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양육지원 정책과 출산율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OECD 33개국의 출산율을 종속변수로 현금지원 정책, 보육시설서비스 정책, 조세혜택 정책을 독립변수로 구조방정식을 실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443169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7-221(25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양육지원 정책과 출산율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OECD 33개국의 출산율을 종속변수로 현금지원 정책, 보육시설서비스 정책, 조세혜택 정책을 독립변수로 구조방정식을 실시...
본 연구에서는 양육지원 정책과 출산율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OECD 33개국의 출산율을 종속변수로 현금지원 정책, 보육시설서비스 정책, 조세혜택 정책을 독립변수로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출산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정책은 보육시설서비스 정책으로 나타났다. 정책비용에 따른 효과를 다시 한 번 비교해 보았을 때 현금지원 정책은 지원비용에 따라 효과의 증감이 일관되게 나타났으나 보육시설서비스 정책은 지원비용에 따라일관된 증감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금지원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부담 완화를 위한 적정 비용의 산정과 재정의 재분배 그리고 지원방법과시기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하고, 보육시설서비스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과 가정의 양립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하고 포괄적인 질적 보육시설서비스 정책이지속적으로 시행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고급편" 한나래출판사 2013
2 통계청, "한국의 인구는 왜 줄어들까?"
3 이현옥, "한국여성의 출산행태 결정요인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승권, "한국사회의 출산율 추락과 향후과제" 보건연구정보센터 1-17, 2003
5 이윤진, "핀란드의 육아정책" 육아정책개발센터 2009
6 Taipale Ilkka, "핀란드가 말하는 경쟁력 100" 비아북 2010
7 지신정, "프랑스의 동거 커플 양육비 지원이 부럽다" 2012
8 이충환, "출산장려정책 활성화에 따른 효과성 분석 :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9 노원, "출산장려 정책신뢰도가 출산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임연령(25-45) 여성표본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 (20): 257-281, 2010
10 서문희, "출산수준 제고를 위한 육아지원 내실화 방안 연구" 육아지원정책연구소 2011
1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고급편" 한나래출판사 2013
2 통계청, "한국의 인구는 왜 줄어들까?"
3 이현옥, "한국여성의 출산행태 결정요인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승권, "한국사회의 출산율 추락과 향후과제" 보건연구정보센터 1-17, 2003
5 이윤진, "핀란드의 육아정책" 육아정책개발센터 2009
6 Taipale Ilkka, "핀란드가 말하는 경쟁력 100" 비아북 2010
7 지신정, "프랑스의 동거 커플 양육비 지원이 부럽다" 2012
8 이충환, "출산장려정책 활성화에 따른 효과성 분석 :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9 노원, "출산장려 정책신뢰도가 출산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임연령(25-45) 여성표본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 (20): 257-281, 2010
10 서문희, "출산수준 제고를 위한 육아지원 내실화 방안 연구" 육아지원정책연구소 2011
11 정기혜, "주요국의 사회보장제도, 영국"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2012
12 최연혁, "주요국의 사회보장제도, 스웨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3 대한민국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2011
14 국회예산정책처, "정부 저출산 정책 평가" 신우시스템 2007
15 이충환, "전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 현황과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97-124, 2013
16 이명석, "저출산정책의 효과성 인식 조사: 주출산연령 여성을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 14 (14): 29-64, 2012
17 이인숙, "저출산의 요인분석과 사회복지적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67-90, 2005
18 조명덕, "저출산․고령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1-31, 2010
19 유계숙, "저출산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2007년 출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169-189, 2009
20 정성호, "저출산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35 (35): 31-52, 2012
21 이삼식, "저출산 정책 효과성 평가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2 이삼식, "저출산 시대 인구정책의 기본방향" 102 : 7-15, 2005
23 장혜경, "저출산 시대 여성과 국가대응전략" 한국여성개발원 2004
24 최준욱, "저출산 대응 재정 정책수단의 효과 및 영향분석" 한국조세연구원 2010
25 민희철, "저출산 극복 및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가족친화정책: 조세, 재정, 보육·교육, 여성 노동 분야에서의 정부의 역할" 한국조세연구원 2007
26 김현숙, "장기적 인적자본 형성을 위한 조세·재정 정책 : 출산율 결정요인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한국조세연구원 2006
27 이삼식, "일가정 양립정책과 보육정책 간 연계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8 이정원,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에 관한 연구 : 합리적-가치적 선택 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9 유해미, "영아 양육비용 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안: 양육수당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2011
30 현대경제연구원, "여성 경제활동 증가의 긍정적 효과-출산율과 경제성장률 제고 가능" 13-22, 2013
31 최성은, "양육지원 정책의 적정성 및 효과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재정평가센터 2009
32 홍승아, "양육수당제도의 젠더효과에 관한 연구"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1 (31): 85-119, 2011
33 최성은, "아동수당 도입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34 이삼식, "선진국의 인구문제 및 정책 방향 : 저출산 대책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35 최은영, "사회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선택과 과제" 162 : 23-36, 2007
36 진선미, "사회서비스 지속성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 및 참여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혼합다항로지스틱 회귀모형(mixed-effect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의 활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38-69, 2011
37 김수정, "복지국가 가족지원정책의 젠더적 차원과 유형" 한국사회학회 38 (38): 209-233, 2004
38 보건복지부, "보육사업안내" 문영사 2006
39 장진경,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출산 및 자녀관에 따른 출산정책 선호도 분석" 대한가정학회 43 (43): 165-183, 2005
40 염명배, "군집분석을 통한 저출산 원인 및 정책수요 도출 :핵심정책대상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통상학회 29 (29): 163-190, 2011
41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모형과 최신발전" 543-577, 2012
42 김은영, "가족정책과 출산율" FES 2010
43 D'Addio, A., "Trends and determinants of fertility rate: The role ofpolicy, In OECD 주요 저출산 대책 동향 및 효과성 평가를 위한 국제회의자료집" 대영기획 2008
44 Kalwij, Adriaan, "The impact family policy expenditure on fertility in western Europe" 47 (47): 503-519, 2010
45 Kohler, H-P., "The emergence of loest-low fertility in europe during the 1990s" 28 (28): 641-680, 2002
46 Gauthier, Anne Helene, "The State and the Family : A Comparative analysis of family policie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University Press 1998
47 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PF1.1)"
48 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PF1.1)"
49 고경환, "OECD 국가의 가족정책 유형화와 한국에의 함의: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뉴질랜드,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50 OECD, "OECD Family Database(PF1.1)"
51 OECD, "OECD Family Database(PF1.1)"
52 Sleebos, J. E., "Low fertility rate in OECD countries : Fact and policy responses" OECD 2003
53 Landais, C., "Le quotient familiale a-t-il stimule la natalite francaise" DEA 2003
54 Gauthier, A. H., "Family benefits and fertility : An econometric analysis" 51 : 259-306, 1997
55 OECD, "Doing Better for Families" OECD Publishing 2011
56 Smith R., "Childcare and early years survey of parents 2009" UK Department of Education 2010
57 Adsera, A., "Changing fertility rates in developed countries : The impact of labor market institutions" 17 (17): 17-43, 2004
58 Duclos, E., "A Natural Experiment on the Economics of Storks: Evidence on the Impact of Differential Family Policy on Fertility Rates in Canada" Center for Research on Economic Fluctuations and Employment (CREFE), University of Quebec 2001
59 보건복지부, "2013년도 보육료·양육수당 지원대상 선정 안내"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보육교사의인식조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 | 1.7 | 1.8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1.87 | 2.161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