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의 테러행위 예방을 위한 정보보안 수집에 대한 검토 = Review on the Information Security Collection to Prevent Terrorism in German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9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1년 9월 11일 미국에서 발생한 동시 다발 테러 사건 이후 대테러 입법에 있어서는 테러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정보 수집에 역점을 두게 되었고, 경찰과 정보기관에게는 개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권한이 다양한 형태로 주어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국민의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다양한 정보 보안 수집 활동이 법제화 된 것이다. 이에 연방헌법재판소는 2013년 대테러데이터법에 대해 헌법불합치 판결을 내렸는데, 이는 기본적으로는 완벽한 감시 사회라는 틀을 어떻게 제거할 것인가라는 것이 근저에 깔려있는 판결이었다. 또한 온라인 수색은 합리적인 기술적 수단의 확보와 이를 통한 국민의 기본권을 최소화 하는 비례성 있는 범위를 구현해 내기 위해 ‘중한 범죄’나 ‘특별한 상황’을 요구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GPS 기술을 이용하는 수사에 있어서도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위해 연방헌법재판소는 2005년 ‘보충성의 원칙’이나 ‘중대한 범죄’의 경우에 한하여 그 수사를 허용함으로써 경찰 및 정보기관의 대테러 예방을 위한 정보 수집 활동의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번역하기

      2001년 9월 11일 미국에서 발생한 동시 다발 테러 사건 이후 대테러 입법에 있어서는 테러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정보 수집에 역점을 두게 되었고, 경찰과 정보기관에게는 개인 정보를 ...

      2001년 9월 11일 미국에서 발생한 동시 다발 테러 사건 이후 대테러 입법에 있어서는 테러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정보 수집에 역점을 두게 되었고, 경찰과 정보기관에게는 개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권한이 다양한 형태로 주어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국민의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다양한 정보 보안 수집 활동이 법제화 된 것이다. 이에 연방헌법재판소는 2013년 대테러데이터법에 대해 헌법불합치 판결을 내렸는데, 이는 기본적으로는 완벽한 감시 사회라는 틀을 어떻게 제거할 것인가라는 것이 근저에 깔려있는 판결이었다. 또한 온라인 수색은 합리적인 기술적 수단의 확보와 이를 통한 국민의 기본권을 최소화 하는 비례성 있는 범위를 구현해 내기 위해 ‘중한 범죄’나 ‘특별한 상황’을 요구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GPS 기술을 이용하는 수사에 있어서도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위해 연방헌법재판소는 2005년 ‘보충성의 원칙’이나 ‘중대한 범죄’의 경우에 한하여 그 수사를 허용함으로써 경찰 및 정보기관의 대테러 예방을 위한 정보 수집 활동의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rmany focused on collecting information to prevent terrorism in anti-terrorism legislation after the simultaneous terrorist attacks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1, 2001. In addition, police and intelligence agencies have had various forms of authority to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As a result, various information security collection activities are enacted that will lead to the violation of the privacy of citizens. In 2013,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issued a constitutional disagreement on the Anti-Terrorism Data Act, which basically laid the foundation for how to remove the framework of a complete surveillance society.
      In addition, online search requires “serious criminal offense” or “special circumstances” in order to secure a rational range of technical means and minimize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Similarly, in the investigation of GPS technology,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allows the investigation only in the case of “subsidiarity principle” or “serious criminal offense” in 2005 to collect information to prevent terrorism by police and intelligence agencies.
      번역하기

      Germany focused on collecting information to prevent terrorism in anti-terrorism legislation after the simultaneous terrorist attacks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1, 2001. In addition, police and intelligence agencies have had various forms of a...

      Germany focused on collecting information to prevent terrorism in anti-terrorism legislation after the simultaneous terrorist attacks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1, 2001. In addition, police and intelligence agencies have had various forms of authority to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As a result, various information security collection activities are enacted that will lead to the violation of the privacy of citizens. In 2013,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issued a constitutional disagreement on the Anti-Terrorism Data Act, which basically laid the foundation for how to remove the framework of a complete surveillance society.
      In addition, online search requires “serious criminal offense” or “special circumstances” in order to secure a rational range of technical means and minimize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Similarly, in the investigation of GPS technology,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allows the investigation only in the case of “subsidiarity principle” or “serious criminal offense” in 2005 to collect information to prevent terrorism by police and intelligence agenc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영, "효율적이고 실무에 적합한 형사절차의 구성에 관한 법률(2017.8.17.): 암호통신감청과 온라인 수색 등" 2017 : 1-13, 2017

      2 이원상,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디지털 증거 확보를 위한 소고" 대검찰청 (38) : 174-217, 2013

      3 허황, "최근 개정된 독일 형사소송법 제100조b의 온라인 수색(Online-Durchsuchung)과 제100조a의 소스통신감청(Quellen-Telekommunikationsüberwachung)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58) : 94-141, 2018

      4 이원상, "온라인 수색(Online-Durchsuchung)에 대한 고찰 - 독일의 새로운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형사법학회 20 (20): 335-356, 2008

      5 김현우, "독일의 테러대책에 대한 검토" 한국테러학회 11 (11): 211-229, 2018

      6 박희영, "독일에 있어서 경찰에 의한 '예방적' 온라인 수색의 위헌여부" 경찰대학 9 (9): 185-209, 2009

      7 김성룡, "독일 형사소송법 최근 개정의 형사정책적 시사 - 수사절차를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29 (29): 247-275, 2017

      8 김현우, "독일 정보기관의 대테러정책에 대한 의회의 통제방안 연구" 한국테러학회 11 (11): 185-204, 2018

      9 "https://www.heise.de/newsticker/meldung/Online-Durchsuchung-auch-in-der-Schweiz-ge-fordert-144823.html"

      10 "https://www.admin.ch/opc/de/classified-compilation/20122728/index.html"

      1 박희영, "효율적이고 실무에 적합한 형사절차의 구성에 관한 법률(2017.8.17.): 암호통신감청과 온라인 수색 등" 2017 : 1-13, 2017

      2 이원상,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디지털 증거 확보를 위한 소고" 대검찰청 (38) : 174-217, 2013

      3 허황, "최근 개정된 독일 형사소송법 제100조b의 온라인 수색(Online-Durchsuchung)과 제100조a의 소스통신감청(Quellen-Telekommunikationsüberwachung)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58) : 94-141, 2018

      4 이원상, "온라인 수색(Online-Durchsuchung)에 대한 고찰 - 독일의 새로운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형사법학회 20 (20): 335-356, 2008

      5 김현우, "독일의 테러대책에 대한 검토" 한국테러학회 11 (11): 211-229, 2018

      6 박희영, "독일에 있어서 경찰에 의한 '예방적' 온라인 수색의 위헌여부" 경찰대학 9 (9): 185-209, 2009

      7 김성룡, "독일 형사소송법 최근 개정의 형사정책적 시사 - 수사절차를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29 (29): 247-275, 2017

      8 김현우, "독일 정보기관의 대테러정책에 대한 의회의 통제방안 연구" 한국테러학회 11 (11): 185-204, 2018

      9 "https://www.heise.de/newsticker/meldung/Online-Durchsuchung-auch-in-der-Schweiz-ge-fordert-144823.html"

      10 "https://www.admin.ch/opc/de/classified-compilation/20122728/index.html"

      11 成 鮮 濟, "e-사회에서 테러 및 범죄예방을 위한 감청과 프라이버시의 갈등 조정 방안 연구" 한국비교공법학회 8 (8): 163-190, 2007

      12 "BvR 1215/07"

      13 "BVerfGE 112, 304"

      14 "BVerfG, Urteil vom 15.12.1983, 1 BvR 209, 269, 362, 420, 440, 484/83"

      15 "BVerfG 1 BvR 370/07"

      16 "BGHSt 46, 266"

      17 "BGBl. I S. 3409"

      18 "BGBl. I S. 3202"

      19 "BGBl. I S. 3083"

      20 "BGBl. I S. 250"

      21 "BGBl. I S. 23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Terror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Terrorism Studies
      2008-04-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테러연구학회 -> 한국테러학회
      영문명 : Korean Terror Studies Association -> Korean Terror Associ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5 0.53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