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경색증후군 = Orbital Infarction Syndrome after Thrombectomy for Internal Carotid Artery Occlu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49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report a case of orbital infarction syndrome after thrombectomy for internal carotid artery (ICA) occlusion.
      Case summary: A 69-year-old female with a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was referred to our clinic because of acute right ocular pain and visual disturbance.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a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territory infarction following right ICA occlusion and her ocular symptoms developed 6 hours after thrombectomy treatment. The visual acuity was hand motion in the right eye and 20/20 in the left eye. Pupil dilation and a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were seen in her right eye. There was ptosis of the right eyelid, and the ocular motility examination showed all gaze limitations in the right eye. In fundus examinations, multiple white focal ischemic retinal lesions were observed in the right eye suggesting branch retinal artery occlusion. Slit lamp examination showed chemosis in the right eye.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ocular infarction syndrome due to micro-thromboembolism of the ophthalmic artery which developed after the thrombectomy.
      Conclusions: Orbital infarction syndrome can occur after thrombectom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orbital infarction when patients present with sudden-onset ocular pain, visual loss, and ocular movement limitations after the procedure.
      번역하기

      Purpose: To report a case of orbital infarction syndrome after thrombectomy for internal carotid artery (ICA) occlusion. Case summary: A 69-year-old female with a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was referred to our clinic because of acu...

      Purpose: To report a case of orbital infarction syndrome after thrombectomy for internal carotid artery (ICA) occlusion.
      Case summary: A 69-year-old female with a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was referred to our clinic because of acute right ocular pain and visual disturbance.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a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territory infarction following right ICA occlusion and her ocular symptoms developed 6 hours after thrombectomy treatment. The visual acuity was hand motion in the right eye and 20/20 in the left eye. Pupil dilation and a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were seen in her right eye. There was ptosis of the right eyelid, and the ocular motility examination showed all gaze limitations in the right eye. In fundus examinations, multiple white focal ischemic retinal lesions were observed in the right eye suggesting branch retinal artery occlusion. Slit lamp examination showed chemosis in the right eye.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ocular infarction syndrome due to micro-thromboembolism of the ophthalmic artery which developed after the thrombectomy.
      Conclusions: Orbital infarction syndrome can occur after thrombectom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orbital infarction when patients present with sudden-onset ocular pain, visual loss, and ocular movement limitations after the proced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경색증후군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당뇨, 고혈압의 병력이 있던 69세 여자 환자가 신경외과에서 우측 중대뇌동맥 경색 및 우측 속목동맥의 폐쇄로 혈전제거술을 받은 후 6시간 뒤부터 갑자기 발생한 우측 안구통증 및 시력저하를 주소로 안과에 의뢰되었다.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안전수동, 좌안 20/20이었고, 동공반응검사에서 우안의 상대구심동공운동장애가 관찰되었다. 우안의 눈꺼풀처짐과 우안의 전 방향의 안구운동장애가 관찰되었다.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우안의 결막부종이 관찰되었으며, 안저검사에서 우안의 망막에 허혈로 인한 다발성의 국소창백 병변이 관찰되어 망막동맥폐쇄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혈관조영에서 안동맥의 혈류 지체 소견이 관찰되었다. 급성으로 나타난 상기 안과 증상 및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속목동맥의 혈전제거술 후 발생한 안동맥의 미세혈전색전증으로 인한 안와경색증후군으로 진단하였다.
      결론: 안와경색증후군은 혈전제거술의 합병증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 후 환자가 갑작스러운 안통, 시력저하 및 안구운동장애를 호소한다면 안와경색증후군의 발생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목적: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경색증후군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당뇨, 고혈압의 병력이 있던 69세 여자 환자가 신경외과에서 우...

      목적: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경색증후군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당뇨, 고혈압의 병력이 있던 69세 여자 환자가 신경외과에서 우측 중대뇌동맥 경색 및 우측 속목동맥의 폐쇄로 혈전제거술을 받은 후 6시간 뒤부터 갑자기 발생한 우측 안구통증 및 시력저하를 주소로 안과에 의뢰되었다.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안전수동, 좌안 20/20이었고, 동공반응검사에서 우안의 상대구심동공운동장애가 관찰되었다. 우안의 눈꺼풀처짐과 우안의 전 방향의 안구운동장애가 관찰되었다.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우안의 결막부종이 관찰되었으며, 안저검사에서 우안의 망막에 허혈로 인한 다발성의 국소창백 병변이 관찰되어 망막동맥폐쇄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혈관조영에서 안동맥의 혈류 지체 소견이 관찰되었다. 급성으로 나타난 상기 안과 증상 및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속목동맥의 혈전제거술 후 발생한 안동맥의 미세혈전색전증으로 인한 안와경색증후군으로 진단하였다.
      결론: 안와경색증후군은 혈전제거술의 합병증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 후 환자가 갑작스러운 안통, 시력저하 및 안구운동장애를 호소한다면 안와경색증후군의 발생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섭, "필러 주입 후 발생한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뇌경색과 안동맥폐쇄 1예" 대한안과학회 56 (56): 285-290, 2015

      2 이은철, "양관상 피부편의 압박에 의한 안와경색증후군 1례" 대한안과학회 43 (43): 23-800, 2002

      3 Miller NR, "Walsh and Hoyt's Clinical Neuro-ophthalmology the essentials" Wolters Kluwer 44-48, 2015

      4 Hayreh SS, "The ophthalmic artery: III. Branches" 46 : 212-247, 1962

      5 Sivalingam A, "The ocular ischemic syndrome. II. Mortality and systemic morbidity" 13 : 187-191, 1989

      6 The Korean Retina Society, "Retina" JIN & JPNC 308-, 2015

      7 Kim SN, "Panophthalmoplegia and vision loss after cosmetic nasal dorsum injection" 21 : 678-680, 2014

      8 Brinjikji W, "Orbital infarction syndrome following mechanical thrombectomy secondary to embolization in new territory" 117 : 326-329, 2018

      9 Sio WS, "Orbital infarction syndrome after multiple percutaneous sclerotherapy sessions for facial low-flow vascular malformation :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64 : 595-597, 2016

      10 Borruat FX, "Orbital infarction syndrome" 100 : 562-568, 1993

      1 이원섭, "필러 주입 후 발생한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뇌경색과 안동맥폐쇄 1예" 대한안과학회 56 (56): 285-290, 2015

      2 이은철, "양관상 피부편의 압박에 의한 안와경색증후군 1례" 대한안과학회 43 (43): 23-800, 2002

      3 Miller NR, "Walsh and Hoyt's Clinical Neuro-ophthalmology the essentials" Wolters Kluwer 44-48, 2015

      4 Hayreh SS, "The ophthalmic artery: III. Branches" 46 : 212-247, 1962

      5 Sivalingam A, "The ocular ischemic syndrome. II. Mortality and systemic morbidity" 13 : 187-191, 1989

      6 The Korean Retina Society, "Retina" JIN & JPNC 308-, 2015

      7 Kim SN, "Panophthalmoplegia and vision loss after cosmetic nasal dorsum injection" 21 : 678-680, 2014

      8 Brinjikji W, "Orbital infarction syndrome following mechanical thrombectomy secondary to embolization in new territory" 117 : 326-329, 2018

      9 Sio WS, "Orbital infarction syndrome after multiple percutaneous sclerotherapy sessions for facial low-flow vascular malformation :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64 : 595-597, 2016

      10 Borruat FX, "Orbital infarction syndrome" 100 : 562-568, 1993

      11 Terelak-Borys B, "Ocular ischemic syndrome–a systematic review" 18 : RA138-RA144, 2012

      12 Bogousslavsky J, "Isolated complete orbital infarction : a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syndrome" 31 : 72-76, 1991

      13 Noh CH, "Five cases of orbital infarction syndrome caused by compression of surgical scalp flap" 5 : 53-57, 2003

      14 Remington LA, "Clinical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visual system" Elsvier 202-217, 2012

      15 Maier P, "Bilateral orbital infarction syndrome after bifrontal craniotomy" 125 : 422-423, 2007

      16 Yang SW, "A case of orbital infarction syndrome in rhino-orbitocerebral mucormycosis" 40 : 1116-1121, 1999

      17 Chung J, "A case of orbital infarction syndrome after surgery for intracranial aneurysm" 40 : 1684-1688,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366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