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의 내러티브 표상에 나타난 어머니상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시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100명(남아 47명, 여아 53명)이며, 연구도구로 유영미와 이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73297
2008
-
370
미등재
학술저널
17-33(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내러티브 표상에 나타난 어머니상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시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100명(남아 47명, 여아 53명)이며, 연구도구로 유영미와 이영(...
본 연구는 유아의 내러티브 표상에 나타난 어머니상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시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100명(남아 47명, 여아 53명)이며, 연구도구로 유영미와 이영(2001)이 번안한 Bretherton(1990)의 이야기 완성 과제(MacArthur Story-Stem Battery: MSSB)를 도구와 이원영(1983)이 번안한 Schaefer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의 적합성, 적용가능성, 검사자 훈련에 관한 예비검사와 유아의 내러티브 표상을 알아보기 위한 10일간 유아 면담, 어머니의 양육태도 검사를 위한 질문지 발송 등의 절차를 거쳤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두 독립표본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유아의 내러티브 표상에 나타난 어머니상은 긍정적 표상이 가장 많았고, 남아에 비해 여아가 좀 더 많이 긍정적 표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아의 내러티브 표상에 나타난 긍정적 어머니상과 애정적 양육태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저소득층 아동의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실태 및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