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하천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 = Analysis on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in urban River Bas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103246

      • 저자
      • 발행사항

        금산 :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부대학교 대학원 , 토목공학과 , 2013. 2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vi, 59 p.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이주헌

      • 소장기관
        • 중부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유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분석에 대해 실시하였다.
      하천 유출량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위 관측소를 중심으로 유량측정 지점을 선정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유량측정결과로 하천의 홍수 전·후의 단면형태와 단면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산출된 유량을 활용한 Rating Curve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Rating Curve를 이용하여 실시간 수위 변화량의 유출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Hydrograph를 작성하였다.
      유량측정 시 수질측정도 함께 병행하였으며, 측정된 시료는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명과학연구센터에 수질검사를 의뢰하였다.
      수질분석결과는 Rating Curve를 활용하여 부하량개념의 EMC를 산정 하였으며, 수질분석결과와 유출량으로 Hydro - Polluto Graph를 작성하였다. 작성을 통하여 판암교 지점에서 높은 농도 나타낸 수질항목으로 BOD, SS, DO, T-N, T-P, NH3-N 항목이며, 철갑교 지점에서는 COD수질항목으로 조사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판암교 지점과 철갑교 지점의 수질항목별 상관분석 및 수질검토를 통하여 도시하천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유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분석에 대해 실시하였다. 하천 유출량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위 관측소를 중심으로 유량측정 지점을 선정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유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분석에 대해 실시하였다.
      하천 유출량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위 관측소를 중심으로 유량측정 지점을 선정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유량측정결과로 하천의 홍수 전·후의 단면형태와 단면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산출된 유량을 활용한 Rating Curve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Rating Curve를 이용하여 실시간 수위 변화량의 유출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Hydrograph를 작성하였다.
      유량측정 시 수질측정도 함께 병행하였으며, 측정된 시료는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명과학연구센터에 수질검사를 의뢰하였다.
      수질분석결과는 Rating Curve를 활용하여 부하량개념의 EMC를 산정 하였으며, 수질분석결과와 유출량으로 Hydro - Polluto Graph를 작성하였다. 작성을 통하여 판암교 지점에서 높은 농도 나타낸 수질항목으로 BOD, SS, DO, T-N, T-P, NH3-N 항목이며, 철갑교 지점에서는 COD수질항목으로 조사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판암교 지점과 철갑교 지점의 수질항목별 상관분석 및 수질검토를 통하여 도시하천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nalysis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for non-pollution source for urban river basins was also carried out.
      Discharge measurement points were selected centering from the water level gauging stations to investigate the discharge status of rivers.
      With discharge measurement results, the sectional profiles and changes amount of section before and after flood were analyzed. The Rating Curve was drawn using the estimated discharge at each section.
      Also, hydrograph was prepared to figure out the discharge mode of water level changes at real time with the help of prepared Rating Curve.
      Water quality measurement was also simultaneously carried out during discharge measurements. The measured samples were sent for the water quality analysis to the Life Science Analysis Research Cente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Joongbu University.
      The EMC of pollutant load concept was estimated using the rating curve with water quality results. Hydro - Polluto Graph was prepared using the water quality analysis results and discharges. Hydro-Polluto Graph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indicators with higher concentrations were BOD, SS, DO, T-N, T-P, and NH3-N at Pan Am Bridge point. While water quality indicator COD was found high at Cheol Gap Bridg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water quality analysis between Pan Am Bridge and Cheol Gap Bridge could provide the ideas about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of urban river basin.
      번역하기

      In this study, analysis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for non-pollution source for urban river basins was also carried out. Discharge measurement points were selected centering from the water level gauging stations to investigate the discharge statu...

      In this study, analysis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for non-pollution source for urban river basins was also carried out.
      Discharge measurement points were selected centering from the water level gauging stations to investigate the discharge status of rivers.
      With discharge measurement results, the sectional profiles and changes amount of section before and after flood were analyzed. The Rating Curve was drawn using the estimated discharge at each section.
      Also, hydrograph was prepared to figure out the discharge mode of water level changes at real time with the help of prepared Rating Curve.
      Water quality measurement was also simultaneously carried out during discharge measurements. The measured samples were sent for the water quality analysis to the Life Science Analysis Research Cente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Joongbu University.
      The EMC of pollutant load concept was estimated using the rating curve with water quality results. Hydro - Polluto Graph was prepared using the water quality analysis results and discharges. Hydro-Polluto Graph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indicators with higher concentrations were BOD, SS, DO, T-N, T-P, and NH3-N at Pan Am Bridge point. While water quality indicator COD was found high at Cheol Gap Bridg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water quality analysis between Pan Am Bridge and Cheol Gap Bridge could provide the ideas about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of urban river bas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배경 1
      • 1.2 연구동향 2
      • 1.3 연구내용 3
      • 제 2 장 연구방법 5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배경 1
      • 1.2 연구동향 2
      • 1.3 연구내용 3
      • 제 2 장 연구방법 5
      • 2.1 대상유역 현황 5
      • 2.1.1 IHP 시험현황 5
      • 2.1.2 유역현황 6
      • 2.1.3 토양도, 토지이용도, 하수관망도 현황 7
      • 2.1.4 수문관측소 현황 10
      • 2.1.5 관측시설 현황 11
      • 2.2 수문 및 수질자료의 구축 12
      • 2.2.1 강우자료 12
      • 2.2.2 유량측정 13
      • 제 3 장 수문 및 수질자료 모니터링 14
      • 3.1 유량측정 14
      • 3.1.1 Rating Curve 14
      • 3.1.2 Hydrograph 16
      • 3.2 수질측정 21
      • 3.2.1 수질자료 21
      • 3.2.2 EMC 27
      • 제 4 장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 분석 30
      • 4.1.1 Hydro - Polluto Graph 30
      • 4.1.2 수질항목별 상관계수 43
      • 4.1.3 관측소별 수질검토 50
      • 제 5 장 결 론 52
      • 참 고 문 헌 54
      • 요 지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