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건설업 위기관리를 위한 시나리오 플래닝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Scenario Planning for Crisis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172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관리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을 활용하여 건설업과 관련한 위기를 예측/관리할 수 있는 전략적 대응 방안 수립 및 정량적 Signpost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수행 절차를 따른다.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건설업 유형별 리스크 분류/특성 및 대응 모델을 분석하고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을 정의한다. 둘째, 건설업 관련 위기 사례를 분석하여 Value Chain 별 리스크를 도출한다. 셋째, 시나리오 플래닝 설문을 통하여 위기관리 수준을 진단한다. 그 결과, 건설업에서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위기로는 비재무 리스크 중 수주/수행 리스크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전사적 관점의 예방 단계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시나리오 플래닝을 활용한 건설업 위기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 건설업에 적합한 위기관리 대응체계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관리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을 활용하여 건설업과 관련한 위기를 예측/관리할 수 있는 전략적 대응 방안 수립 및 정량적 Signpost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관리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을 활용하여 건설업과 관련한 위기를 예측/관리할 수 있는 전략적 대응 방안 수립 및 정량적 Signpost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수행 절차를 따른다.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건설업 유형별 리스크 분류/특성 및 대응 모델을 분석하고 시나리오 플래닝 기법을 정의한다. 둘째, 건설업 관련 위기 사례를 분석하여 Value Chain 별 리스크를 도출한다. 셋째, 시나리오 플래닝 설문을 통하여 위기관리 수준을 진단한다. 그 결과, 건설업에서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위기로는 비재무 리스크 중 수주/수행 리스크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전사적 관점의 예방 단계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시나리오 플래닝을 활용한 건설업 위기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 건설업에 적합한 위기관리 대응체계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rategic response plan and develop a quantitative Signpost measurement tool that can predict/manage cris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utilizing the crisis management scenario planning technique. To this end, the following performance procedures are followed. First,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isk classification/characteristics and response models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industry are analyzed, and scenario planning techniques are defined. Second, risks for each value chain are derived by analyzing crisis cas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rd, the level of crisis management is diagnosed through a scenario planning questionnaire. As a result, the crisis to be intensively manag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derived as an order/performance risk among non-financial risks, which is considered necessary in the prevention stage from a company-wide perspective. Therefore, a crisis management plan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using scenario planning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risis management response system tool suitable for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rategic response plan and develop a quantitative Signpost measurement tool that can predict/manage cris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utilizing the crisis management scenario planning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rategic response plan and develop a quantitative Signpost measurement tool that can predict/manage cris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utilizing the crisis management scenario planning technique. To this end, the following performance procedures are followed. First,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isk classification/characteristics and response models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industry are analyzed, and scenario planning techniques are defined. Second, risks for each value chain are derived by analyzing crisis cas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rd, the level of crisis management is diagnosed through a scenario planning questionnaire. As a result, the crisis to be intensively manag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derived as an order/performance risk among non-financial risks, which is considered necessary in the prevention stage from a company-wide perspective. Therefore, a crisis management plan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using scenario planning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risis management response system tool suitable for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futu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