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주의의 본질에 대한 탐색을 기반으로 언어 이데올로기의 시각에서 계승어 교육이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철학적 관점에서 탐구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에서의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계승어(heritage language)는 지역에서 통용되는 공식적인 언어와는 다른, 특정 개인이나 가족, 공동체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이는 제2언어(second language)나 외국어(foreign language)와는 다른 개념으로 계승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태생적으로 공유하는 언어 의식이 존재한다. 즉, ‘계승어’란 다문화 사회에서 국가의 공용어 이외에 이주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말하며, 국적이나 언어 접촉, 구사능력과는 상관없이 가족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언어를 말한다.
      모든 언어 교육이 그러하겠지만, 특히 계승어 교육에서는 언어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작용한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언어의 구현 양상에 있어서 변화를 초래하기도 하는데, 흔히 언어 행위에 반영된 언어 이데올로기의 경우 언어 변화의 방향을 정당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계승어에 대해 언어적 태도와 행동을 어떻게 조정하는지, 또한 계승어 교육에 있어서 언어 이데올로기는 어떠한 방향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탐구하는 작업은 계승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을 설정함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할 필수 과정이다.
      계승어 교육과 관련한 언어 이데올로기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계승어에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 긍정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언어의 사용을 장려하고 전수하려는 친계승어 이데올로기이며, 또 다른 하나는 계승어를 공용어 습득의 간섭 요인으로 간주하여 주류 사회로의 빠른 적응과 흡수를 위해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반계승어 이데올로기이다.
      계승어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도는 한국 사회와의 능동적 통합을 구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가치를 지닌다.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소수 언어 습득 및 사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켜야 한다. 둘째, 다문화 가족 내 소통을 위한 ‘가족 언어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셋째, 언어 습득을 위한 가족 내 역할 구조를 설정하여야 한다. 넷째, 다문화 가족 외부에서의 계승어 소통 기회를 확대하고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주의의 본질에 대한 탐색을 기반으로 언어 이데올로기의 시각에서 계승어 교육이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철학적 관점에서 탐구함으로써 다문...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주의의 본질에 대한 탐색을 기반으로 언어 이데올로기의 시각에서 계승어 교육이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철학적 관점에서 탐구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에서의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계승어(heritage language)는 지역에서 통용되는 공식적인 언어와는 다른, 특정 개인이나 가족, 공동체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이는 제2언어(second language)나 외국어(foreign language)와는 다른 개념으로 계승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태생적으로 공유하는 언어 의식이 존재한다. 즉, ‘계승어’란 다문화 사회에서 국가의 공용어 이외에 이주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말하며, 국적이나 언어 접촉, 구사능력과는 상관없이 가족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언어를 말한다.
      모든 언어 교육이 그러하겠지만, 특히 계승어 교육에서는 언어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작용한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언어의 구현 양상에 있어서 변화를 초래하기도 하는데, 흔히 언어 행위에 반영된 언어 이데올로기의 경우 언어 변화의 방향을 정당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계승어에 대해 언어적 태도와 행동을 어떻게 조정하는지, 또한 계승어 교육에 있어서 언어 이데올로기는 어떠한 방향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탐구하는 작업은 계승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을 설정함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할 필수 과정이다.
      계승어 교육과 관련한 언어 이데올로기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계승어에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 긍정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언어의 사용을 장려하고 전수하려는 친계승어 이데올로기이며, 또 다른 하나는 계승어를 공용어 습득의 간섭 요인으로 간주하여 주류 사회로의 빠른 적응과 흡수를 위해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반계승어 이데올로기이다.
      계승어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도는 한국 사회와의 능동적 통합을 구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가치를 지닌다.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소수 언어 습득 및 사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켜야 한다. 둘째, 다문화 가족 내 소통을 위한 ‘가족 언어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셋째, 언어 습득을 위한 가족 내 역할 구조를 설정하여야 한다. 넷째, 다문화 가족 외부에서의 계승어 소통 기회를 확대하고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rections of heritage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by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ideology and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 society should embrace the values and briefs of minority group to attain the positive social integration. Especially, in language usage the mainstream society need to take note the language ideologies. Because the language ideology controls the linguistic attitude and behavior about heritage language.
      Language ideologies operating in heritage language education can be gauged on a continuum of pro-heritage language ideology on one end and anti-heritage language ideology on the other. The former promotes the use of heritage language by authorizing the meaningful valuation individually and socially.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opposes the heritage language education because it interferes in early adaptation to mainstream society.
      The directions for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re as below: 1) the spread of positive awareness about the acquisition and use of minority language, 2) the establishment of family language policy, 3) the setting up family role structure, and 4)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opportunity through heritage langua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rections of heritage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by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ideology and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 society should embrace the values and briefs of minori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rections of heritage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by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ideology and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 society should embrace the values and briefs of minority group to attain the positive social integration. Especially, in language usage the mainstream society need to take note the language ideologies. Because the language ideology controls the linguistic attitude and behavior about heritage language.
      Language ideologies operating in heritage language education can be gauged on a continuum of pro-heritage language ideology on one end and anti-heritage language ideology on the other. The former promotes the use of heritage language by authorizing the meaningful valuation individually and socially.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opposes the heritage language education because it interferes in early adaptation to mainstream society.
      The directions for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re as below: 1) the spread of positive awareness about the acquisition and use of minority language, 2) the establishment of family language policy, 3) the setting up family role structure, and 4)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opportunity through heritage languag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