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여성시회의 지향의식과 문학사적 의미 -삼호정시회(詩會)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ientational Consciousness and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In A Women Poetry Club of the Late Joseon Period: Focus on Samhojeong Poetry Clu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5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speculate on the orientational consciousness and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through literature activities of women poetry clubs in the late Joseon Period. Group literature activities of women to whom they were not familiar one ...

      This study aimed to speculate on the orientational consciousness and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through literature activities of women poetry clubs in the late Joseon Period. Group literature activities of women to whom they were not familiar one another were first revealed in the 19th century through Samhojsoeng Poetry Club. To understand what meaning the club had in Chinese poet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Period, this study gave a focus on investigating their desire of creative activities, self-esteem, life and dream as they continued to pursue for as nobility and limitations in status.
      They wanted to communicate with society and make themselves famous like a man through writing Chinese poetry. In respect to the meaning of Samjojsoeng Poetry Club, it was assumed that a small social bond would be made among women. In the society of only men, as it was positioned as ‘women society,’ women’s Chinese literature trend was changed. This poetry club was a field where women could freely write what they wanted to write as a women’s subjective literature activity space.
      However, the members of the Samhojeong Poetry Club were aware of unfairness of the society in which women could not follow their dreams as they were women although they were talented, expressed conflicts that they could not be real family members as they were concubines. Although they had the consciousness of progress that broke down social conventions, they were forced to follow the social order of patriarchy. In addition, the poetry club was not organized further and broken up as some of the members were dead and moved to other distri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 후기 여성 시회의 문학활동을 통한 그들의 지향의식과 문학사적 의미 고찰에 목적을 두었다. 雲楚, 瓊山, 鏡春, 竹西, 錦園 등의 소실들로 구성된 여성들만의 집단적 문학활동...

      이 글은 조선 후기 여성 시회의 문학활동을 통한 그들의 지향의식과 문학사적 의미 고찰에 목적을 두었다. 雲楚, 瓊山, 鏡春, 竹西, 錦園 등의 소실들로 구성된 여성들만의 집단적 문학활동은 19세기에 처음 드러났는데, 바로 삼호정시회이다. 이 시회가 조선 후기 한시문학사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찾기 위하여, 그녀들의 한시작품에 드러난 시창작의 욕구와 자존감, 끝없이 추구한 사대부적인 삶과 꿈, 신분적 한계점을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기생첩이나 소실들이라는 미천한 신분이지만 최초의 여성시회를 결성한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그녀들이 자신들의 삶을 살아내기 위하여 어떤 지향의식을 갖고 있었는지, 그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은 조선 후기 여성들의 집단적 문학활동과 그녀들의 삶의 대처 방식이 드러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녀들은 사대부들의 영역인 책을 읽고 한시를 창작하여 소통하고 싶은, 남자의 삶을 지향하였다. 자신들의 문학적 재능이 사대부들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사유와 삶의 방식을 추종할 수밖에 없었다.
      삼호정시회의 의미는 먼저 여성들끼리의 작은 사회적 연대를 형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집단적 시회가 남성들의 문학활동을 위한 모임으로 연대를 형성하고 시단을 이끌어갔다면, 삼호정시회는 ‘여성시회’로 자리매김을 함으로써 여성 한시의 문학적 흐름을 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여성 한시의 주체인 사족녀들의 한시는 오랜 세월동안 규방문학을 벗어나지 못했고 소통에 있어서도 대부분 가족의 범위를 넘지 않았다. 다른 부류인 기녀들의 한시는 양반 사대부들과 밀착되어 있어서 주체적인 시작활동에 한계를 보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조선 후기의 삼호정시회는 규방을 벗어나서 여성들만의 주체적 시회를 시작함으로써 기존의 여성 한시의 문학활동과는 다른, 여성들의 한시 문학사에 하나의 의미를 갖게 하였다.
      이 시회는 여성들만의 주체적 문학활동 공간으로 자신들이 쓰고 싶은 글을 쓸 수 있었다. 사대부들과 함께한 시회에서는 표현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는데, 자신들만의 시회에서는 성정에 기반한 진실된 시를 쓸 수 있었다.
      삼호정시회의 한계는 본인들이 재주를 가졌지만 여자이기 때문에 세상에 펼 수 없는 부당함을 자각하였다는 것이고, 소실로서 남편들의 가문에 진입하지 못한 갈등을 표출 한 점이다. 그녀들은 사회의 통념을 깨는 진보의식을 갖고 있었지만 결국 사회적 질서를 따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하나는 詩會를 좀 더 체계화시키지 못한 점이다. 회원의 죽음과 이사로 인하여 와해되었다.
      이와 같이 여성들만의 최초의 집단적 문학 활동을 재조명하고 의미를 정립하는 작업은 조선 후기 여성의 문학적 단면이 드러나므로 여성 한시 문학사의 한 축을 조망하는 일이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혜순, "한국고전여성작가의 시세계" 이화여저대학교출판부 2005

      2 이혜순, "한국고전여성문학의세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3 정지영, "조선후기의 첩(妾)과 가족질서 - 가부장제와 여성의 위계" 한국사회사학회 (65) : 6-40, 2004

      4 김여주, "조선후기 여성문학의 재조명"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5 김여주, "조선후기 여성문학의 문학사적 고찰" 38 : 2004

      6 이효숙, "조선후기 여성 문인의 시사와 김경춘의 비평" 우리문학회 (53) : 99-124, 2017

      7 박동욱, "조선시대 일기에 나타난 성 의식 -보이는 성, 숨겨진 성-" 근역한문학회 39 : 63-90, 2014

      8 김명희, "조선시대 여성문학과 사상" 이회 2003

      9 김명희, "조선시대 여성 한문학" 이회 2005

      10 金錦園, "원주사료총서 제31권" 原州市 2020

      1 이혜순, "한국고전여성작가의 시세계" 이화여저대학교출판부 2005

      2 이혜순, "한국고전여성문학의세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3 정지영, "조선후기의 첩(妾)과 가족질서 - 가부장제와 여성의 위계" 한국사회사학회 (65) : 6-40, 2004

      4 김여주, "조선후기 여성문학의 재조명"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5 김여주, "조선후기 여성문학의 문학사적 고찰" 38 : 2004

      6 이효숙, "조선후기 여성 문인의 시사와 김경춘의 비평" 우리문학회 (53) : 99-124, 2017

      7 박동욱, "조선시대 일기에 나타난 성 의식 -보이는 성, 숨겨진 성-" 근역한문학회 39 : 63-90, 2014

      8 김명희, "조선시대 여성문학과 사상" 이회 2003

      9 김명희, "조선시대 여성 한문학" 이회 2005

      10 金錦園, "원주사료총서 제31권" 原州市 2020

      11 朴竹西, "원주사료총서 제30권" 原州市 2019

      12 박영민, "운초, 관기와 기생첩의 경계에 선 하위주체"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1 (11): 237-278, 2005

      13 金智勇, "역대여류한시문선" 대양서적 1973

      14 김지용, "삼호정시단의 특성과 작품 -최초의 여류시단 형성과 시단활동-" 숙명여대 16 : 1977

      15 金智勇, "雲楚의 詩와 文學世界" 圖書出版 三淨會 1996

      16 閔丙燾, "朝鮮歷代女流文集" 을유문화사 1950

      17 박영민, "妓生의 한시, 그 억압된 섹슈얼리티와 자의식의 서사" 동방한문학회 (33) : 165-196, 2007

      18 서현아, "『호동서락기』에 나타난 김금원의 삶과 의식 지향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19 "≪眉巖日記(眉巖日記初)≫ 제4집" 사단법인 담양향토문화연구회 1996

      20 박영민, "‘妓生案’을 통해본 조선후기 기생의 公的삶과 신분 변화" 대동문화연구원 (71) : 227-259, 2010

      21 이혜순, "19세기 여성 비평문학의 출현과 그 의의 -金瓊春의 ≪湖東西洛記≫ 분석을 중심으로-" 1 : 2000

      22 박영민, "19세기 여성 詩會와 문학 공간 - 운초 그룹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46) : 37-67, 2007

      23 林甫姸, "18세기~20세기초 女性 詩會 硏究" 경희대학교 2015

      24 안대회,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소명출판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