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오늘날 국어교육에서 요구되는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창작교육의 장에서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은 문학교육에 속하고, 또 문학교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0863
-
2010년
Korean
문학교육 ; prefiguration ; refiguration ; genre grammar ; figur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 literary education ; novel education ; wrting fiction education ; self-realization ; experience ; fiction ; intentionality ; self reflection ; self understanding ; figurative cognition ; creative ; 창작교육 ; 허구 서사 창작 교육 ; 글쓰기 ; 세계 경험 ; 삶의 의미화 ; 현실 세계 ; 가능 세계 ; 허구 세계 ; 성찰 ; 창조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오늘날 국어교육에서 요구되는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창작교육의 장에서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은 문학교육에 속하고, 또 문학교육...
이 연구는 오늘날 국어교육에서 요구되는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창작교육의 장에서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은 문학교육에 속하고, 또 문학교육은 국어교육에 속한다.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의 내용 체계화를 위하여 많은 관점들이 동원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에게 의미 있는 경험은 곧 성장으로 이어진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허구 서사 창작 교육에서 학습자가 경험할 수 있는 바에 주목하고자 하였는데, 특히 세계 경험에 주목하였다.
허구 서사 창작을 위해서 학습자는 세 가지의 세계를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 허구 서사 창작의 과정은 각기 다른 세 세계를 경험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는 이 세 세계를 이른바 '현실 세계', '가능 세계', '허구 세계' 등으로 구조화하였다. 이 세 가지는 이 연구가 택한 방법적 전제이다. 허구 서사 창작의 과정은 삶의 글쓰기를 통해 이 세계들의 다른 위상을 경험하는 일인데, 이는 인간의 능동적인 의미 구축의 경험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은 '삶의 의미화'를 위한 소중한 경험이 된다. 그리고 허구 서사 창작은 삶에 대한 성찰과 창조의 지평 융합을 경험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러한 논의의 전제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소설 창작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소설 텍스트와 해당 작가들이 쓴 창작 노트 혹은 창작 후기 등이 검토자료이다. 소설 창작은 허구 서사 창작의 일반 원리를 가장 집약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는데, 국어교육에서 허구 서사 창작은 어디까지나 글쓰기로 수행되기 때문이다. 허구 서사 창작을 위해서는 우선 '현실 세계의 인식'이 요구된다. 다음은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가능 세계'의 모색이 일어난다. 세 번째로 모색한 가능 세계들 중에서 허구 서사 텍스트로 구현하기에 적합한 요소들을 모아 허구 세계를 구체화하는 일이다. 이는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일이면서 창작의 과정 전반에 작용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드러난 허구 서사 창작의 원리는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의 내용을 이루는 바탕이 된다. 창작의 수행이란 곧 교사와 학습자가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가야 하는 구체적인 실천태이다. 따라서 앞의 논의 결과가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의 내용으로 전이되는 것은 마땅한 일이다. 일반론적 차원에서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의 내용을 모색하고 구체화하였지만,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삶에 대한 성찰', '가능 세계의 모색', '허구 서사의 심미적 구성' 등이다. 물론 논문에서 제시한 그 각각의 구체적인 내용은 교사가 판단하여 적절한 수준에서 조정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earche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writing fictional narrativ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ield of the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 the education of writing fictional narrative belongs to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edu...
This paper searche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writing fictional narrativ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ield of the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 the education of writing fictional narrative belongs to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belong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Many perspectives can be approached to solve the systematiz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writing fictional narrative. In this paper, I tries to extrac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writing fictional narrative focusing the experience of world.
Students should recognize three worlds in mind to accomplish writing fictional narrative. I divide epistemic units of three worlds, so to speak, firstly ‘the actual world’, secondly ‘the possible worlds’, thirdly ‘the fictional world’. This figure is premise of this paper’s argument. I emphasize the experience of constructing world has the value of activity to make meaning of life. And I argue that writing fictional narrative is writing of synthesizing the two values, the reflection on life and the creation of lif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logical premise, I investigate the process of experiencing worlds in writing fictional narrative through examining the phenomena of authors’ writing fictions(or novels). Firsltly they recognize the actual world in a critical mind. Secondly they searches the possible world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ctual world. Thirdly they embody the fictional world in narrative text. This process is the serial experiences of constructing world. In this argument, I investigate the materials to interpret authors’ writing fictions, for example, literary fictional works, essays confessing the experience of writing fiction, and the methodological theory to write fic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result of argument in this paper, I construct the practical contents of performing the education of writing fictional narrativ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ducation of writing fictional narrative in class is performed by laying stress on students’ writing activity. Therefore the practical contents of performing the education of writing fictional narrative lay stress on students’ writing practice. Firstly ‘the reflecting on life’, ‘searching the counter-world’, ‘constructing the fictional narrative aesthetically’ These activities can be selected and manipulated by teacher as they may chance in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