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소형정보기기를 위한 지능형 가상 키패드 입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90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모바일 터치스크린 단말 상에서 텍스트 입력의 컨텍스트가 다양화 되면서, 작은 크기의 물리적 공간 제약에 다른 타이핑 효율 문제 해결 또한 중요한 논제가 되고 있다. 모바일 상에서 이를 ...

      모바일 터치스크린 단말 상에서 텍스트 입력의 컨텍스트가 다양화 되면서, 작은 크기의 물리적 공간 제약에 다른 타이핑 효율 문제 해결 또한 중요한 논제가 되고 있다. 모바일 상에서 이를 위한 여러 지원 기능들이 있는데, 영미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예측(Predictive Texting)기능은 인지적 레벨(Cognition Level)의 가장 대표적인 지원기능이며, 예측된 단어가 의도와 맞을 때에는 키 스트로크 효율을 높이지만,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단어가 제시되는 경우가 많아 화면 영역 과다 차지, 동음이의어 선택 태스크 추가, 단어삭제 추가 수행 에러 등 효율저하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측된 단어가 잘못 예측된 상황을 잠재적 Noise로 규정하고, 예측된 단어를 한번에 제시하는 인지적 레벨 지원 대신, 예측된 단어의 다음 철자를 단계별로 한 글자씩 키패드를 강조해주는 수행레벨(operation level support)을 함께 지원하는 PCNC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디자인 방식은 스마트폰 상의 프로토타입으로 제작되어, 일반적인 예측 모드와 사용자들의 입력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동일한 문장을 입력할 시 사용자 수행도를 비교한 결과 PCNC는 일반 입력체계 및 T9체계 대비 정확도, 오타율, 속도 비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율을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xt typing on touch screen of smart mobile devices is becoming more high frequency task. The goal and context of text input are developing broader while the limitation of physical size of operational area of mobile is affecting onto low efficiency of...

      Text typing on touch screen of smart mobile devices is becoming more high frequency task. The goal and context of text input are developing broader while the limitation of physical size of operational area of mobile is affecting onto low efficiency of task compared to full PC experiences One of the mobile text input aiding solutions, predictive texting function, is supporting users with suggestion of word on display which is close to users’ intention based on prediction from parsed characters. It is generating cognition level aid and contributes to reduce many key stokes for users in case the prediction is right. In the other hand, it causes cognitive and operational error for users to correct in addition ? taking large part of screen, additional selection task of similar spell, erasing miss typo- when the suggested word does not match with users’ intention. PCNC system, suggested in this research defines the wrong predicted word as noise, and supports users with highlighting the available one-keypad in advance with the order of spell instead of showing the full word in the popup on the screen. The comparative experiments was conducted with the mobile based prototype of PCNC and current predictive functions. The measure the efficiency of typing were elapsed time and error occurrence for task performance. The result showed that PCNC supports better performance than predictive text, especially when PCNC is combined with predictive tex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연구배경 및 목적
      • 2. 모바일 텍스트 입력 형태
      • 3. 예측형 인지 노이즈 제거 - PCNC
      • 요약
      • Abstract
      • 1. 연구배경 및 목적
      • 2. 모바일 텍스트 입력 형태
      • 3. 예측형 인지 노이즈 제거 - PCNC
      • 4. PCNC방식과 기존 방식 비교 실험
      • 5. 결론 및 추후 연구과제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석, "지속적으로 복잡해지는 제품의 사용자 경험을 해결하기 위한 디자인 경영가이드" 한국디자인학회 25 (25): 69-76, 2012

      2 김연지, "모바일 정보기기의 소지성이성과 텍스트 가독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형태적 특성" 한국디자인학회 19 (19): 323-332, 2006

      3 Limbourg, Q, "task-dialog and task-presentationmapping problem: some preliminary results,Interactive Systems: Design, Specification, andVerification" 227-246, 2001

      4 Card, S. K, "The keystroke-level model for user performance time with interactive systems" 23 : 396-410, 1980

      5 Norman, D, "The Design of Everyday Things" Doubleday Business 1990

      6 Yoo, S.H, "Modeling users' task performance on the mobile device: PC convergence system" 18 (18): 1084-1100, 2006

      7 Lahav.O, "Haptic-feedback support for cognitive mapping of unkown spaces by people who are blind" 23-35, 2007

      8 Wickens, C.D, "Engineering psychology and human performance" Harper Collins Publisher Inc 69-108, 1999

      9 Sears, A, "Data Entry for Mobile Devices Using Soft Keyboards: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Keyboard Size and User Tasks" 16 (16): 163-184, 2003

      10 Vicente,K.J., "Cognitive work analysi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9

      1 이동석, "지속적으로 복잡해지는 제품의 사용자 경험을 해결하기 위한 디자인 경영가이드" 한국디자인학회 25 (25): 69-76, 2012

      2 김연지, "모바일 정보기기의 소지성이성과 텍스트 가독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형태적 특성" 한국디자인학회 19 (19): 323-332, 2006

      3 Limbourg, Q, "task-dialog and task-presentationmapping problem: some preliminary results,Interactive Systems: Design, Specification, andVerification" 227-246, 2001

      4 Card, S. K, "The keystroke-level model for user performance time with interactive systems" 23 : 396-410, 1980

      5 Norman, D, "The Design of Everyday Things" Doubleday Business 1990

      6 Yoo, S.H, "Modeling users' task performance on the mobile device: PC convergence system" 18 (18): 1084-1100, 2006

      7 Lahav.O, "Haptic-feedback support for cognitive mapping of unkown spaces by people who are blind" 23-35, 2007

      8 Wickens, C.D, "Engineering psychology and human performance" Harper Collins Publisher Inc 69-108, 1999

      9 Sears, A, "Data Entry for Mobile Devices Using Soft Keyboards: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Keyboard Size and User Tasks" 16 (16): 163-184, 2003

      10 Vicente,K.J., "Cognitive work analysi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9

      11 Rasmussen, J., "Cognitive systems engineering"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1994

      12 Faraj.K.R, "BigKey: A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s, Human-Computer Interaction, Part III" 5612 : 3-1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4 0.52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