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1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포항시에 소재한 2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2학급 만 5세 유아 30명이다. 실험집단은 H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5명(남 6명, 여 9명)이며, 통제집단은 O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5명(남 8명, 여 7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창의성을 검사하기 위해 개발된 노영희, 김경철, 김호(2006)의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척도(Teacher's Creativity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TCRSYC)를 사용하였다. 실험 집단은 한 권의 그림책과 관련한 자기표현활동을 주 2회씩 총 16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5세 누리과정 생활주제에 따른 일반적인 유치원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확산적 사고, 호기심, 몰입, 탈규범성, 독립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포항시에 소재한 2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2학급 ...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포항시에 소재한 2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2학급 만 5세 유아 30명이다. 실험집단은 H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5명(남 6명, 여 9명)이며, 통제집단은 O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5명(남 8명, 여 7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창의성을 검사하기 위해 개발된 노영희, 김경철, 김호(2006)의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척도(Teacher's Creativity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TCRSYC)를 사용하였다. 실험 집단은 한 권의 그림책과 관련한 자기표현활동을 주 2회씩 총 16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5세 누리과정 생활주제에 따른 일반적인 유치원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확산적 사고, 호기심, 몰입, 탈규범성, 독립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participants were 30 young children aged 5, in two different classes of two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P, Gyeongsangbuk-do.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15 young children aged 5(6 boys, 9 girls), i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H Elementary School.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15 young children aged 5(8 boys, 7 girls), i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O Elementary School.As for a research tool, this study used “Teacher's Creativity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TCRSYC” devised by Noh Young-Hee, Kim Kyoung-Chul and Kim Ho(2006), measure young children's creativity.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a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under a general kindergarten activities with weekly topics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5 year-olds.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for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totalling 16 times.As a result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1). It suggests the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First, as a result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divergent thinking, which is the cognitive factor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1). Second, as a result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positional factors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curiosity(p<.05), flow(p<.05), post-normativity(p<.05) and independence(p<.01).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participants were 30 young children aged 5, in two different classes of two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P,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participants were 30 young children aged 5, in two different classes of two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P, Gyeongsangbuk-do.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15 young children aged 5(6 boys, 9 girls), i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H Elementary School.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15 young children aged 5(8 boys, 7 girls), i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O Elementary School.As for a research tool, this study used “Teacher's Creativity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TCRSYC” devised by Noh Young-Hee, Kim Kyoung-Chul and Kim Ho(2006), measure young children's creativity.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a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under a general kindergarten activities with weekly topics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5 year-olds.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for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totalling 16 times.As a result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1). It suggests the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First, as a result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divergent thinking, which is the cognitive factor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1). Second, as a result of self-expressive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positional factors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curiosity(p<.05), flow(p<.05), post-normativity(p<.05) and independence(p<.01).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 약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연구 도구
      • 요 약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연구 도구
      • 3. 연구 절차
      • 4. 자료 처리
      • Ⅲ. 결 과
      • 1.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김명순,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다음세대 2002

      3 국립국어원, "개정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8

      4 Williams, F., "Creativity assessment packet" D. O. K 1980

      5 Zipes, J., "Creative storytelling" Routledge 1995

      6 Torrance, E. P., "Are children becoming more creative?" 20 (20): 1-13, 1983

      7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2

      8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3

      1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김명순,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다음세대 2002

      3 국립국어원, "개정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8

      4 Williams, F., "Creativity assessment packet" D. O. K 1980

      5 Zipes, J., "Creative storytelling" Routledge 1995

      6 Torrance, E. P., "Are children becoming more creative?" 20 (20): 1-13, 1983

      7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2

      8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10-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4-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