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오톱의 자연체험 및 휴양가치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valuation Model for Biotope Appraisal as Related to Nature Experiences and Recre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구단위 차원에서 자연체험 및 휴양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객관적인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체계적인 평가모형을 설정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우선 문헌분석 ...

      본 연구는 지구단위 차원에서 자연체험 및 휴양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객관적인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체계적인 평가모형을 설정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우선 문헌분석 결과, 자연체험 및 휴양가치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들로는 층위구조, 포장율, 헤메로비(hemeroby) 등 총 10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또한, 전문가 설문분석 결과, 평가지표 항목 모두가 4.4 이상으로 높은 중요도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헤메로비 및 독특한 경관요소 항목은 5.8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평가지표들을 특성별로 유형화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경관구조 및 자연체험 질', '일반적 이용성', '미 시각 질' 등 총 3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상과 같은 설문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요인별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미 시각 질' 요인이 3.510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에 반해 '경관구조 및 자연체험 질' 요인은 3.035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체계적인 가치평가 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도출된 평가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기 위해 실 사례지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우선 사례지의 비오톱 유형분류 결과, 비오톱 유형군은 유수지 비오톱 등 총 13개로 분류되었으며, 이에 귀속되는 비오톱 유형은 총 61개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기 설정된 평가모형을 적용한 비오톱 가치평가 결과, I 등급으로는 식생이 풍부한 자연형 하천, 산림과 접해 있는 소규모 수림 등 총 16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반면 II 등급은 9개 유형, III 등급은 8개 유형, IV 등급은 8개 유형, 가치가 매우 낮은 V 등급은 19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focus of this research i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ic evaluation model based on objective evaluation indices, which are drawn to assess the experiencing of nature and recreational value at the level of the district unit. First of all, as ...

      The main focus of this research i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ic evaluation model based on objective evaluation indices, which are drawn to assess the experiencing of nature and recreational value at the level of the district unit.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10 indices can be drawn including vegetation structure, pavement rate, and hemeroby to evaluate an assessment of natural experiences and recreational value. Also, as a result of expert survey analysis, all evaluation index items were above 4.4, which is a high importance average. Hemeroby and unique landscape factor items in particular were above 5.8, which is very high. In addition, as a result of implementing a factor analysis to classify evaluation indic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three factors arise: 'landscape structure and quality of natural experience', 'typical availability', and 'quality of aesthetic and visual sense.' Based on the above survey analysis results, the 'quality of aesthetic and visual sense' was the highest, at 3.510. The classification 'landscape structure and quality of natural experience' was the lowest, at 3.035. A systemic value evaluation model was establish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se resul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model drawn, real sites are selected and applied.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 biotope types classification of sites, biotope type groups a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13 including the stream biotope while its subordinate biotope types a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61 groups. Lastly, as a result of biotope value evaluation, which was a previously established evaluation model, there are a total of 16 types including vegetation-abundant natural rivers and small-scale woodlands near forests in grade I. There are 9 types in grade II, 8 in grade III, 8 in grade IV, 19 in the least-valuable grade V.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신하, "현대 대표 도시공원에 대한 평가 - 만족도 및 경관이미지 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6 (36): 36-47, 2008

      2 이동근, "택지개발지역에 적용가능한 건강 및 생태적 계획요소의 개념 및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54-69, 2007

      3 김귀곤, "택지개발사업지구의 공원녹지계획 지표연구" 22 (22): 179-198, 1994

      4 조창우, "택지개발사업지구내 근린공원의 입지유형별 개발실태분석"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2003

      5 조현주, "친수 휴양활동공간 계획을 위한 광역수준의 부지 적합성 평가" 한국조경학회 37 (37): 1-13, 2009

      6 박원규(호남대),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계획모형 개발" 한국조경학회 30 (30): 39-54, 2002

      7 조현주, "지구단위 차원에서의 비오톱 보전가치평가 연구 -대구광역시 신서동 택지개발 사업지구를 사례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38-59, 2008

      8 김기동, "자연휴양림 이용객 재방문 결정요인 분석: 운문산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8 (8): 47-53, 2004

      9 나정화, "자연체험 및 휴양기능을 중심으로 한 도시 밀집지역 비오톱 평가" 한국조경학회 31 (31): 42-53, 2003

      10 고동완, "여가휴양 공공서비스로서 공원녹지 조성방향" 10 : 91-117, 2007

      1 주신하, "현대 대표 도시공원에 대한 평가 - 만족도 및 경관이미지 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6 (36): 36-47, 2008

      2 이동근, "택지개발지역에 적용가능한 건강 및 생태적 계획요소의 개념 및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54-69, 2007

      3 김귀곤, "택지개발사업지구의 공원녹지계획 지표연구" 22 (22): 179-198, 1994

      4 조창우, "택지개발사업지구내 근린공원의 입지유형별 개발실태분석"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2003

      5 조현주, "친수 휴양활동공간 계획을 위한 광역수준의 부지 적합성 평가" 한국조경학회 37 (37): 1-13, 2009

      6 박원규(호남대),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계획모형 개발" 한국조경학회 30 (30): 39-54, 2002

      7 조현주, "지구단위 차원에서의 비오톱 보전가치평가 연구 -대구광역시 신서동 택지개발 사업지구를 사례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38-59, 2008

      8 김기동, "자연휴양림 이용객 재방문 결정요인 분석: 운문산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8 (8): 47-53, 2004

      9 나정화, "자연체험 및 휴양기능을 중심으로 한 도시 밀집지역 비오톱 평가" 한국조경학회 31 (31): 42-53, 2003

      10 고동완, "여가휴양 공공서비스로서 공원녹지 조성방향" 10 : 91-117, 2007

      11 예천군, "애플밸리 조성사업 기본계획 수립"

      12 대구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비오톱을 활용한 에너지 절약형 지구단위 공간구조 개선 모델링: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대구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2008

      13 서울특별시, "도시생태현황도 정비"

      14 이석철, "도시비오톱에 대한 구조분석 및 수치지도화: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1999

      15 서주환, "도시근교형 자연휴양림 이용 행태와 만족도 분석 - 서울 근교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0 (30): 57-65, 2003

      16 나정화, "도시계획지역 내 농경지의 잔여경관요소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평가 및 보존 방안" 한국조경학회 31 (31): 31-42, 2003

      17 나정화,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자연체험 및 휴양의 관점에서" 28 (28): 72-87, 2000

      18 한국토지공사, "대구 테크노폴리스 지방산업단지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서" 한국토지공사 2007

      19 김광래, "녹지공간의 자연성과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20 (20): 26-37, 1993

      20 연평식, "국립공원과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방문동기: 속리산 국립공원, 월악산 국립공원, 장용산 자연휴양림, 조령산 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5 (5): 59-66, 2001

      21 이현택, "고속도로 사면의수경처리에 관한 연구" 24 (24): 1-12, 1996

      22 임승빈, "경관분석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현상학적 접근" 16 (16): 43-51, 1988

      23 Kaerkes, W., "Zur oekologischen Bedeutung urbaner Freiflaechen" Univ. Bochum 1986

      24 Sukopp, H., "Stadtoekologie" Gustav und Fischer 1-75, 1993

      25 노형진, "SPSS 12.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2005

      26 Jim, C. Y., "Recreation-amenity use and contingent valuation of urban greenspaces in Guangzhou" 75 : 81-96, 2006

      27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2nd ed.)" McGraw Hill 1978

      28 Lewis, C. A., "People plants interaction" 65 : 16-21, 1973

      29 Marks, R., "Meohoden Oekologischer Planing im Kommunalen Umweltschutz am Beispiel der Stdt Dortmund" Goeltingen 18 : 589-592, 1989

      30 Bauer. G., "Landschftsrahmenplan Erholungspark Ville" 35 : 149-173, 1976

      31 Kiemstedt, H., "Landschaftsbewertung fuer Erholung im Sauerland" Dortmund 40-72, 1975

      32 나정화, "Hemeroby 도면작성과 녹지계획에서의 활용: 대구시를 사례로" 29 (29): 32-41, 2001

      33 Forman, R. T. T., "Estimate of the area affected ecologically by the road system in the United" 14 : 31-35, 2000

      34 Sukopp, H., "Der Einfluss des Menschen auf die Vegetation" 17 : 363-369, 1969

      35 Goossen, M., "Assessing quality of rural areas in the Netherlands: Finding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for recreation" 46 : 241-251,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