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한양 동부(東部) 관동(館洞)의 인문지리와 연안이씨(延安李氏) 관동파(館洞派)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307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는 東人과 함께 다수의 西人들도 거주했던 대표적인 사대부의 거주지였다. 그동안 서울의 여타 지역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했던 동부의 인문지리적 성격을 조명하는 효과적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동부에 거주했던 인물들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동부에 거주했던 가장 대표적인 가문 중 하나가 바로 延安李氏 館洞派이다. 조선 초기부터 동부에 거주하기 시작했던 연안이씨는 조선중기 李廷龜라는 대문장가의 출현을 통해 관동파라는 小宗으로 분기했다. 그리고 조선 후기 최초의 3대 文衡을 배출하며 대표적인 文翰家로 성장했는데, 이러한 관동파의 성장과 그 안에서 전개되었던 사대부들의 인적 교류를 조명하는 일은 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동부 지역 사대부들의 삶을 통해 동부의 역사성을 복원하는 중요한 하나의 방법이다.
      번역하기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는 東人과 함께 다수의 西人들도 거주했던 대표적인 사대부의 거주지였다. 그동안 서울의 여타 지역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했던 동부의 인문지리적 성격을 조명하는 ...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는 東人과 함께 다수의 西人들도 거주했던 대표적인 사대부의 거주지였다. 그동안 서울의 여타 지역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했던 동부의 인문지리적 성격을 조명하는 효과적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동부에 거주했던 인물들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동부에 거주했던 가장 대표적인 가문 중 하나가 바로 延安李氏 館洞派이다. 조선 초기부터 동부에 거주하기 시작했던 연안이씨는 조선중기 李廷龜라는 대문장가의 출현을 통해 관동파라는 小宗으로 분기했다. 그리고 조선 후기 최초의 3대 文衡을 배출하며 대표적인 文翰家로 성장했는데, 이러한 관동파의 성장과 그 안에서 전개되었던 사대부들의 인적 교류를 조명하는 일은 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동부 지역 사대부들의 삶을 통해 동부의 역사성을 복원하는 중요한 하나의 방법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nseongbu(漢城府) Dongbu(東部) had been consisted of not only Dongin(東人) but also Seoin(西人) and it had been typical gentry’s residence in Joseon Dynasty. But Dongbu had not been paid attention as compared with other region in seoul. The ef-ficent way to illuminate value of Dongbu’s human geography is research on the people who lived in Dongbu. Most typical gentry family who lived in Dongbu is Yeonan-Yi Clan(延安李氏) Gwandongpa(館洞派). Yeonan-Yi Clan had settled down in Dongbu in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masterful fine writer Yi Jeong-gu(李廷龜) is the start point in Gwandongpa’s rousing from Yeonan-Yi Clan’s majority. After rousing from majority, Gwandongpa had grown up to a top literary family in late Joseon Dynasty through producing the first three generations literary posts(文衡). The study of Gwandongpa’s growth and personal exchange in Dongbu gentry’s society is the important way to restore the nature of Dongbu history.
      번역하기

      Hanseongbu(漢城府) Dongbu(東部) had been consisted of not only Dongin(東人) but also Seoin(西人) and it had been typical gentry’s residence in Joseon Dynasty. But Dongbu had not been paid attention as compared with other region in seoul. Th...

      Hanseongbu(漢城府) Dongbu(東部) had been consisted of not only Dongin(東人) but also Seoin(西人) and it had been typical gentry’s residence in Joseon Dynasty. But Dongbu had not been paid attention as compared with other region in seoul. The ef-ficent way to illuminate value of Dongbu’s human geography is research on the people who lived in Dongbu. Most typical gentry family who lived in Dongbu is Yeonan-Yi Clan(延安李氏) Gwandongpa(館洞派). Yeonan-Yi Clan had settled down in Dongbu in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masterful fine writer Yi Jeong-gu(李廷龜) is the start point in Gwandongpa’s rousing from Yeonan-Yi Clan’s majority. After rousing from majority, Gwandongpa had grown up to a top literary family in late Joseon Dynasty through producing the first three generations literary posts(文衡). The study of Gwandongpa’s growth and personal exchange in Dongbu gentry’s society is the important way to restore the nature of Dongbu hist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조선 후기 漢陽 東部와 館洞의 人文地理
      • 1. 漢陽 東部의 행정구역과 특징
      • 2. 東部 館洞의 人文地理
      • Ⅲ. 東部와 延安李氏 館洞派의 형성
      • Ⅰ. 머리말
      • Ⅱ. 조선 후기 漢陽 東部와 館洞의 人文地理
      • 1. 漢陽 東部의 행정구역과 특징
      • 2. 東部 館洞의 人文地理
      • Ⅲ. 東部와 延安李氏 館洞派의 형성
      • 1. 東部에 터 잡은 延安李氏
      • 2. 延安李氏 館洞派의 형성
      • Ⅳ. 館洞派의 번성과 확산 및 분기
      • 1. 館洞派의 번성
      • 2. 館洞派의 지역적 확산
      • 3. 館洞派의 정치적 分岐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 국문초록
      • 부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高東煥, "조선후기 漢城府 행정체제의 변화 – 坊,里,洞,契의 변동을 중심으로" (11) : 1998

      2 안대회,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 - 시대를 위로한 길거리 고수들 이야기" 한겨레출판사 2010

      3 박희용, "조선 초기 경복궁 서쪽 지역의 장소성과 세종 탄생지" 서울학연구소 (47) : 155-185, 2012

      4 정옥자, "정조대 玉溪詩社의 결사와 眞景詩畫" 28 (28): 2002

      5 허영환, "정도 600년 서울지도"

      6 김하라, "일기를 쓰다 1" 돌베개 2015

      7 김하라, "유만주의 『흠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8 정윤희, "서촌의 장소정체성 연구" 2012

      9 나각순, "서울지명의 변천과 특징" 서울역사편찬원 (72) : 121-172, 2008

      10 "서울지명사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1 高東煥, "조선후기 漢城府 행정체제의 변화 – 坊,里,洞,契의 변동을 중심으로" (11) : 1998

      2 안대회,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 - 시대를 위로한 길거리 고수들 이야기" 한겨레출판사 2010

      3 박희용, "조선 초기 경복궁 서쪽 지역의 장소성과 세종 탄생지" 서울학연구소 (47) : 155-185, 2012

      4 정옥자, "정조대 玉溪詩社의 결사와 眞景詩畫" 28 (28): 2002

      5 허영환, "정도 600년 서울지도"

      6 김하라, "일기를 쓰다 1" 돌베개 2015

      7 김하라, "유만주의 『흠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8 정윤희, "서촌의 장소정체성 연구" 2012

      9 나각순, "서울지명의 변천과 특징" 서울역사편찬원 (72) : 121-172, 2008

      10 "서울지명사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11 전우용, "서울의 동쪽" 보림출판사 2014

      12 "서울은 깊다" 돌베개 2006

      13 고동환, "서울도시사" 태학사 2007

      14 김용관, "서울, 한양의 기억을 걷다" 문학과 사상사 2012

      15 김한배, "서울 서촌지역 조선조 원림의 위치추적을 통한 경관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 32 (32): 168-182, 2014

      16 강명관, "사라진 서울" 푸른역사 2009

      17 "동아일보"

      18 김학수,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 17세기 명가의 내력과 가풍" 삼우반 2005

      19 박은숙, "개항기(1876~1894) 한성부 5部의 차별적 변화와 자본주의적 도시화" 고려사학회 (36) : 153-190, 2009

      20 李山海, "鵝溪遺稿"

      21 李海朝, "鳴巖集"

      22 李端相, "靜觀齋先生集"

      23 李福源, "雙溪遺稿"

      24 李始源, "隱几集"

      25 金壽興, "退憂堂集"

      26 李敏輔, "豊墅集"

      27 朴世堂, "西溪先生集"

      28 "萬姓大同譜"

      29 안순태, "英祖朝 東村派의 交遊樣相과 交遊詩 -吳瑗· 南有容· 李天輔· 黃景源을 중심으로-" 한국한시학회 (21) : 185-217, 2013

      30 李喜朝, "芝村先生文集"

      31 李睟光, "芝峯類說"

      32 俞漢雋, "自著"

      33 李衡臣, "臥巖稿"

      34 趙秀三, "秋齋集"

      35 韓章錫, "眉山先生文集"

      36 李明漢, "白洲集"

      37 李昭漢, "玄洲集"

      38 "燃藜室記述"

      39 "漢京識略"

      40 趙翼, "浦渚先生集"

      41 李正臣, "櫟翁遺稿"

      42 吳世昌, "槿域書畫徵"

      43 吳允謙, "楸灘集"

      44 崔澱, "楊浦遺稿"

      45 黃玹, "梅泉野錄"

      46 邊士貞, "桃灘先生集"

      47 李殷相, "東里集"

      48 金貴榮, "東園先生文集"

      49 "東國輿地備考"

      50 魚有鳳, "杞園集"

      51 "朝鮮王朝實錄"

      52 장재천, "朝鮮後期 成均館의 泮村과 泮村人" 서울역사편찬원 (77) : 83-116, 2011

      53 고동환, "朝鮮初期 漢陽의 形成과 都市構造" 역사문화학회 8 (8): 67-104, 2005

      54 李廷龜, "月沙先生集"

      55 吳世炫, "月沙 李廷龜(1564~1635) 의 文翰 活動과 學統 意識" 51 : 2005

      56 尹拯, "明齋遺稿"

      57 金守溫, "拭疣集"

      58 洪聖民, "拙翁集"

      59 "承政院日記"

      60 "延安李氏館洞派譜"

      61 "延安李氏族譜"

      62 玄德升, "希菴先生遺稿"

      63 李晩秀, "屐園遺稿"

      64 宋時烈, "宋子大全"

      65 李亮臣, "大諫公遺稿"

      66 "大東奇聞"

      67 南龍翼, "壺谷集"

      68 金鶴洙, "堤川 延安李氏 鳴巖家門의 家系와 사회경제적 기반" 55 : 2000

      69 徐居正, "四佳文集"

      70 宋浚吉, "同春堂集"

      71 朴世采, "南溪先生朴文純公文外集"

      72 金瑬, "北渚集"

      73 박경남, "兪漢雋ㆍ朴胤源의 도문분리 논쟁과 兪漢雋의 各道其道論" 한국한문학회 (42) : 333-363, 2008

      74 "伊山世稿"

      75 申光漢, "企齋集"

      76 엄기영, "『기재기이(企齋記異)』의 창작과 ‘기재(企齋)’라는 공간" 우리말글학회 61 : 189-213, 2014

      77 김동철, "18세기 말 景慕宮 募民과 그들의 상업활동" (8) : 2001

      78 고영진, "16세기 후반 ~ 17세기 전반 서울 枕流臺學士의 활동과 그 의의" 3 : 1994

      79 李泰鎭, "15世紀 後半期의 ‘鉅族’과 名族意識" 3 :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2 1.48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