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부 소화관 이물은 모든 연령층에서 의도적 또는 우연히 생길 수 있다. 소아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성인에서도 식도 질환, 의치, 정신 박약, 이차적 이득을 원하는 경우나 알콜 중독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05041
2008
Korean
KCI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224-227(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상부 소화관 이물은 모든 연령층에서 의도적 또는 우연히 생길 수 있다. 소아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성인에서도 식도 질환, 의치, 정신 박약, 이차적 이득을 원하는 경우나 알콜 중독자...
상부 소화관 이물은 모든 연령층에서 의도적 또는 우연히 생길 수 있다. 소아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성인에서도 식도 질환, 의치, 정신 박약, 이차적 이득을 원하는 경우나 알콜 중독자들에서 종종 생길 수 있다. 이물의 종류는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주로 동전, 코르크 마개, 장난감, 칫솔, 바늘, 볼펜, 생선가시 등이 있다. 상부 소화관 이물은 대부분 증상 없이 장관을 통과해서 배출되지만, 일부는 내시경적 제거술이나 개복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순간접착제가 식도와 위에 걸쳐 이물로 존재하여, 식도에서는 내시경적 제거를 시행하고 위에서는 개복술을 동시에 시행한 증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저자 들은 우울증과 자살 시도의 과거력을 가진 80세 남자에서 식도와 위의 순간접착제 이물을 내시경적 적출과 수술적 제거를 동시에 시행하여 치료한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천황래, "본드 연하로 발생한 식도 이물 1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30 (30): 24-27, 2005
2 Peterson B, "Technology status evaluation report; tissue adhesives and fibrin glues" 60 : 327-333, 2003
3 Lee KS, "Review of 78 cases foreign body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31 : 598-604, 1998
4 Webb WA, "Management of foreign bodie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update" 41 : 39-51, 1995
5 Schwartz GF, "Ingested foreign bodi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42 : 236-238, 1976
6 Eisen GM,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ingested foreign bodies" 55 : 802-806, 2002
7 Nandi P, "Foreign body in the oesophagus: review of 2394 cases" 65 : 5-9, 1978
8 Webb WA, "Foreign bodie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nct. In:Gastrointestinal emergencies. 2nd ed" Williams & Wilkins 3-18, 1997
9 Brady PG, "Esogphageal foreign bodies" 20 : 691-701, 1991
10 Lee HC, "Endoscopic removal of gastric foreign body, bezoars and ascaris in common bile duct" 22 : 701-707, 1979
1 천황래, "본드 연하로 발생한 식도 이물 1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30 (30): 24-27, 2005
2 Peterson B, "Technology status evaluation report; tissue adhesives and fibrin glues" 60 : 327-333, 2003
3 Lee KS, "Review of 78 cases foreign body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31 : 598-604, 1998
4 Webb WA, "Management of foreign bodie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update" 41 : 39-51, 1995
5 Schwartz GF, "Ingested foreign bodi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42 : 236-238, 1976
6 Eisen GM,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ingested foreign bodies" 55 : 802-806, 2002
7 Nandi P, "Foreign body in the oesophagus: review of 2394 cases" 65 : 5-9, 1978
8 Webb WA, "Foreign bodie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nct. In:Gastrointestinal emergencies. 2nd ed" Williams & Wilkins 3-18, 1997
9 Brady PG, "Esogphageal foreign bodies" 20 : 691-701, 1991
10 Lee HC, "Endoscopic removal of gastric foreign body, bezoars and ascaris in common bile duct" 22 : 701-707, 1979
11 Park KS, "Endoscopic removal of esophageal foreign body complicated with esophageal ulcer: case report" 4 : 51-54, 1984
12 Lee MS, "A review of the endoscopic extraction in 52 case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10 : 47-52, 1990
13 Lim HS, "A clinical review of the endoscopic removal of foreign body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19 : 101-104, 1987
14 Lee CY, "A case report of surgical removal of gastric bezoar formed by ingestion of bond in AIDS patient" 60 : 337-340, 2001
Unroofing 기법을 포함한 단계적 내시경적 치료로 제거한거대 대장 지방종 1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1-12-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6-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 |
2006-06-21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2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1 | 0.18 | 0.38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