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 장단 지도를 위한 판소리 흥보가 내드름 연구 = A Study on Pansori Naedreum for Korean Jangdan Instruc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77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we have looked at the jangdans of Jajinmori and Jungjungmori, which are the most used for teaching the jangda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ng the jangdans used in Pansori Heungboga. And, based on the discussion, a plan that can be used for jangdan instru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suggest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edreum of Jungjungmori.
      The chapter in which the Jungjungmori Jangdan is used is 15 chapters out of 93 chapters of Heungboga, and appears in three forms: A, B, and C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 lyrics are posted.
      Among them, type A is the most suggested type, and 3 words and 2 feet are the basics, and lyrics are assigned to the remaining 3 beats except for the 4th beat, but if the lyrics in the second half are 4 syllables of type A', lyrics are also assigned to the 4th beat. Type B is basically 7 syllables, 2 words, and 2 feet, and all lyrics are placed in 4 beats. Type C has 4 words and 2 feet, and all 4 beats have lyrics.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type,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are strict, and lyrics movement between the first beat and the second beat and between the 3 beat and the 4 beat is relatively free.
      Next,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 naedreum of Jajinmori chapter.
      The chapter in which Jajinmori Jangdan is used is 9 of the 93 chapters of Heungboga, and each chapter is shown in two types, A and B,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 lyrics are posted. Among them, type A is the most suggested type in Heungboga, and 2 feet of 2 words or 3 words is the basic, and type B is more than 9 syllables, 4 words, and 2 feet. Also, regardless of the type, buchimsae has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and assigns lyrics to all beats, but does not place lyrics on the second simple.
      The following suggested a step-by-step method of teaching buchimsae of two jangdans, Jungjungmori and Jajinmori.
      First, the first stage was set as the stage of learning the basic types of buchimsae of Jungjungmori and Jajinmori. In the second stage, a composition of buchimsae according to the type of naedreum was presented from a low difficulty level to a gradually high level of difficulty, and students were encouraged to perform step-by-step buchimsae activities. In the third stage, the teacher or students change the order and make a new combination, and the composition is organized in the order of the main order of the Heungboga, or the teacher or students randomly mix 15 kinds of Jungjungmori and 9 kinds of Jajinmori to perform activities in various forms. As a method, it is mentioned that it stimulates students' interest and provides various experiences. In the final 4th step, students create lyrics, and they create lyrics for each group or individual, and introduce them as an activity to complete and sing buchimsa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ansori naedreum and buchimsae, helping to effectively teach the jangdan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and related research will continue.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we have looked at the jangdans of Jajinmori and Jungjungmori, which are the most used for teaching the jangda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ng the jangdans used in Pansori Heungboga. And, based on the discussion, a plan that can b...

      In this article, we have looked at the jangdans of Jajinmori and Jungjungmori, which are the most used for teaching the jangda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ng the jangdans used in Pansori Heungboga. And, based on the discussion, a plan that can be used for jangdan instru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suggest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edreum of Jungjungmori.
      The chapter in which the Jungjungmori Jangdan is used is 15 chapters out of 93 chapters of Heungboga, and appears in three forms: A, B, and C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 lyrics are posted.
      Among them, type A is the most suggested type, and 3 words and 2 feet are the basics, and lyrics are assigned to the remaining 3 beats except for the 4th beat, but if the lyrics in the second half are 4 syllables of type A', lyrics are also assigned to the 4th beat. Type B is basically 7 syllables, 2 words, and 2 feet, and all lyrics are placed in 4 beats. Type C has 4 words and 2 feet, and all 4 beats have lyrics.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type,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are strict, and lyrics movement between the first beat and the second beat and between the 3 beat and the 4 beat is relatively free.
      Next,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 naedreum of Jajinmori chapter.
      The chapter in which Jajinmori Jangdan is used is 9 of the 93 chapters of Heungboga, and each chapter is shown in two types, A and B,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 lyrics are posted. Among them, type A is the most suggested type in Heungboga, and 2 feet of 2 words or 3 words is the basic, and type B is more than 9 syllables, 4 words, and 2 feet. Also, regardless of the type, buchimsae has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and assigns lyrics to all beats, but does not place lyrics on the second simple.
      The following suggested a step-by-step method of teaching buchimsae of two jangdans, Jungjungmori and Jajinmori.
      First, the first stage was set as the stage of learning the basic types of buchimsae of Jungjungmori and Jajinmori. In the second stage, a composition of buchimsae according to the type of naedreum was presented from a low difficulty level to a gradually high level of difficulty, and students were encouraged to perform step-by-step buchimsae activities. In the third stage, the teacher or students change the order and make a new combination, and the composition is organized in the order of the main order of the Heungboga, or the teacher or students randomly mix 15 kinds of Jungjungmori and 9 kinds of Jajinmori to perform activities in various forms. As a method, it is mentioned that it stimulates students' interest and provides various experiences. In the final 4th step, students create lyrics, and they create lyrics for each group or individual, and introduce them as an activity to complete and sing buchimsa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ansori naedreum and buchimsae, helping to effectively teach the jangdan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and related research will continu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판소리 내드름에 사용된 장단 중 초등장단지도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자진모리와 중중모리 장단의 내드름을 살펴보고, 그를 바탕으로 초등장단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중모리 대목의 내드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흥보가 전체 93대목 중 중중모리 장단이 사용된 대목은 모두 15대목으로, 말붙임새에 따라 크게 A, B, C의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A형은 가장 많이 제시된 형으로, 3어절, 2음보가 기본이고, 제4박을 제외한 나머지 세 박에 가사를 배정하고 있으며, 후반부의 가사가 4음절인 A’형인 경우 제4박에도 가사를 배정하고 있다. B형은 2어절, 2음보가 기본으로, 상대적으로 음절수가 적은 7글자를 4박에 모두 고르게 가사를 배치하고 있다. C형은 4어절, 2음보가 기본이며, 4박 모두 고르게 가사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유형과 상관없이 말붙임새는 제1,2박의 전반부와 제3,4박의 후반부 구분이 엄격하며, 제1박과 2박 사이, 3박과 4박 사이의 사설 이동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자진모리 대목의 내드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흥보가 전체 93대목 중 자진모리 장단이 사용된 대목은 모두 9대목으로, 각 대목의 내드름은 말붙임새에 따라 크게 A, B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A형은 흥보가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형으로, 2어절이나 3어절의 2음보가 기본이며, B형은 9음절 이상, 4어절, 2음보가 기본으로 나타난다. 또한 유형과 상관없이 말붙임새는 제1,2박의 전반부와 제3,4박의 후반부 구분이 엄격하며, 제1박부터 제4박까지 고른 가사 배정과 둘째 소박을 비우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흥보가에 소개된 내드름의 사설 붙임새를 활용하여 중중모리 장단과 자진모리 장단의 말붙임새 지도를 단계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1단계에서는 중중모리 장단과 자진모리 장단의 말붙임새 기본형을 익히는 단계로 설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내드름의 유형별 붙임새를 낮은 난이도에서 점차 높은 난이도로 배열한 구성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단계적인 말붙임새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3단계에서는 지도교사 혹은 학생들이 순서를 바꾸어 새로운 조합으로 하는 단계로, 흥보가의 대목순으로 된 구성이나, 교사나 학생들이 중중모리 15가지, 자진모리 9가지 내드름을 무작위로 섞어서 다양한 형태로 활동을 하는 등,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을 강점으로 언급하였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가사를 창작하는 단계로, 모둠별 혹은 개인별로 가사를 만들어 말붙임새를 완성하고 불러보는 활동으로 소개하였다.
      이 연구가 판소리 내드름과 말붙임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장단 지도에 도움을 주고, 관련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판소리 내드름에 사용된 장단 중 초등장단지도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자진모리와 중중모리 장단의 내드름을 살펴보고, 그를 바탕으로 초등장단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

      이 글에서는 판소리 내드름에 사용된 장단 중 초등장단지도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자진모리와 중중모리 장단의 내드름을 살펴보고, 그를 바탕으로 초등장단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중모리 대목의 내드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흥보가 전체 93대목 중 중중모리 장단이 사용된 대목은 모두 15대목으로, 말붙임새에 따라 크게 A, B, C의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A형은 가장 많이 제시된 형으로, 3어절, 2음보가 기본이고, 제4박을 제외한 나머지 세 박에 가사를 배정하고 있으며, 후반부의 가사가 4음절인 A’형인 경우 제4박에도 가사를 배정하고 있다. B형은 2어절, 2음보가 기본으로, 상대적으로 음절수가 적은 7글자를 4박에 모두 고르게 가사를 배치하고 있다. C형은 4어절, 2음보가 기본이며, 4박 모두 고르게 가사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유형과 상관없이 말붙임새는 제1,2박의 전반부와 제3,4박의 후반부 구분이 엄격하며, 제1박과 2박 사이, 3박과 4박 사이의 사설 이동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자진모리 대목의 내드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흥보가 전체 93대목 중 자진모리 장단이 사용된 대목은 모두 9대목으로, 각 대목의 내드름은 말붙임새에 따라 크게 A, B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A형은 흥보가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형으로, 2어절이나 3어절의 2음보가 기본이며, B형은 9음절 이상, 4어절, 2음보가 기본으로 나타난다. 또한 유형과 상관없이 말붙임새는 제1,2박의 전반부와 제3,4박의 후반부 구분이 엄격하며, 제1박부터 제4박까지 고른 가사 배정과 둘째 소박을 비우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흥보가에 소개된 내드름의 사설 붙임새를 활용하여 중중모리 장단과 자진모리 장단의 말붙임새 지도를 단계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1단계에서는 중중모리 장단과 자진모리 장단의 말붙임새 기본형을 익히는 단계로 설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내드름의 유형별 붙임새를 낮은 난이도에서 점차 높은 난이도로 배열한 구성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단계적인 말붙임새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3단계에서는 지도교사 혹은 학생들이 순서를 바꾸어 새로운 조합으로 하는 단계로, 흥보가의 대목순으로 된 구성이나, 교사나 학생들이 중중모리 15가지, 자진모리 9가지 내드름을 무작위로 섞어서 다양한 형태로 활동을 하는 등,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을 강점으로 언급하였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가사를 창작하는 단계로, 모둠별 혹은 개인별로 가사를 만들어 말붙임새를 완성하고 불러보는 활동으로 소개하였다.
      이 연구가 판소리 내드름과 말붙임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장단 지도에 도움을 주고, 관련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예술사전 Ⅲ 한국음악사전" 평화당인쇄주식회사 1985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삼화인쇄주식회사 1999

      3 이보형, "판소리 내드름이 지시하는 장단리듬 통사의미론" 한국국악학회 29 : 2001

      4 양종모, "음악교과서 3-6" 천재교과서 2019

      5 장기범, "음악교과서 3-6" 미래엔 2019

      6 허정미, "음악교과서 3-6" 지학사 2019

      7 홍종건, "음악교과서 3-6" 아이비엠 2019

      8 석문주, "음악교과서 3-6" 동아출판 2019

      9 김용희, "음악교과서 3-6" ㈜금성출판사 2019

      10 김애경, "음악교과서 3-6" 천재교육 2019

      1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예술사전 Ⅲ 한국음악사전" 평화당인쇄주식회사 1985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삼화인쇄주식회사 1999

      3 이보형, "판소리 내드름이 지시하는 장단리듬 통사의미론" 한국국악학회 29 : 2001

      4 양종모, "음악교과서 3-6" 천재교과서 2019

      5 장기범, "음악교과서 3-6" 미래엔 2019

      6 허정미, "음악교과서 3-6" 지학사 2019

      7 홍종건, "음악교과서 3-6" 아이비엠 2019

      8 석문주, "음악교과서 3-6" 동아출판 2019

      9 김용희, "음악교과서 3-6" ㈜금성출판사 2019

      10 김애경, "음악교과서 3-6" 천재교육 2019

      11 장기범, "음악교과서 3-6" Mirae N 2019

      12 김혜정, "민요의 채보와 해석" 민속원 2013

      13 국립국악원, "국악전집 13 흥보가" 세신문화사 1985

      14 변미혜, "국악 용어 편수 자료집 1" 민속원 2008

      15 이상규, "교육과정 개정시기별 국정교과서에 나타난 초등국악교육" 한국국악교육학회 45 (45): 63-91, 2018

      16 이상규, "교과서를 통해 본 초등 국악 가창 제재곡 변천 연구" 한국국악교육학회 44 (44): 145-172, 2017

      17 이상규,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국악 장단의 강세 연구" 한국국악교육학회 48 (48): 3-32,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3-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악과교육 -> 국악교육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51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