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of Music Teachers in an Inquiry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2441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eply understand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of music teachers participating in an inquiry community. With this purpose, the study deals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is the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in an inquiry community among music teacher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in an inquiry community among music teachers?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in an inquiry community among music teachers?
      This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case study design with five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in the inquiry community organized by the researcher. They learned the 2015 and 2022 revised (music) national curriculum together for six months, from March to August 2024(15 times in total), and implemented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classrooms at their schools, cycling between inquiry and practice.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were based on the 2015 revised (music) national curriculum. The teachers shared and reflected on each other’s instruction,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m again. In this study, a lot of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non-participant observations, and field documents to explore the teachers’ inquiry experiences in the community and practice experiences in individual school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data, the results a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showed diverse changes in practice, such as “strategic practice” by mobilizing available resources, “compromising practice” by making intra-curricular linkage instead of inter-curricular one, “integrative practice” by connecting what is and is not in the national curriculum, “challenging practice” by doing what they cannot do well, and “reflective practice” by using their own or other teachers’ instructions as a mirror. These practice aspects of teachers were different from those before they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Second, there were characteristics of “collegiality”, “complexity”, and “duality” in practicing the national curriculum. The teachers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ed in others’ instruction as partners and reviewers. In this process, several factors facilitated or constrained the connection between inquiry and practice, including individual factors such as philosophy of teaching, music expertise, and personal disposition; school factors such as school curriculum, music room environment, and student characteristics and levels; and out-of-school factors such as class hours and other educational policies. In addition, the quality and nature of relationships within the community acted as a catalyst for innovation and a shackle on autonomy, thus leading to continuous or temporary changes in their practice.
      Third, the teachers constructed new knowledge beyond existing knowledge by moving from knowing to acting and from acting to knowing again. They positioned themselves as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ranscending the dichotomy between inquiry and practice. Moreover, the inquiry community appeared to mediate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eachers, serving as a network where they could collaborate and deliberate for improvement in their practice. Consequently, the teachers actively interpreted and enacted the national curriculum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They indicate the need for further exploration to multilaterally examine music teachers’ practice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ile previous research has mostly focused on the competencies of individual teachers in terms of implementation outcom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involved in the process, thus leading to practice differences among teachers. Specifically, some factors that have not been found in earlier studies, such as personal disposition, school curriculum, class hours, and other policies, influenced teachers’ practice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xploring what is required of music teachers in implementing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lso propose that music teachers should consider collaborative inquiry in communities when implementing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is study, teachers investigated exist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the inquiry community, reflecting on their own or others’ practices. This way of learning changed teachers’ thoughts, attitudes, and behaviors regarding the national curriculum. These results imply that music teachers recognize the need for critical, collaborative, and transformative inquiry in the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share their inquiry findings with other teachers within and beyond the schools.
      Furthermore, the results recommend that physical foundations and instrumentals be established to facilitate music teachers’ collaborative inquiry and reflective practice. The study found that the inquiry community outside the schools was effective for music teachers who have few colleagues within the schools, showing a need to expand collaborative spaces beyond schools and emphasizing cooperation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o support curriculum implementation.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link or integrate the inquiry communities with existing teacher learning rather than to create a new policy that considers teachers as the object of the policy.
      In summary,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provid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by focusing on the inquiry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in-service teacher training. Additionally,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inquiry community were explored to reveal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eacher practice. It is noteworthy that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music teachers’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based on the lens of teacher agency. Moreover, This study would offer foundational data to support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implement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eply understand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of music teachers participating in an inquiry community. With this purpose, the study deals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is the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pra...

      This study aims to deeply understand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of music teachers participating in an inquiry community. With this purpose, the study deals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is the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in an inquiry community among music teacher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in an inquiry community among music teachers?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in an inquiry community among music teachers?
      This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case study design with five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in the inquiry community organized by the researcher. They learned the 2015 and 2022 revised (music) national curriculum together for six months, from March to August 2024(15 times in total), and implemented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classrooms at their schools, cycling between inquiry and practice.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were based on the 2015 revised (music) national curriculum. The teachers shared and reflected on each other’s instruction,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m again. In this study, a lot of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non-participant observations, and field documents to explore the teachers’ inquiry experiences in the community and practice experiences in individual school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data, the results a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showed diverse changes in practice, such as “strategic practice” by mobilizing available resources, “compromising practice” by making intra-curricular linkage instead of inter-curricular one, “integrative practice” by connecting what is and is not in the national curriculum, “challenging practice” by doing what they cannot do well, and “reflective practice” by using their own or other teachers’ instructions as a mirror. These practice aspects of teachers were different from those before they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Second, there were characteristics of “collegiality”, “complexity”, and “duality” in practicing the national curriculum. The teachers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ed in others’ instruction as partners and reviewers. In this process, several factors facilitated or constrained the connection between inquiry and practice, including individual factors such as philosophy of teaching, music expertise, and personal disposition; school factors such as school curriculum, music room environment, and student characteristics and levels; and out-of-school factors such as class hours and other educational policies. In addition, the quality and nature of relationships within the community acted as a catalyst for innovation and a shackle on autonomy, thus leading to continuous or temporary changes in their practice.
      Third, the teachers constructed new knowledge beyond existing knowledge by moving from knowing to acting and from acting to knowing again. They positioned themselves as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ranscending the dichotomy between inquiry and practice. Moreover, the inquiry community appeared to mediate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eachers, serving as a network where they could collaborate and deliberate for improvement in their practice. Consequently, the teachers actively interpreted and enacted the national curriculum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They indicate the need for further exploration to multilaterally examine music teachers’ practice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ile previous research has mostly focused on the competencies of individual teachers in terms of implementation outcom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involved in the process, thus leading to practice differences among teachers. Specifically, some factors that have not been found in earlier studies, such as personal disposition, school curriculum, class hours, and other policies, influenced teachers’ practice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xploring what is required of music teachers in implementing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lso propose that music teachers should consider collaborative inquiry in communities when implementing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is study, teachers investigated exist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the inquiry community, reflecting on their own or others’ practices. This way of learning changed teachers’ thoughts, attitudes, and behaviors regarding the national curriculum. These results imply that music teachers recognize the need for critical, collaborative, and transformative inquiry in the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share their inquiry findings with other teachers within and beyond the schools.
      Furthermore, the results recommend that physical foundations and instrumentals be established to facilitate music teachers’ collaborative inquiry and reflective practice. The study found that the inquiry community outside the schools was effective for music teachers who have few colleagues within the schools, showing a need to expand collaborative spaces beyond schools and emphasizing cooperation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o support curriculum implementation.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link or integrate the inquiry communities with existing teacher learning rather than to create a new policy that considers teachers as the object of the policy.
      In summary,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provid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by focusing on the inquiry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in-service teacher training. Additionally,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inquiry community were explored to reveal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eacher practice. It is noteworthy that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music teachers’ national curriculum practice based on the lens of teacher agency. Moreover, This study would offer foundational data to support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implemen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어떠한가? 셋째,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직접 구성한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5명의 중, 고등학교 음악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들은 2024년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 동안(총 15회) 2015,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함께 탐구하는 한편, 탐구한 내용을 토대로 각자 근무하는 학교에서 수업 및 평가를 실행하였다. 이때 수업은 현재 시행 중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기반하였으며, 교사들은 서로의 수업을 함께 공유 및 성찰하고 성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시 수업을 계획 후 실행하였다. 또한 공동체에서 교사들의 탐구 경험과 실제 학교에서 교사별 실천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심층 면담을 비롯하여 참여/비참여 관찰, 현지 문서와 같은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공동체에서 교사들은 탐구와 실천을 순환해 가면서 전략적, 타협적, 통합적, 도전적, 성찰적 실천과 같이 다양한 실천의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교사들의 실천 양상은 공동체에 참여하기 이전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활용 가능한 자원을 동원하거나, 교과 내 연계 방식을 활용하거나, 국가 교육과정에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연결하거나, 잘하지 못하는 것도 해보거나, 자신 혹은 다른 교사의 수업을 거울로 삼는 등 교사마다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동료성, 복잡성, 이중성의 특징이 나타났다. 교사들은 동반자이자 검토자로서 서로의 수업 및 평가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업 철학, 음악 전문성, 성향과 같은 개인 요인이나 학교 교육과정 편제, 음악실 환경, 학생 특성 및 수준과 같은 학교 요인, 수업 시수, 다른 교육 정책과 같은 학교 밖 요인들이 탐구와 실천의 연결을 촉진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 간 관계의 질이나 속성은 혁신을 위한 촉매이자 동시에 자율성을 규제하는 족쇄로 작용하면서 교사들의 실천 변화를 지속적 혹은 일시적으로 이끌었다.
      셋째, 공동체에서 교사들은 아는 것을 행하는 것으로, 행한 것을 다시 아는 것으로 전환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함께 구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들은 탐구와 실천의 이분법을 뛰어넘으며 연구자이자 실천가로서 자신을 위치시켰다. 이때 탐구 공동체는 교사들이 함께 협력하고 숙의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 작용하면서 국가 교육과정과 교사 사이를 중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교육과정 문서를 능동적으로 해석, 재구성해 가며 국가 교육과정을 함께 실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악 교사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 과정을 총체적으로 탐색하는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들은 음악 교사 개인의 능력에 초점을 두고 국가 교육과정의 실행 결과를 측정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음악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을 어떻게 실천해 가는지에 주목함으로써 그 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요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실천을 이해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더구나 교사 개인 성향, 학교 교육과정 편제, 수업 시수, 다른 교육 정책 등은 선행 연구에서 크게 부각되지 않은 것으로, 교과별 교사 특성이나 교사를 둘러싼 특수한 요인들이 교사 실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 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탐색을 통해 이들에게 요구되는 사항을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음악 교사들은 국가 교육과정 실천에 있어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들 간의 탐구에 관심 가질 필요가 있다. 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은 기존의 지식을 여러 관점에서 탐색하는 한편, 자신과 다른 교사의 실천을 스스로 혹은 함께 성찰함으로써 국가 교육과정에 관한 생각, 태도, 행동에 변화를 보였다. 이는 음악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협력적, 변혁적 탐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이 탐구한 내용을 학교 안이나 주변의 다른 교사들과 공유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음악 교사의 공동 탐구와 반성적 실천을 촉진하는 물리적 기반과 제도적 지원에 힘쓸 필요가 있다. 학교 내에 동 교과 교사의 수가 적은 음악 교사의 경우에는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탐구가 효과적일 수 있다. 이는 단위 학교뿐 아니라 교육부나 지역교육청과 같이 국가 교육과정 실행을 지원하는 기관 간의 협력을 통해 음악 교사들이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학교 밖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다만 탐구 공동체를 또 하나의 새로운 정책으로 삼기보다는 기존의 교사 학습 방식과 연계하거나 통합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이 연구는 전통적인 교원 연수의 대안으로 탐구 공동체에 주목하여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탐구 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교사 실천에 미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측면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더불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에 기반하여 음악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을 실천해 가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조명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연구는 곧 시행될 2022 개정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지원 체제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가 교육과정의 실질적 구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본 연구는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어떠한가? 셋째,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직접 구성한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5명의 중, 고등학교 음악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들은 2024년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 동안(총 15회) 2015,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함께 탐구하는 한편, 탐구한 내용을 토대로 각자 근무하는 학교에서 수업 및 평가를 실행하였다. 이때 수업은 현재 시행 중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기반하였으며, 교사들은 서로의 수업을 함께 공유 및 성찰하고 성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시 수업을 계획 후 실행하였다. 또한 공동체에서 교사들의 탐구 경험과 실제 학교에서 교사별 실천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심층 면담을 비롯하여 참여/비참여 관찰, 현지 문서와 같은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공동체에서 교사들은 탐구와 실천을 순환해 가면서 전략적, 타협적, 통합적, 도전적, 성찰적 실천과 같이 다양한 실천의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교사들의 실천 양상은 공동체에 참여하기 이전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활용 가능한 자원을 동원하거나, 교과 내 연계 방식을 활용하거나, 국가 교육과정에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연결하거나, 잘하지 못하는 것도 해보거나, 자신 혹은 다른 교사의 수업을 거울로 삼는 등 교사마다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동료성, 복잡성, 이중성의 특징이 나타났다. 교사들은 동반자이자 검토자로서 서로의 수업 및 평가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업 철학, 음악 전문성, 성향과 같은 개인 요인이나 학교 교육과정 편제, 음악실 환경, 학생 특성 및 수준과 같은 학교 요인, 수업 시수, 다른 교육 정책과 같은 학교 밖 요인들이 탐구와 실천의 연결을 촉진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 간 관계의 질이나 속성은 혁신을 위한 촉매이자 동시에 자율성을 규제하는 족쇄로 작용하면서 교사들의 실천 변화를 지속적 혹은 일시적으로 이끌었다.
      셋째, 공동체에서 교사들은 아는 것을 행하는 것으로, 행한 것을 다시 아는 것으로 전환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함께 구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들은 탐구와 실천의 이분법을 뛰어넘으며 연구자이자 실천가로서 자신을 위치시켰다. 이때 탐구 공동체는 교사들이 함께 협력하고 숙의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 작용하면서 국가 교육과정과 교사 사이를 중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교육과정 문서를 능동적으로 해석, 재구성해 가며 국가 교육과정을 함께 실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악 교사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 과정을 총체적으로 탐색하는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들은 음악 교사 개인의 능력에 초점을 두고 국가 교육과정의 실행 결과를 측정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음악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을 어떻게 실천해 가는지에 주목함으로써 그 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요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실천을 이해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더구나 교사 개인 성향, 학교 교육과정 편제, 수업 시수, 다른 교육 정책 등은 선행 연구에서 크게 부각되지 않은 것으로, 교과별 교사 특성이나 교사를 둘러싼 특수한 요인들이 교사 실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 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탐색을 통해 이들에게 요구되는 사항을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음악 교사들은 국가 교육과정 실천에 있어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들 간의 탐구에 관심 가질 필요가 있다. 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은 기존의 지식을 여러 관점에서 탐색하는 한편, 자신과 다른 교사의 실천을 스스로 혹은 함께 성찰함으로써 국가 교육과정에 관한 생각, 태도, 행동에 변화를 보였다. 이는 음악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협력적, 변혁적 탐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이 탐구한 내용을 학교 안이나 주변의 다른 교사들과 공유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음악 교사의 공동 탐구와 반성적 실천을 촉진하는 물리적 기반과 제도적 지원에 힘쓸 필요가 있다. 학교 내에 동 교과 교사의 수가 적은 음악 교사의 경우에는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탐구가 효과적일 수 있다. 이는 단위 학교뿐 아니라 교육부나 지역교육청과 같이 국가 교육과정 실행을 지원하는 기관 간의 협력을 통해 음악 교사들이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학교 밖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다만 탐구 공동체를 또 하나의 새로운 정책으로 삼기보다는 기존의 교사 학습 방식과 연계하거나 통합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이 연구는 전통적인 교원 연수의 대안으로 탐구 공동체에 주목하여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탐구 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교사 실천에 미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측면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더불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에 기반하여 음악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을 실천해 가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조명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연구는 곧 시행될 2022 개정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지원 체제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가 교육과정의 실질적 구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국가 교육과정의 실행 8
      • 가. 국가 교육과정의 성격 및 내용 8
      • 나.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와 여러 관점 12
      • 다. 음악과 교육과정 실행 관련 쟁점 15
      • 2. 탐구 공동체 19
      • 가. 탐구 공동체의 의미 19
      • 1) 교사 학습의 탐구적 접근 20
      • 2) 스탠스로서 탐구(inquiry as stance) 개념 22
      • 3) 실천에 대한 지식(knowledge-of-practice)의 구성 24
      • 나. 탐구 공동체의 특징 26
      • 1) 탐구 공동체의 구성 원리 26
      • 2) 탐구 공동체의 탐구 방식 27
      • 3) 탐구 공동체의 활동 내용 28
      • 다. 음악 교육 분야의 탐구 공동체 관련 연구 고찰 30
      • 3. 교사 실천을 이해하기 위한 행위주체성 32
      • 가. 교사 행위주체성에 대한 이해 32
      • 1) 교사 행위주체성의 개념 32
      • 2) 교사 행위주체성의 영향 요인 35
      • 3) 교사 행위주체성에 있어 관계의 중요성 36
      • 나. 교사 행위주체성과 교육과정 실천 38
      • 1) 교육과정 실천을 이해하는 개념적 도구 38
      • 2) 국가 교육 개혁에서 교사 행위주체성의 역할 41
      • 3) 교육과정 실천의 탐색을 위한 잠정적 분석 틀 45
      • Ⅲ. 연구 방법 47
      • 1. 연구 설계 47
      • 가. 연구방법론: 질적 사례연구 47
      • 나. 연구 현장 및 연구참여자 50
      • 1) 연구 현장 50
      • 2) 연구참여자 52
      • 다. 연구 절차 및 단계 57
      • 2. 자료 수집 67
      • 가. 심층 면담 67
      • 나. 참여/비참여 관찰 71
      • 다. 현지 문서 72
      • 3. 자료 분석 74
      • 가. 자료 분석 과정 74
      • 나. 연구자의 위치성 79
      • 다. 연구의 타당성 및 진실성 확보 방안 83
      • Ⅳ.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 과정 85
      • 1. 타자와의 관계 맺기: 학교-너머 85
      • 가. 脫(탈) 학교: ‘새로운 나’를 향해가다 86
      • 1) 몸의 이동: 음악실로부터 ‘탈주’ 86
      • 2) 사고의 전환: 고립과 단절로부터 ‘탈피’ 89
      • 나. 느슨한 연대 형성하기: ‘따로 또 같이’ 하다 91
      • 1) 미묘한 긴장 속 줄다리기: “달라도 너무 달라” 91
      • 2) 불협화음의 미학: “조화롭지 않지만 조화로운” 95
      • 다. 변화를 위한 공간 만들기: ‘탐구적 교사’가 되다 98
      • 1) 상호교학(相互敎學): ‘협업’을 통한 거리 좁히기 98
      • 2) 전문가와의 만남: ‘허울뿐인 공(空)문서’에서 ‘법적 공(公)문서’로 101
      • 2. 교육과정 톺아보기: 문서-너머 105
      • 가. 교육과정을 다시, 그리고 다르게 바라보다 105
      • 1) 소리 대신 텍스트와 친해지기: “눈알이 빠지게 보다” 106
      • 2) 함께 읽고 사유하기: ‘해석적 읽기’에서 ‘해체적 읽기’로 115
      • 나. 음악 교과다운 수업을 같이 고민하다 121
      • 1)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계: 음악을 ‘통한’ 교육 vs 음악에 ‘대한’ 교육 121
      • 2) 혼재된 가치 속 중심 잡기: ‘역량’ 대신 ‘음악함(doing music)’ 125
      • 다. 교육과정 속에서 수업의 폭을 넓히다 130
      • 1) 새로움을 ‘발견’하다: 틈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기 131
      • 2) 새로움을 ‘생성’하다: ‘죽은’ 문서를 ‘살아있는’ 수업으로 134
      • 3. 탐구와 실천 순환하기: 경계-너머 139
      • 가. 유지-변화 사이 균형 잡기 139
      • 1) 전략적 실천: 활용 가능한 자원을 동원하기 139
      • 2) 타협적 실천: ‘교과 간 융합’ 대신 ‘교과 내 연계’ 147
      • 나. 현실-이상 사이 연결 하기 151
      • 1) 통합적 실천: 국가 교육과정에 ‘있는’ 것 + ‘없는’ 것 152
      • 2) 도전적 실천: ‘잘하지 못하는 것’도 해보기 157
      • 다. 이론-실제 사이 넘나 들기 163
      • 1) 성찰적 실천: “자신 혹은 다른 교사의 수업을 거울삼아” 164
      • 2) 재구성: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170
      • Ⅴ.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의 국가 교육과정 실천의 특징 175
      • 1. 공통성과 다양성을 추동하는 동료성 176
      • 가. ‘든든한’ 동반자 되기: 무엇, 어떻게, 왜를 함께 찾다 176
      • 나. ‘날카로운’ 검토자 되기: 배제/포함할 것을 함께 찾다 180
      • 2. 여러 요인과의 역동을 통한 실천의 복잡성 182
      • 가. 개인 요인과의 역동: “나와 맞지 않으면 패스” 183
      • 나. 학교 요인과의 역동: “학교 혹은 학생에 따라” 185
      • 다. 학교 밖 요인과의 역동: “비수능 교과 교사의 설움” 188
      • 3. 공동 탐구의 이중성 191
      • 가. 관계적 선(善): 혁신을 위한 ‘촉매’ 191
      • 나. 관계적 악(惡): 자율성을 규제하는 ‘족쇄’ 193
      • Ⅵ. 논의: 탐구 공동체에 참여한 음악 교사들의 국가교육과정 실천의 의미 195
      • 1. 변혁적, 창의적 실천을 위한 몸틀 만들기 196
      • 2. 프락시스(praxis)의 가능성 타진: 탐구와 실천의 이분법 뛰어넘기 198
      • 3. 관계적 행위주체성 발현을 위한 교사 네트워크 형성하기 201
      • 4. 국가 교육과정을 ‘실행’ 아닌 ‘실천’하는 음악 교사 함께 되기 203
      • Ⅶ. 결론 및 제언 205
      • 참고문헌 209
      • Abstract 2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