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시각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의 시각에서 북한의 ‘세계문학’ 인식과 『세계문학선집』을 연구하고자 한다. Ⓐ 서지 수집 및 실증적 검토 북한의 간행물은 다양한 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1860
2018년
Korean
세계문학 ; World Literature ; The Anthology of World Literature ; Bibliology ; Subject ; System ; Perception ; Practice ; Colony ; Cold War ; East Asia ; Translator ; Commentary ; 『세계문학선집』 ; 서지 검토 ; 주체 ; 제도 ; 인식 ; 실천 ; 식민지 ; 냉전 ; 동아시아 ; 번역가 ; 해설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의 시각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의 시각에서 북한의 ‘세계문학’ 인식과 『세계문학선집』을 연구하고자 한다. Ⓐ 서지 수집 및 실증적 검토 북한의 간행물은 다양한 소...
1. 연구의 시각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의 시각에서 북한의 ‘세계문학’ 인식과 『세계문학선집』을 연구하고자 한다.
Ⓐ 서지 수집 및 실증적 검토
북한의 간행물은 다양한 소장처에 흩어져 있으며, 간행 연도에 따른 텍스트 비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북한 문헌을 소장한 국내의 주요 기관과 소장가를 방문하고 실물 자료를 확인하여, 서지 검토를 통해 이후 연구의 토대를 튼튼히 구축하고자 한다.
Ⓑ 주체와 제도, 담론과 실천의 연쇄
본 연구는 북한의 ‘세계문학’ 인식과 『세계문학선집』 출판을 주체(번역가)와 제도(출판사와 대학 아카데미즘), 담론(논문, 비평, 서문, 연구서)과 실천(번역)의 연쇄로서 이해하고자 한다.
Ⓒ ‘식민지’와 ‘냉전’의 연속과 불연속이라는 시각
동아시아 냉전의 역사적 경험을 살필 때 특히 주목해야할 점은‘식민지’와 ‘냉전’의 중층결정이다. 식민지 조선에서 활동하였던 다양한 주체들의 문화적 실천과 그 결과물은 동아시아냉전분단체제의 형성과정에서 남북으로 분기(分岐)하는데, 이는 주체와 제도, 담론과 실천의 전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연구의 방법
가. 1년차 연수의 내용 및 범위 : 『세계문학선집』에 관한 서지적 검토
1년차에는 연구의 시각Ⓐ에 근거하여 연구를 진행하면서, 2년차에 연구 Ⓑ와 Ⓒ의 토대를 구축한다.
① 1960-67년 간행 『세계문학선집』(선집A) 서지 검토
② 1989년 이후 간행 『세계문학선집』(선집B) 서지 검토
1차 연도에는 실물 확인에 기반하여 『세계문학선집』의 서지적 검토를 진행하고자 한다. ㉠ 서지학 연구에 따라서 각종 서지정보를 정리하며, 『세계문학선집』 출판 상황을 확인한다. ㉡ 『세계문학선집』의 목록을 토대로 대륙, 국가, 저자, 장르 별 북한의 ‘세계문학’ 인식의 지도를 그려보도록 하겠다. ㉢ 2차 연도 연구를 위해 번역가 목록 및 해설을 정리한다.
③ 북한의 ‘세계문학’ 인식의 통시적 이해 – 선집A와 선집B의 담론 비교
출판 목록으로 볼 때 선집A와 선집B에 편집된 작품은 상당수 중복되지만, 담론에서 볼 때 두 선집의 서로 다른 ‘세계문학’ 인식에 근거하고 있다. 권두 ‘해설’을 통해 선집A와 선집B의 담론을 비교 검토하며 북한의 ‘세계문학’ 인식을 통시적이며 입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④ 해외자료조사 및 전문가 인터뷰
본 연구에서는 2회의 일본 및 1회의 미국 현지자료조사를 계획하고 있다. 또한 일본의 원로 한국문학연구자 오무라 마스오 교수를 인터뷰하여 1960-70년대 일본에서 북한문학 연구 및 세계문학 인식에 대한 당대 경험을 청취하고자 하며, 자료 수집의 도움을 받고자 한다.
나. 2년차 연수의 내용 및 범위 : 번역가를 통해서 본 북한의 ‘세계문학’ 인식
2년차에는 Ⓐ 1년차 연구로 구축된 서지 검토를 바탕으로 Ⓒ 식민지와 냉전의 겹침에 유의하여, Ⓑ 주체와 제도, 담론과 실천이라는 시각에서 북한의 ‘세계문학’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① 번역가의 DB작성 및 특징 분류
본 연구에서는 제도의 근거가 되는 교육 배경과 담론 생산의 근거가 되는 다양한 매체에 유의하여, 번역가 DB를 작성하고자 한다.
② 북한의 번역가론 논문 2편 작성
북한의 ‘세계문학’ 인식의 연구를 위한‘유형별 사례연구(case study)’로서, 식민지 시기부터 활동했던 번역가(번역가 A) 1명, 1945년 이후 북한에서 활동을 시작한 번역가(번역가 B) 1명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때 북한문학의 시기적 차이와 제도적 기반의 변동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서 번역가A와 번역가B를 선정할 계획이다. 번역가 A는 경성제국대학 영문과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 영문학 교수를 역임한 번역자 임학수이다. 그를 통해 식민지 아카데미즘과 냉전 아카데미즘의 연속과 비연속으로서 북한의 ‘세계문학’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1945년 이후에 교육을 받고 활동을 시작한 번역가(번역가B)는 이는 1차 연도 서지검토로 결정하고자 한다. 번역가 연구를 통해 북한의 ‘세계문학’ 인식의 제도, 담론, 실천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동시에 통시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현대문학사의 제도·개념·실천
K-MOOC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김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