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상현실을 이용한 흡기근 저항운동이 흉곽 움직임 제한이 있는 여성환자의 가로막 움직임과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Virtual Reality Inspiratory Muscle Training on Diaphragm Movement and Respiratory Function in Female Patients with Thoracic Restri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900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in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conventional inspiratory muscle training on diaphragm movement and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thoracic restriction. METHODS: This stud...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in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conventional inspiratory muscle training on diaphragm movement and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thoracic restriction.
      METHODS: This study measured diaphragm movement,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peak expiratory flow (PEF), and thoracic mobility (upper, middle, and lower trunk)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Forty young women between 19 and 24 years of age who had no history of orthopedic symptoms for the last 6 month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virtual reality in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diaphragm breathing,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conventional in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diaphragm breathing.
      RESULTS: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lower trunk mobility and PE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lower trunk mobility. Particular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diaphragm movement (p<.05), FVC (p<.05), FEV1 (p<.05), and PEF (p<.05) relative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We recommend inspiratory muscle training with a virtual reality program over conventional training to improve diaphragm movement and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thoracic restri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난수, "호흡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횡격막 비대칭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 8 (8): 263-269, 2013

      2 주정열, "호흡근 강화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호흡능력 및 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 20 (20): 285-292, 2010

      3 조명래, "호흡근 강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호흡근력과 기침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 9 (9): 399-406, 2014

      4 최정근, "한국인의 정상 폐활량 예측치"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58 (58): 230-242, 2005

      5 최성진, "집중적인 흉부가동성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과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221-239, 2012

      6 강민수, "정상 아동과 뇌성마비 아동의 감소된 횡격막움직임 및 호흡 기능의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5 (25): 12-21, 2018

      7 한지혜, "전자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480-488, 2010

      8 남수진, "실시간 초음파를 이용한 횡격막 호흡 훈련이 흉곽 가동성 제한이 있는 젊은 여성들의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4 (24): 27-36, 2017

      9 전혜원, "들숨근 저항운동이 젊은 성인 여성의 가로막 움직임과 호흡기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대한물리의학회 13 (13): 73-80, 2018

      10 김중선, "가상현실치료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과 뇌 재조직화에 미치는 사례보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4 (44): 87-106, 2005

      1 김난수, "호흡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횡격막 비대칭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 8 (8): 263-269, 2013

      2 주정열, "호흡근 강화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호흡능력 및 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 20 (20): 285-292, 2010

      3 조명래, "호흡근 강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호흡근력과 기침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 9 (9): 399-406, 2014

      4 최정근, "한국인의 정상 폐활량 예측치"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58 (58): 230-242, 2005

      5 최성진, "집중적인 흉부가동성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과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221-239, 2012

      6 강민수, "정상 아동과 뇌성마비 아동의 감소된 횡격막움직임 및 호흡 기능의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5 (25): 12-21, 2018

      7 한지혜, "전자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480-488, 2010

      8 남수진, "실시간 초음파를 이용한 횡격막 호흡 훈련이 흉곽 가동성 제한이 있는 젊은 여성들의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4 (24): 27-36, 2017

      9 전혜원, "들숨근 저항운동이 젊은 성인 여성의 가로막 움직임과 호흡기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대한물리의학회 13 (13): 73-80, 2018

      10 김중선, "가상현실치료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과 뇌 재조직화에 미치는 사례보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4 (44): 87-106, 2005

      11 김은자,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회 30 (30): 1107-1116, 2010

      12 Harper CJ, "Variability in diaphragm motion during normal breathing, assessed with b-mode ultrasound" 43 (43): 927-931, 2013

      13 Kisner C,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Davis 2012

      14 Miller MR, "Standardisation of spirometry" 26 (26): 319-338, 2005

      15 Finkelstein SM,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pirometry measurements in a paperless home monitoring diary program for lung transplantation" 22 (22): 523-533, 1993

      16 Reychler G,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Incentive Spirometry o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Chest Wall Expansion, and Lung Function in Elderly Adults" 64 (64): 1128-1130, 2016

      17 Pryor JA, "Physiotherapy for respiratory and cardiac problems: Adults and paediatrics" Elsvier Health science 2008

      18 Bockenhauer SE, "Measuring thoracic excursion : Reliability of the cloth tape measure technique" 107 (107): 191-196, 2007

      19 Epelman M, "M-mode sonography of diaphragmatic motion : description of technique and experience in 278 pediatric patients" 35 (35): 661-667, 2005

      20 Muscolino JE, "Know the Body" Elsvier 2012

      21 Ryu YW, "Introduction to Physical Therapy" Sumunsa 2012

      22 Moodie L,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creases inspiratory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eaning from mechanical ventilation a systematic review" 57 (57): 213-221, 2011

      23 Weiner P, "Inspiratory Muscle Training Combined with General Exercise Reconditioning in Patients with COPD" 102 (102): 1351-1356, 1992

      24 Lee KI, "Human Physiology" Hyumnosa 2009

      25 Cahalin LP, "Efficacy of diaphragmatic breathing in person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A review of the literature" 22 (22): 7-21, 2002

      26 Boussuges A, "Diaphragmatic motion studied by m-mode ultrasonography : Methods, reproducibility, and normal values" 135 (135): 391-400, 2009

      27 Lanza F, "Chest wall mobility is related to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lung volumes in healthy subjects" 63 (63): 105-117, 2013

      28 Moll JM, "An objective clinical study ofchest expansion" 31 (31): 225-226, 19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89 0.56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