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가설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특성과 경영자보상간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기업의 경영자보상에 따라 기업의 투자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9923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가설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특성과 경영자보상간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기업의 경영자보상에 따라 기업의 투자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점...
1. 연구가설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특성과 경영자보상간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기업의 경영자보상에 따라 기업의 투자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기업지배구조에 따라서 경영자보상은 기업의 투자위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가설 1 : 경영자보상과 기업지배구조는 관련이 없다.
가설 2:경영자보상과 기업지배구조는 경영자의 경영위험과 관련이 없다.
2. 연구 표본
표본기간은 2004년부터 2012년에 걸친 9년
3. 주요 연구 변수
가. 경영자 보상
경영자 현금보상은 사업보고서에 제시된 지급총액을 경영진의 현금보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성과연계보상은 경영자가 보유한 주식과 스톡옵션을 바탕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경영자의 성과연계민감도(주식포트폴리오 보상민감도; 주식, 스톡옵션)는 Fahlenbrach(2009)의 연구를 바탕으로 2가지 주식포트폴리오 보상민감도를 사용하고자 한다. 경영자 주식포트폴리오 보상민감도는 지분민감도(percentage ownership : Jensen and Murphy, 1990; Yermack, 1995)와 가치민감도(dollar equity incentives ; Core and Guay, 1999; Baker and Hall, 2004)를 이용하고자 한다
4. 연구방법
가. 기업지배구조가 경영자보상에 미치는 영향
먼저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해 기업지배구조와 경영자보상을 활용한 실증모형에서 경영자 보상결정은 개별기업의 고유의 특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경영자보상결정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이 기업특성 재무변수이기 때문에 내생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정태적 패널모형(H1-모형1)을 설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설정된 모형이 기존 연구모형과의 차이점은 첫째, 국외연구와 비교하면, 국내 경영자보상에 대한 공시 한계로 인하여 경영자보상 측정변수 및 국내 기업의 특성변수에 차이가 있고, 국내연구와 비교하면, 스톡옵션 중심으로 연구된 경영자보상을 주식보상 즉 주식포트폴리오로 확대된 분석모형을 설정하였다는 것이다.
연구모형 : 연구계획서내 모형1 참조
나. 경영자보상, 기업지배구조가 경영위험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가설2를 검증하기 위해서 기업지배구조, 경영자보상이 경영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모형(H2-모형1)(H2-모형2)을 설정하였다. 또한,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점수 더미변수를 활용한 분석과 기업지배구조점수의 높고 낮음에 따라 표본을 분리하여 분석하는 방법론(H2-모형3)을 채택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가설 2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모형 : 연구계획서 모형2,3,4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