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지진에 대한 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기존 원전 구조물에 면진장치를 설치하는 방안이 도입되고 있다. 면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부구조와 지반의 거동을 격리시킬 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37053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55-362(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규모 지진에 대한 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기존 원전 구조물에 면진장치를 설치하는 방안이 도입되고 있다. 면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부구조와 지반의 거동을 격리시킬 수 ...
대규모 지진에 대한 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기존 원전 구조물에 면진장치를 설치하는 방안이 도입되고 있다. 면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부구조와 지반의 거동을 격리시킬 수 있고, 구조물 자체의 고유주기가 길어지게 되는데, 이를 통 해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응답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원전구조물 설계 시 원전구조물 자체뿐만 아니라 원전 내 부 기기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특정 층에 위치한 기기의 설계를 위해 각 층의 최대 요구 응답을 나타 내는 층응답스펙트럼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원전 구조물의 지진해석을 통해 특정 층의 층응답스펙트럼을 평가하고, 면진 장치의 거동 특성중 하나인 2차 경화에 대한 영향 또한 평가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against strong earthquakes, isolation devices on the existing nuclear power plant have been introduced. By applying the isolation device on structures, it is possible to isolate structures from the ground motion. There...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against strong earthquakes, isolation devices on the existing nuclear power plant have been introduced. By applying the isolation device on structures, it is possible to isolate structures from the ground motion. Therefore, the natural frequencies of the structures become longer, and the responses of the structures due to the ground motion decrease. Especially, when designing the nuclear power plant, it is important to ensure the safety of internal devices as well as the nuclear power plant itself. The floor response spectrum is commonly used in designing the internal devices. In this research, floor response spectrum is evaluated and the effect of second hardening behavior is investigated by performing earthquake analysi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경석, "비구조요소의 내진 설계를 위한 기존 층응답스펙트럼의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17 (17): 279-291, 2013
2 Wilson, E. L., "SAP2000-Structural Analysis Users Manual"
3 U. S. NRC, "Regulatory Guide 1.60,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Design of Nuclear Plants"
4 U.S. NRC, "Regulatory Guide 1.122, Development of Floor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Design of Floor-Supported Equipment or Components"
5 Mazzoni, S., "OpenSees Command Language Manual"
6 KEPCO & KHNP, "APR1400 Design Control Document Rev.0"
7 Nelder, J. A., "A Simplex Method for Function Minimization" 7 (7): 308-313, 1965
8 McKay, M.D., "A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Selecting Values of Input Variables in the Analysis of Output from a Computer Code" 42 (42): 55-61, 2000
1 최경석, "비구조요소의 내진 설계를 위한 기존 층응답스펙트럼의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17 (17): 279-291, 2013
2 Wilson, E. L., "SAP2000-Structural Analysis Users Manual"
3 U. S. NRC, "Regulatory Guide 1.60,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Design of Nuclear Plants"
4 U.S. NRC, "Regulatory Guide 1.122, Development of Floor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Design of Floor-Supported Equipment or Components"
5 Mazzoni, S., "OpenSees Command Language Manual"
6 KEPCO & KHNP, "APR1400 Design Control Document Rev.0"
7 Nelder, J. A., "A Simplex Method for Function Minimization" 7 (7): 308-313, 1965
8 McKay, M.D., "A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Selecting Values of Input Variables in the Analysis of Output from a Computer Code" 42 (42): 55-61, 2000
교량 구성요소의 기능적 특징을 고려한 PLIB 기반 제품 분류체계 – 형상 정보모델링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2 | 0.2 | 0.443 | 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