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범, "李陸史의 독립운동 시-공간(1926~1933)과 義烈團 문제 ― 通說의 분석적 재검토를 겸하여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4) : 321-359, 2009
2 장세윤, "허형식, 북만주 최후의 항일 투쟁가―“백마 타고 오는 초인”" (27) : 2007
3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31-, 1997
4 김용직, "한국현대시연구" 일지사 1974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5-, 2005
6 포항시사편찬위원회, "포항시사" 포항시 1-3, 2010
7 김진국, "최신 와인학개론" 백산출판사 2013
8 이육사선생기념비건립위원회, "청포도" 범조사 1964
9 이육사, "청포도" 1939
10 이육사, "질투의 반군성" 1937
1 김영범, "李陸史의 독립운동 시-공간(1926~1933)과 義烈團 문제 ― 通說의 분석적 재검토를 겸하여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4) : 321-359, 2009
2 장세윤, "허형식, 북만주 최후의 항일 투쟁가―“백마 타고 오는 초인”" (27) : 2007
3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31-, 1997
4 김용직, "한국현대시연구" 일지사 1974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5-, 2005
6 포항시사편찬위원회, "포항시사" 포항시 1-3, 2010
7 김진국, "최신 와인학개론" 백산출판사 2013
8 이육사선생기념비건립위원회, "청포도" 범조사 1964
9 이육사, "청포도" 1939
10 이육사, "질투의 반군성" 1937
11 정우택,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와 이육사, 그리고 <꽃>" 한중인문학회 (46) : 1-22, 2015
12 강만길,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와 육사 이활" 8 : 1995
13 이육사, "절정" 1940
14 신석초, "이육사의 인물" (가을) : 1974
15 신석초, "이육사의 생애와 시" 1964
16 강순식, "이육사와 초인의 고향 원천" 3 : 1988
17 "이육사문학관"
18 김희곤, "이육사 평전" 푸른역사 2010
19 김용직, "이육사 전집" 깊은샘 2004
20 김영범, "의열단·민족혁명당·조선의용대의 영혼 윤세주" 역사공간 2013
21 이육사, "은하수" 1940
22 이원조, "육사시집" 서울출판사 1946
23 박현수, "원전주해 이육사 시전집" 예옥 2008
24 이육사, "연인기" 1941
25 이육사, "연륜" 1941
26 김학주, "새로 옮긴 시경" 명문당 2010
27 정병모, "빈풍칠월도류 회화와 조선조 후기 속화" (174) : 1987
28 김구, "백범일지" 돌베개 2002
29 심송화, "백마 타고 사라진 허형식 할아버지"
30 杜甫, "두시언해" 대제각 1985
31 김도형, "동학민요 파랑새노래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67) : 225-245, 2008
32 김임구, "나르시스-디오니소스적 祝祭와 비극적 현실수용"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0 : 1998
33 이육사, "계절의 오행"
34 구본현, "漢詩 絶句의 기승전결 구성에 대하여" 국문학회 (30) : 265-292, 2014
35 杜甫, "杜詩鏡銓" 문진 2013
36 杜甫, "杜詩詳註" 中華書局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