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오성, "한민족음악론" 학문사 1999
2 한만영, "한국전통음악연구" 도서출판 풍남 171-195, 1991
3 장사훈, "한국의 음계" 운초민족음악자료관 1992
4 이혜구, "한국음악이론" 민속원 2005
5 이혜구, "한국음악개요" 국민음악연구 53-82, 1975
6 황준연, "한국 전통음악의 악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179-189, 2005
7 황준연, "한국 전통음악의 악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1-27, 2005
8 김영운, "한국 민요 선법의 특징-기존 연구 성과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28 : 15-45, 2000
9 송방송, "한겨레음악대사전-상/하" 도서출판 보고사 2012
10 임미선, "학교에서의 민요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민요학회 42 : 205-236, 2014
1 권오성, "한민족음악론" 학문사 1999
2 한만영, "한국전통음악연구" 도서출판 풍남 171-195, 1991
3 장사훈, "한국의 음계" 운초민족음악자료관 1992
4 이혜구, "한국음악이론" 민속원 2005
5 이혜구, "한국음악개요" 국민음악연구 53-82, 1975
6 황준연, "한국 전통음악의 악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179-189, 2005
7 황준연, "한국 전통음악의 악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1-27, 2005
8 김영운, "한국 민요 선법의 특징-기존 연구 성과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28 : 15-45, 2000
9 송방송, "한겨레음악대사전-상/하" 도서출판 보고사 2012
10 임미선, "학교에서의 민요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민요학회 42 : 205-236, 2014
11 김정희, "평안도지역 토속민요의 선율구조" 한국음악사학회 (33) : 151-196, 2004
12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심정순家의 소리" 민속원 2009
13 배인교, "충청도 토리를 찾기 위한 시론 『MBC 한국민요대전』 수록 논매기소리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12 : 159-184, 2003
14 "초등학교 음악6" 태림출판사 2011
15 "초등학교 음악6" 금성출판사 2011
16 "초등학교 음악5" 천재교육 2011
17 김혜정, "초등 음악 교과의 경기민요 교육과 개선방안" 한국국악교육학회 31 (31): 61-78, 2011
18 김영운, "초당정호돈원장 고희기념논총 강릉문화산책" 고희기념 논총간행위원회 565-597, 2005
19 김영운, "초․중등교사를 위한 우리음악의 이론" 국립국악원 1995
20 변미혜,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수심가토리와 경토리 민요의 지도 내용 고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8 (8): 59-82, 2014
21 이보형, "조(調)가 지시하는 선법과 토리의 개념" 한국국악학회 51 : 245-271, 2012
22 오남훈, "제주도 토속민요의 선율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23 백대웅, "전통음악개론" 도서출판 어울림 1995
24 전지영, "전라남도 민요의 분포와 특징 논매기소리와 모심기소리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12 : 325-347, 2003
25 이보형, "육자백이토리 음조직연구" 한국국악학회 24 : 11-30, 1996
26 정서은, "영제시조창의 지역성 연구 -영남 메나리토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46) : 117-150, 2012
27 이성천, "알기쉬운 국악개론" 도서출판 풍남 1995
28 이보형, "소암권오성박사화갑기념 음악학논총" 민속원 511-533, 2000
29 신은주, "서해안지역 배치기소리의 토리 고찰" 한국민요학회 28 : 111-146, 2010
30 김인숙, "서도 메나리에 관한 음악적 고찰" 한국민요학회 23 : 289-327, 2008
31 신은주, "배치기소리의 교육적 활용 가치 -초·중·고 교과서 내 서도 민요 제재곡 개발과 관련하여-" 한국민요학회 34 : 87-145, 2012
32 김혜정, "민요의 채보와 해석" 민속원 2013
33 김정희, "민요의 시김새 유형에 관한 일고찰" 한국국악학회 46 : 49-80, 2009
34 장휘주, "메나티토리권의 무가 민요 범패의 선율적 특징" 한국무속학회 (20) : 127-142, 2010
35 이보형, "메나리조(산유화제)" 한국국악학회 2 : 111-131, 1972
36 최헌, "메나리와 육자백이 연구" 한국국악학회 27 : 7-28, 1999
37 윤명원, "동부민요의 음악적 특징 연구 -함경도민요의 분석을 통한 메나리 토리의 특징론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33 : 75-95, 2003
38 서한범, "국악통론" 태림출판사 1991
39 백대웅, "국악용어 해설집" 도서출판 보고사 2007
40 국립국악원, "국악용어 표준안"
41 국립국악원, "국악교육의 이론과 실기" 국립국악원 2003
42 장사훈, "국악개론" 한국국악학회 1975
43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44 박경희, "교재곡 개발을 위한 메나리조 민요의 계열화 방안 연구" 한국국악교육학회 24 : 51-105, 2006
45 최헌, "고성농요"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46 이보형, "경서토리 음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 문화재연구소 1992
47 이해식, "경상도쪼(調) 민요의 통시성과 토속성" 서울대학교 음악대학부설 동양음악연구소 17 : 41-75, 1995
48 정서은, "경상도지역 민요에 나타나는 경토리의 변화양상 연구-경상남도 함양을 중심으로-" 민속학연구소 (28) : 221-242, 2014
49 장휘주, "경남·경북 동해안 무악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50 이윤정, "경기도 서북부지역과 황해도의 논농사소리 비교연구" 한국민요학회 (18) : 291-324, 2006
51 신은주, "경기 지역 민요 토리에 관한 고찰 -어업요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11 : 113-135, 2002
52 趙泳培, "濟州道 民謠의 音樂樣式 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