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의 고고학 연구와 역사학 = Archaeological Research and History on Goryeo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20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시대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은 고고 자료를 매우 단편적으로 이용하고 있을 뿐이며, 근래 고고학계에서는 고려시대 고고자료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도 고려시대를 고고학의 대상 시대로 여기지 않는 분위기가 강하다. 현대의 고고학과 역사학은 역사상 혹은 문화상을 복원하려고 하며, 그러한 역사상 혹은 문화상이 왜 생성되었고,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규명하려고 한다. 그런 점에서 두 학문이 학문적으로 추구하는 목표가 같다. 다만 이용하는 자료와 연구 방법이 다를 뿐이다. 이제 고려시대의 모습을 규명하기 위해 고고학자와 고려사 연구자가 행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식의 전환과 상호 학문에 대한 이해 및 지식이 필요하다. 하나의 대상을 놓고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그를 통하여 고려시대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고려시대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은 고고 자료를 매우 단편적으로 이용하고 있을 뿐이며, 근래 고고학계에서는 고려시대 고고자료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도 고려시대를 고고...

      고려시대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은 고고 자료를 매우 단편적으로 이용하고 있을 뿐이며, 근래 고고학계에서는 고려시대 고고자료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도 고려시대를 고고학의 대상 시대로 여기지 않는 분위기가 강하다. 현대의 고고학과 역사학은 역사상 혹은 문화상을 복원하려고 하며, 그러한 역사상 혹은 문화상이 왜 생성되었고,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규명하려고 한다. 그런 점에서 두 학문이 학문적으로 추구하는 목표가 같다. 다만 이용하는 자료와 연구 방법이 다를 뿐이다. 이제 고려시대의 모습을 규명하기 위해 고고학자와 고려사 연구자가 행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식의 전환과 상호 학문에 대한 이해 및 지식이 필요하다. 하나의 대상을 놓고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그를 통하여 고려시대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istorians working on Goryeo period are likely to use archaeological data partially. Albeit the interest in archaeological data dated to Goryeo becomes more increased in archaeology, there still remains a tendency to regard Goryeo period as not being a research area for archaeology. The comtemporary archaeology and history attempts to reconstruct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and to probe the reason why those aspects were produced and how they were changed. In this respect, two disciplines share the same aim to pursue in academics. There is, however, only a difference in the data used and research method. It is neccesary for both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to corperate with in order to examine the feature of Goryeo period. For this work, prerequite is a conversion of thought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knowledge between those two disciplines. Various joint researches need to be executed for a common object, and based on these, new methodologies can be developed for the research on Goryeo period.
      번역하기

      The historians working on Goryeo period are likely to use archaeological data partially. Albeit the interest in archaeological data dated to Goryeo becomes more increased in archaeology, there still remains a tendency to regard Goryeo period as not be...

      The historians working on Goryeo period are likely to use archaeological data partially. Albeit the interest in archaeological data dated to Goryeo becomes more increased in archaeology, there still remains a tendency to regard Goryeo period as not being a research area for archaeology. The comtemporary archaeology and history attempts to reconstruct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and to probe the reason why those aspects were produced and how they were changed. In this respect, two disciplines share the same aim to pursue in academics. There is, however, only a difference in the data used and research method. It is neccesary for both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to corperate with in order to examine the feature of Goryeo period. For this work, prerequite is a conversion of thought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knowledge between those two disciplines. Various joint researches need to be executed for a common object, and based on these, new methodologies can be developed for the research on Goryeo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고고학자들의 고려시대 문헌자료 이용
      • Ⅲ. 고려사 연구자들의 고고 자료 활용
      • Ⅳ. 고려시대 고고학과 역사학의 협력
      • 요약
      • Ⅰ. 머리말
      • Ⅱ. 고고학자들의 고려시대 문헌자료 이용
      • Ⅲ. 고려사 연구자들의 고고 자료 활용
      • Ⅳ. 고려시대 고고학과 역사학의 협력
      • Ⅴ.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