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객서비스 개념이 강화됨에 따라 공사조직을 불문하고 고객에 대한 적절한 감정표현과 행동규칙의 준수가 강조되고, 이로 인해 조직원들의 대고객 감정노동의 증가가 인적자원관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91054
2013
Korean
emotional labor ; emotional exhaustion ; job performance ; job satisfaction ; intention of turnover ; 감정노동 ; 감정소진 ; 직무성과 ; 직무만족 ; 이직의도
KCI등재
학술저널
1-24(24쪽)
4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고객서비스 개념이 강화됨에 따라 공사조직을 불문하고 고객에 대한 적절한 감정표현과 행동규칙의 준수가 강조되고, 이로 인해 조직원들의 대고객 감정노동의 증가가 인적자원관리...
최근 고객서비스 개념이 강화됨에 따라 공사조직을 불문하고 고객에 대한 적절한 감정표현과 행동규칙의 준수가 강조되고, 이로 인해 조직원들의 대고객 감정노동의 증가가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소외가설에 입각하여 감정노동이 직무성과를 저해하는 것으로 논의하고 있으나 이론적으로 보면 반대로 직무성과가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감정노동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서울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들에 대한 표본조사를 통해 이들의 감정노동 정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간호사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지만, 특히 감정노동의 3가지 측면 중 감정의 부조화, 감정적 소진은 직무성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감정노동의 빈도는 상관관계가 없거나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논의와 달리 감정노동 그 자체는 직무성과와 중립적 관계일 수 있음을 함의하며, 오히려 조직원들의 직무만족 제고 및 이직의도 감소를 위해 감정노동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보상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organizations have recently put a focu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have supervised whether their staffs express proper emotion to customers and abide by the rules of action. The status of patients has been continuously changed from recipients ...
Many organizations have recently put a focu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have supervised whether their staffs express proper emotion to customers and abide by the rules of action. The status of patients has been continuously changed from recipients of medical service to claimants of the service in their own right. Accordingly, medical staffs, in particular nurses, seem to have growingly experienced intense emotional lab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nurses have emotional labor and investigate the impa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turnover. To achieve it, self-comple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0 nurses at a senior general hospital at Seoul and a total of 185 responses were collected. With the primary data analyzed, some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emotional labor of nurses is relatively higher while their job satisfaction is low; second, emotional labor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f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job characteristics, wages and benefits, relations with seniors, promotion, and relations with colleagues; and third, emotional labor also has an effect on the intention of turnover.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주,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21 (21): 129-141, 1998
2 최가영, "호텔종사원의 소진과 선행변인에 관한 연구" 9 : 142-, 2000
3 이유라,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185-203, 2010
4 김헌형,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29 : 127-144, 2008
5 우찬복, "호텔종사원 직무만족과 직무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18 (18): 3-28, 1995
6 김형섭,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19 (19): 12-224, 2005
7 윤선영,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항행학회 14 (14): 1-10, 2010
8 양승범, "한국 지방공무원의 감정노동(Emotional Labor)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2 (22): 219-236, 2010
9 서문식, "판매원의 감정부조화와 감정적 고갈이 고객지향성 및 고객의 서비스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17 (17): 47-75, 2002
10 전경자, "최근 10년간 한국 간호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분석" 간호행정학회 15 (15): 305-313, 2009
1 김민주,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21 (21): 129-141, 1998
2 최가영, "호텔종사원의 소진과 선행변인에 관한 연구" 9 : 142-, 2000
3 이유라,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185-203, 2010
4 김헌형,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29 : 127-144, 2008
5 우찬복, "호텔종사원 직무만족과 직무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18 (18): 3-28, 1995
6 김형섭,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19 (19): 12-224, 2005
7 윤선영,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항행학회 14 (14): 1-10, 2010
8 양승범, "한국 지방공무원의 감정노동(Emotional Labor)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2 (22): 219-236, 2010
9 서문식, "판매원의 감정부조화와 감정적 고갈이 고객지향성 및 고객의 서비스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17 (17): 47-75, 2002
10 전경자, "최근 10년간 한국 간호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분석" 간호행정학회 15 (15): 305-313, 2009
11 김성혁, "직무만족과 서비스제공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8개 특1급호텔을 중심으로" 16 (16): 17-32, 1992
12 제갈돈, "지방공무원의직무만족결정요인" 한국행정학회 36 (36): 263-280, 2002
13 오세윤,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조직몰입과 감성의 영향: 병원조직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3 (13): 49-75, 2006
14 윤숙희, "조직관리특성과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 및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사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7 (17): 451-466, 2004
15 최성욱, "조직 유해성과 감정관리: Peter J. Frost의 논의를 기반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4 (14): 149-174, 2007
16 김상묵, "정부조직의 직무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39 (39): 63-86, 2005
17 박현주, "임상간호사의 정서노동, 정서표현과 소진" 간호행정학회 15 (15): 225-232, 2009
18 변대식,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 간호행정학회 15 (15): 444-454, 2009
19 고현진,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업무환경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20 김영조, "서비스 직원의 감정노동 수행과 직무소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2 (32): 95-128, 2008
21 어금숙, "병원 임상간호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병원간호사회 9 (9): 81-92, 2004
22 윤혜진, "병원 영양사들의 소진과 직무만족 요인 및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영양사협회 16 (16): 195-207, 2010
23 김상구, "공공부문의 감정노동 : 일선행정 민원공무원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3 (13): 51-70, 2009
24 조현익, "골프 지도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직업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9) : 87-101, 2010
25 정명숙, "감정노동이 조직의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의료경영대학원 2006
26 김상표, "감정노동 - 인간감정의 상업화에 대한 평가와 대안의 모색 -" 경영연구소 39 (39): 205-234, 2002
27 김미란,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3 (13): 335-344, 2007
28 정정희,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 간호행정학회 14 (14): 35-44, 2008
29 이해정, "간호사의 이직의도 판별예측인자" 8 (8): 381-392, 2002
30 김인순,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간호행정학회 15 (15): 515-526, 2009
31 김영희, "간호사가 지각하는 직무과부하, 상사부하관계의 질 및 정서적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 검증 -" 간호행정학회 15 (15): 372-381, 2009
32 Sutton, R. I., "Untang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layed Emotions and Organizational Sales: The Case of Convenience Stores" 31 (31): 461-487, 1988
33 Wharton, A. S., "The Psychosocial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Labor in the Service Economy 561 : 158-176, 1999
34 Morris, J. A.,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21): 986-1010, 1996
35 Brotheridge, C. M., "Test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7 (7): 57-67, 2002
36 Sachau, D. A., "Resurrecting the Motivation-Hygiene Theory: Herzberg and the Positive Psychology Movement" 6 (6): 377-393, 2007
37 Cherniss, C., "Professional Burnou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 Praeger Publishers 1980
38 Tietjen, M. A.,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36 (36): 226-231, 1998
39 Koslowsky, M., "Modeling the Stress-strain Relationship in Work Setting" Routledge 1998
40 Bendapudi, N, "Managing Business-to-Business Customer Relationships following Key Contact Employee Turnover in a Vendor Firm" 66 (66): 83-101, 2002
41 Sutton, R. I., "Maintaining Norms about Expressed Emotions: The Case of Bill Collectors" 36 (36): 245-268, 1991
42 Stordeur, S., "Leadership, Organizational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among Hospital Nursing Staff" 35 (35): 533-542, 2001
43 Scarpello, V., "Job Satisfaction and the Fit between Individual Needs and Organizational Rewards" 56 (56): 315-328, 2011
44 Jürgensen, C. E., "Job Preferences (What makes a Job Good or Bad?)" 63 (63): 267-276, 1978
45 Kemper, T. D., "How Many Emotions are There? Wedding the Social and the Autonomic Components" 93 (93): 263-289, 1987
46 Kim, H. -J., "Hotel Service Providers’ Emotional Labor: The Antecedents and Effects on Burnout" 27 (27): 151-161, 2008
47 Becker, T. E., "Foci and Bases of Commitment: Are They Distinctions Worth Making?" 35 (35): 232-244, 1992
48 James, N., "Emotional Labour: Skill and Work in the Social Regulation of Feelings" 37 (37): 15-42, 1989
49 Ashforth, B. E,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18 (18): 88-115, 1993
50 Brotheridge, C. M.,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60 : 17-39, 2002
51 Hochschild, A. R.,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85 (85): 551-575, 1979
52 Grandey, A. A.,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5 (5): 95-110, 2000
53 Totterdell, P., "Emotion Regulation in Customer Service Roles: Testing a Model of Emotional Labor" 8 (8): 55-73, 2003
54 마크윌딩, "Do Local Government Employees in Korea Engage in Emotional Labor and Do They Feel Stressed, Exhausted and/or Satisfied? : The Results of a Survey in Bucheon City"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279-296, 2012
55 Larson, E. B., "Clinical Empathy as Emotional Labor in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293 (293): 1100-1106, 2005
56 Pines, A. M., "Career Burnout: Causes and Curses" Free Press 1988
57 Schaufeli, W. B., "Burnout Companion to Study and Practice: A Critical Analysis" Talyor & Francis 1998
58 Kinicki, A. J.,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Job Descriptive Index: A Review and Meta-Analysis" 87 (87): 14-32, 2002
59 Schaubroeck, J., "Antecedents of Workplace Emotional Labor Dimensions and Moderators of their Effects on Physical Symptoms" 163-183, 2000
60 Garrett, D. K., "A New Look at Nurse Burn-out: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Social Climate" 31 (31): 91-96, 2001
61 Arnold, H. J, "A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Job Turnover" 67 (67): 350-360, 1982
거주지역간 차이가 소득과 삶의 질에 미치는 동태적 변화패턴 분석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시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5 | 0.85 | 0.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1 | 1.01 | 1.11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