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저주파 전기자극이 복부 중심근육 활성도 및 두께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03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복부 중심근육(core muscle)은 근골격계 및 신경계 환자의 재활에 있어 통증, 균형 및 상?하지의 기능적 움직임을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 운동근(global muscle)인 배곧은근과 고정근(local muscle)인 배가로근, 배속빗근 및 배바깥빗근의 두께 및 근력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저주파 전기자극기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대 여성 15명으로, 대조군과 실험군(기존제품 사용군 및 개발제품 사용군)으로 나뉘었다. 실험군에서는 저주파 전기자극을 4주 동안 주 4회, 30분씩 시행한 후 근전도 및 초음파 검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군, 기존제품 사용군, 개발제품 사용군의 세 군 중 개발제품 사용군에서 배곧 은근의 근활성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5). 초음파로 측정된 근육 두께 변화율에서는 기존제품 사용군에서는 배가로근이, 개발제품 사용군에서는 배가로근과 배바깥빗근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심각한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자발적인 근수축이 어렵거나 허리 수술 후 재활운동의 시작단계를 위해 근거 중심의 선택적 저주파 전기자극은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하나로써 활용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복부 중심근육(core muscle)은 근골격계 및 신경계 환자의 재활에 있어 통증, 균형 및 상?하지의 기능적 움직임을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 운동근(global muscle)인 배...

      복부 중심근육(core muscle)은 근골격계 및 신경계 환자의 재활에 있어 통증, 균형 및 상?하지의 기능적 움직임을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 운동근(global muscle)인 배곧은근과 고정근(local muscle)인 배가로근, 배속빗근 및 배바깥빗근의 두께 및 근력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저주파 전기자극기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대 여성 15명으로, 대조군과 실험군(기존제품 사용군 및 개발제품 사용군)으로 나뉘었다. 실험군에서는 저주파 전기자극을 4주 동안 주 4회, 30분씩 시행한 후 근전도 및 초음파 검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군, 기존제품 사용군, 개발제품 사용군의 세 군 중 개발제품 사용군에서 배곧 은근의 근활성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5). 초음파로 측정된 근육 두께 변화율에서는 기존제품 사용군에서는 배가로근이, 개발제품 사용군에서는 배가로근과 배바깥빗근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심각한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자발적인 근수축이 어렵거나 허리 수술 후 재활운동의 시작단계를 위해 근거 중심의 선택적 저주파 전기자극은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하나로써 활용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re muscle is the most crucial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and nervous problem, there is pain, imbalance and functional movement disorder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In this study, low-frequency electrical stimulator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increasing the activity of rectus abdominis (RA) and the thickness of transverse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us abdominis (IO), and external obliquus abdominis (EO). Fifteen female in their 20"s was divided into a experiment groups (tradi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developed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Low-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was performed in experimental groups for 4 times a week, 4 weeks. The muscle activities (RA) by EMG and muscle thickness (TrA, IO, EO) by Ultrasonogrphy imaging were measured, respectively. In the result, the muscle activity of RA and muscle thickness of TrA and EO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developed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p<.05). Therefore, the developed low-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is useful for rehabilitation with CNS and PNS subjects.
      번역하기

      Core muscle is the most crucial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and nervous problem, there is pain, imbalance and functional movement disorder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In this study, low-frequency electrical stimulator was d...

      Core muscle is the most crucial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and nervous problem, there is pain, imbalance and functional movement disorder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In this study, low-frequency electrical stimulator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increasing the activity of rectus abdominis (RA) and the thickness of transverse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us abdominis (IO), and external obliquus abdominis (EO). Fifteen female in their 20"s was divided into a experiment groups (tradi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developed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Low-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was performed in experimental groups for 4 times a week, 4 weeks. The muscle activities (RA) by EMG and muscle thickness (TrA, IO, EO) by Ultrasonogrphy imaging were measured, respectively. In the result, the muscle activity of RA and muscle thickness of TrA and EO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developed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p<.05). Therefore, the developed low-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is useful for rehabilitation with CNS and PNS subj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과
      • 4. 고찰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형, "최신 전기치료학" 대학서림 2011

      2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2008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2008

      3 강정현, "정상인에서 5가지 체간 안정화 운동자세가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복부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19 (19): 1-10, 2012

      4 Teyhen DS, "Ultrasound Characteristics of the Deep Abdominal Muscles During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90 : 761-767, 2009

      5 Hendriks O, "Ultra-reiz Current as an Adjunct to Standard Physiotherapy Treatment of the Acute Whiplash Patient" 1791 : 13-17, 1996

      6 Prentice WE, "Therapeutic Modalities in Rehabilitation" McGraw-Hill 2005

      7 Kisner C,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F.A. Davis Company 1996

      8 Richardson C, "Therapeutic Exercise for Lumbopelvic Stabilization" Churchill Livingstone 2004

      9 Escortell-Mayor E, "TEMA-TENS Group. Primary Care Randomized Clinical Trial: Manual Therapy Effectiveness in comparison with TENS in Patients with Neck Pain" 16 (16): 66-73, 2011

      10 Drysdale CL, "Surfac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Abdominal Muscles during Pelvic-tilt and Abdominal-hollowing Exercises" 39 (39): 32-36, 2004

      1 이재형, "최신 전기치료학" 대학서림 2011

      2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2008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2008

      3 강정현, "정상인에서 5가지 체간 안정화 운동자세가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복부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19 (19): 1-10, 2012

      4 Teyhen DS, "Ultrasound Characteristics of the Deep Abdominal Muscles During the Active Straight Leg Raise Test" 90 : 761-767, 2009

      5 Hendriks O, "Ultra-reiz Current as an Adjunct to Standard Physiotherapy Treatment of the Acute Whiplash Patient" 1791 : 13-17, 1996

      6 Prentice WE, "Therapeutic Modalities in Rehabilitation" McGraw-Hill 2005

      7 Kisner C,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F.A. Davis Company 1996

      8 Richardson C, "Therapeutic Exercise for Lumbopelvic Stabilization" Churchill Livingstone 2004

      9 Escortell-Mayor E, "TEMA-TENS Group. Primary Care Randomized Clinical Trial: Manual Therapy Effectiveness in comparison with TENS in Patients with Neck Pain" 16 (16): 66-73, 2011

      10 Drysdale CL, "Surfac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Abdominal Muscles during Pelvic-tilt and Abdominal-hollowing Exercises" 39 (39): 32-36, 2004

      11 Smania N, "Repetitive Magnetic Stimulation: A Novel Therapeutic Approach for Myofascial Pain Syndrome" 252 : 307-314, 2005

      12 Mannion AF, "Muscle Thickness Changes during Abdominal Hollowing:An Assessment of Between-day Measurement Error in Controls and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17 (17): 495-501, 2008

      13 Shumway-Cook A, "Motor Control"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14 Neumann D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Rehabilitation" Mosby 155-167, 2010

      15 Hou CR, "Immediate Effects of Various Physical Therapeutic Modalities on Cervical Myofascial Pain and Trigger Point Sensitivity" 83 : 1406-1414, 2002

      16 Kroeling P, "Electrotherapy for Neck Pain" 3 : 1-71, 2010

      17 Wadsworth H, "Electrophysical Agents in Physiotherapy" Science Press 347-372, 1980

      18 Longgobardi AG, "Effects of Auricula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Distal Extremity Pain: A Pilot Study" 69 : 10-17, 1989

      19 Mew R., "Comparison of Changes in Abdominal Muscle Thickness between Standing and Crook Lying during Active Abdominal Hollowing using Ultrasound Imaging" 14 (14): 690-695, 2009

      20 Urquhart DM, "Abdominal Muscle Recruitment during a Range of Voluntary Exercises" 10 (10): 144-153, 2005

      21 Walsh D, "A Double-blind Investigation of the Hypoalgesic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upon Experimentally Induced Ischaemic Pain" 61 (61): 39-45,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56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