부의 주거복지정책과 비영리 분야의 역할 = 82
      • Ⅱ. 캐나다의 주거복지정책 = 85
      • 1. 사회주택 = 86
      • 2. 연방정부의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재개입 = 89
      • Ⅲ. 결론 및 정책 시사점 = 90
      • 제5장 유럽국가의 주택 및 주거복지 정책 / 서원석 = 97
      • Ⅰ. 유럽국가의 주택 및 주거복지정책 개요 = 97
      • Ⅱ. 유럽국가의 주택 및 주거수준 = 99
      • 1. 주거유형 = 99
      • 2. 주택의 가용성 = 100
      • 3. 주거의 수준 = 101
      • 4. 소득대비 주거비부담 수준 = 103
      • Ⅲ. 유럽국가의 주택 및 주거복지정책 현황 = 105
      • 1. 유럽국가의 사회주택 현황 = 105
      • 2. 유럽국가의 주택정책과 복지국가체계의 관계 = 106
      • 3. 유럽국가의 주택 및 주거복지정책 목표 = 108
      • Ⅳ. 유럽 주요국가의 주택 및 주거복지 정책: 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 111
      • 1. 개요 및 정책특징 = 111
      • 2. 영국의 정책 = 113
      • 3. 프랑스의 정책 = 124
      • Ⅴ. 결론 = 133
      • 제6장 주택에 살지 못하는 주거취약계층 / 서종균 = 137
      • Ⅰ. 빈곤한 1인 가구의 불안정한 거처 = 137
      • Ⅱ. 쪽방 = 139
      • 1. 형성과 변천 = 139
      • 2. 정의의 문제 = 140
      • 3. 규모에 대한 이해 = 142
      • 4. 생활 = 145
      • Ⅲ. 여관 및 여인숙 장기 거주 = 146
      • 1. 숙박업소 감소 추세 = 146
      • 2. 저렴한 숙박시설의 장기 거주 기능 증가 = 147
      • Ⅳ. 고시원 = 149
      • 1. 고시원 거주의 급증 = 149
      • 2. 고시원 증가의 메카니즘 = 153
      • Ⅴ. 정책대안 = 154
      • 1. 수요 변화를 고려한 주거전략 구상 = 154
      • 2. 다중주택 및 준주택에 대한 집행력 있는 최저기준 도입 = 156
      • 3. 공공의 지원을 받는 소규모 임대용 거처 확보 = 158
      • 제7장 노숙인과 주거복지 / 김수현 / 161
      • Ⅰ. 노숙인은 누구인가? = 161
      • 1. 거리에 자는 사람만 노숙인이 아니다 = 161
      • 2. 노숙인의 규모 = 164
      • 3. 노숙인들의 생활과 건강 = 165
      • Ⅱ. 노숙에 이르는 이유 = 167
      • 1. 노숙은 개인책임인가 사회구조 때문인가? = 167
      • 2. 우리나라의 노숙위험 구조 = 169
      • Ⅲ. 노숙인 대책의 방향 = 171
      • Ⅳ. 노숙인과 주거복지 = 174
      • 1. 노숙과 주거 논의 = 174
      • 2. 노숙인 주거복지 정책 과제 = 176
      • 제8장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노인주거복지 / 조덕호 = 181
      • Ⅰ. 서론 = 181
      • Ⅱ. 고령화 및 노인주거 현황 = 183
      • 1. 인구의 고령화 = 183
      • 2. 고령가구의 경제적 특성 = 187
      • Ⅲ. 노인가구의 주거복지의 이론적인 검토 = 188
      • 1. 주거빈곤 = 188
      • 2. 노인가구의 주거복지 = 189
      • Ⅳ. 노인주거와 주거복지지표의 기술적 검토 = 192
      • 1. 주거안정성 = 193
      • 2. 양적 지표 = 194
      • 3. 주거의 질적 지표 = 194
      • 4. 주거비 부담 = 195
      • 5. 주거빈곤 = 196
      • 6. 연금 및 보건의료지표 = 196
      • Ⅴ. 노인주거복지 분석 = 197
      • 1. 데이터 및 번수의 설정 = 197
      • 2. 이항로짓모형의 정립 = 198
      • 3. 주거복지지표를 활용한 노인가구 주거복지 = 201
      • Ⅵ. 결론 = 206
      • 제9장 장애인의 주거복지 / 강미나 = 211
      • Ⅰ. 서론 = 211
      • Ⅱ. 장애인가구의 가구특성 및 주거실태 = 216
      • 1. 장애인가구의 가구특성 = 216
      • 2. 장애인가구의 주거실태 = 219
      • 3. 시사점 = 226
      • Ⅲ. 현행 주거복지정책 및 문제점 = 226
      • 1. 장애인 주거복지정책의 개요 = 226
      • 2. 장애인 주택공급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 = 227
      • 3. 장애인 주거비지원 및 주택금융지원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 = 230
      • 4. 장애인 주택개조지원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 = 231
      • 5. 영국의 장애인 주거복지정책 현황과 시사점 = 235
      • Ⅳ. 장애인 주거복지정책 개선방향 = 239
      • 1. 장애인주거복지 장기계획 수립 = 239
      • 2. 장애인특성을 반영한 지원조건 및 선정기준 개선 = 240
      • 3. 장애인의 주거상황과 욕구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 242
      • 4. 자립생활지원 정책 강화 = 244
      • 제10장 재개발 원주민과 주거복지 / 김태섭 = 247
      • Ⅰ. 머리말 = 247
      • Ⅱ. 사회경제적 특성과 주거복지적 접근의 필요성 = 248
      • 1. 사회경제적 특성 = 248
      • 2. 주거복지 관점에서 정책 접근의 필요성 = 256
      • Ⅲ. 도시재정비사업과 주거복지 관련 주요 제도 = 257
      • 1. 주택의 규모와 건설 비율 = 257
      • 2. 순환정비방식 = 258
      • 3. 임시수용시설 설치 = 259
      • 4. 이주대책 및 손실보상 = 259
      • 5. 상가 세입자 대책 = 261
      • 6. 소결 = 262
      • Ⅳ. 도시재정비의 주거복지적 접근 = 262
      • 1. 주민편의 증진을 고려한 저층주거지 관리 = 262
      • 2. 주민을 고려한 정비계획수립 = 264
      • 3. 재정비사업의 주거복지적 접근 = 265
      • Ⅴ. 결론 = 270
      • 제11장 농어촌 주거실채와 주거복지 / 박윤호 ; 윤원근 = 273
      • Ⅰ. 서론 = 273
      • Ⅱ. 농어촌 주택 및 주거실태 현황 = 275
      • 1. 농어촌 주택의 개념과 범위 = 275
      • 2. 농어촌 주택의 정책환경 변화 = 277
      • 3. 농어촌 주택의 현황 = 280
      • 4. 농어촌 주거실태 = 286
      • Ⅲ. 농어촌주택 관련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 293
      • 1. 농어촌주택 정책의 개요 = 293
      • 2. 농어촌 주택 정책의 시기별 변화 = 294
      • Ⅳ. 농어촌 주택정책의 추진방향 및 과제 = 301
      • 1. 정책목표의 명확화 및 세분화 = 301
      • 2. 농어촌주택의 실태분석 및 계획수립 강화 = 302
      • 3. 고령화에 대응한 주택공급 및 주겁고지 확대 = 302
      • 4.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지원 강화 및 공공 임대주택의 확대 = 303
      • 5. 농어촌주택 관련 사업들의 통합적 연계 추진체계 구축 = 305
      • 6. 정책의 기본 원칙 정립 및 균형 잡힌 정책기조 유지 = 306
      • 제12장 사회적 약자의 주거복지와 지역사회 역할 / 임경수 = 311
      • Ⅰ. 서론 = 311
      • Ⅱ. 지역사회 차원에서 주거복지 의미 = 312
      • 1. 지역사회 개념과 주거문제 = 312
      • 2. 지역사회에서의 주거복지의 의미 = 315
      • Ⅲ. 지역사회에서 주거복지 실태 = 318
      • 1. 지역사회 주거취약계층의 일반적 특성 = 318
      • 2. 주거취약계층의 주거 실태 = 318
      • 3. 주거취약계층에 대한 주거복지 서비스 실태 = 323
      • Ⅳ. 결론: 지역사회 역할 정립 = 329
      • 1. 주거복지센터의 역할 = 333
      • 2. NGOㆍNPO의 역할 = 333
      • 3. 사회적 기업의 역할 = 334
      • 4. 지자체의 역할 = 334
      • 5. 전문가 집단의 역할 = 335
      • 제13장 공공임대주택과 사회적 배제 / 하성규 ; 서종녀 = 339
      • Ⅰ. 서론 = 339
      • Ⅱ. 이론적 배경 = 342
      • 1. 사회적 배제 개념 = 342
      • 2. 선행 연구 = 344
      • 3. 분석틀과 가설 설정 = 347
      • Ⅲ. 연구방법 = 349
      • 1. 조사도구 및 척도의 구성 = 349
      • 2. 자료대상 및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 350
      • Ⅳ. 실증분석 = 351
      • 1. 조사대상자의 특성 = 351
      • 2. 사회적 배제(주거지 차별) = 351
      • 3. 물리적, 사회경제적 그리고 공동체 특성별 영구임대주택단지 부정적 요소 및 이미지(가설 1) = 354
      • 4. 사회적 배제와 관련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가설 2) = 355
      •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356
      • 제14장 주택바우처 프로그램 / 박미선 = 365
      • Ⅰ. 주택바우처 프로그램의 특징과 도입 과정 = 365
      • 1. 주택바우처 프로그램의 특징 = 365
      • 2. 주택바우처 프로그램의 도입 과정 및 발전 = 367
      • Ⅱ. 바우처 프로그램의 절차 및 특징 = 371
      • 1. 절차 및 자격요건 = 371
      • 2. 주요 참여자 = 373
      • 3. 공정시장임대료 = 376
      • 4. 주택질 기준 = 379
      • Ⅲ. 바우처 프로그램을 통한 저소득층 주거복지 개선효과 = 380
      • 1. 가구 차원: 바우처 수혜자의 특성 = 380
      • 2. 근린 차원: 바우처를 통한 주거수준 개선 효과 = 384
      • 3. 조직 차원: 공공주택청의 바우처 운영 = 387
      • Ⅳ. 바우처 관련 저소득층 자립 지원 프로그램 = 390
      • 1. 자가소유지원 바우처 프로그램 = 390
      • 2. 가구자립 지원 프로그램 = 392
      • 3. 바우처를 통한 가정결합 프로그램 = 393
      • Ⅴ. 소결 및 시사점 = 394
      • 제15장 주거복지정책과 토지임대부 분양주택 / 배문호 = 405
      • Ⅰ.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의 의미 = 405
      • Ⅱ. 주거복지정책으로서 토지임대부 분양주택 = 408
      • 1. 주거복지정책과 토지임대주택 = 408
      • 2. 중간 주택점유시장의 형성 필요성 = 409
      • 3. 현행 토지임대주택 정책의 위치 = 412
      • Ⅲ.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의 도입배경 = 415
      • 1. 우리나라 주택시장의 특성과 변화 동향 = 415
      • 2. 택지공급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 420
      • 3.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 425
      • Ⅳ.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의 특징과 도입과정 = 434
      • 1. 주택공급방식 다양화로서 토지임대주택 = 434
      • 2. 토지임대주택 국내 도입과정 = 439
      • Ⅴ. 토지임대주택에 대한 주요 쟁점 = 445
      • 1. 택지 확보의 문제 = 446
      • 2. 재원 조달의 문제 = 448
      • 3. 저렴한 주택가격 유도를 위한 용적률 조정 = 449
      • 4. 분양가 및 기존주택의 하락 가능 = 451
      • 5. 수요자들의 수용가능성 = 452
      • Ⅵ. 토지임대부 분양주택 활성화 방안 = 454
      • 1. 토지임대주택의 활성화 방안의 모색 = 454
      • 2. 토지임대주택의 정책요소 우선순위 도출 = 455
      • 3. 공급자 측면에서의 정책 = 460
      • 4. 수요자 측면에서 정책 = 461
      • Ⅶ. 결론(정책 제언) = 464
      • 제16장 한국의 공공주택정책 평가와 과제 / 김성연 ; 한봉수 = 469
      • Ⅰ. 서론 = 469
      • Ⅱ. 정부의 주택시장 개입 = 470
      • 1. 정부 개입 = 470
      • 2. 사회적 약자의 주택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 개입 유형 = 473
      • 3. 공공주택 개념 정립 = 475
      • Ⅲ. 한국의 공공주택정책 흐름과 평가 = 478
      • 1. 군사정부(제3공화국∼제6공화국, 1962∼1992년) = 479
      • 2. 국민정부(1993∼1997년) = 484
      • 3. 국민의 정부(1998∼2002년) = 486
      • 4. 참여정부(2003∼2007년) = 487
      • 5. 현 정부(2008∼현재) = 491
      • 6. 소결 = 493
      • Ⅳ. 결론: 향후 한국 공공주택정책 과제 = 495
      • 1. 정책대상 세분화에 따른 수요자 밀착형 공공주택 공급 = 496
      • 2. 사회적 약자 발굴ㆍ집행을 통한 공공주택정책 정착화 = 497
      • 3. 공공주택 입주에서 관리까지 One-Stop 서비스 구현 = 497
      • 찾아보기 = 501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예스24.com

      한국주거복지정책

      판매중 28,000원 28,000원 (0%)

      종이책 구매

      0포인트 (0%)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한국주거복지정책: 과제와 전망 (과제와 전망)

      『한국주거복지정책: 과제와 전망』은 우리나라 주거복지정책의 발상과 인식의 전환을 위해 집필된 교재이다. 본문은 총 2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서는 주거복지의 이론적 논의와 외국의 주거복지정책 사례를 소개한다. 2부는 개별 주거복지정책의 주요 이슈를 다루며, 정부가 추진한 공공주택정책을 평가하고 풀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