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지역 여성노인들의 여가문화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n Leisure Culture of Old Women in Rural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24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ld women's perceptions on leisure culture in rural area. For doing so, this study utiliz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hich effectively accomplish the main idea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old women who lived in rural area and aged over 65. The standpoint theory was utilized for the study which reflects the perspectives of socially minor group just lik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merely have the concepts of leisure or leisure culture. This phenomenon could limit the various opportunities in leisure for the participants. Also, rural area had very limited social infra-structure for leisure and sports for all which could be a significant barrier for leisure culture as well. Because of these social issu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usually had traditional but distorted concepts on leisure. In other words, the participants could not have enough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meaning of leisure. They also had limite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nd consume the contemporary meaning of leisure. The rural areas usually had similar problems for instance, lack of social infra-structure, low economic and educational status, etc. These social issues might bring inequality among the people in different regions. Consequently,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suggest various solutions to develop the social status of the women older adults in rural are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ld women's perceptions on leisure culture in rural area. For doing so, this study utiliz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hich effectively accomp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ld women's perceptions on leisure culture in rural area. For doing so, this study utiliz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depth interviewing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hich effectively accomplish the main idea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old women who lived in rural area and aged over 65. The standpoint theory was utilized for the study which reflects the perspectives of socially minor group just lik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merely have the concepts of leisure or leisure culture. This phenomenon could limit the various opportunities in leisure for the participants. Also, rural area had very limited social infra-structure for leisure and sports for all which could be a significant barrier for leisure culture as well. Because of these social issu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usually had traditional but distorted concepts on leisure. In other words, the participants could not have enough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meaning of leisure. They also had limite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nd consume the contemporary meaning of leisure. The rural areas usually had similar problems for instance, lack of social infra-structure, low economic and educational status, etc. These social issues might bring inequality among the people in different regions. Consequently,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suggest various solutions to develop the social status of the women older adults in rural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여가문화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여가문화 및 여가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10명이며, 연구자료 수집방법은 심층면접과 참여관찰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고 특히 관점이론을 통하여 본 연구의 참여자와 같은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사회적 약자 또는 소외계층의 관점과 인식에 대하여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농촌지역 여성노인은 여가에 대한 기본적 인식 자체가 부재하거나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생활 속에서의 여가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기회가 원천적으로 제약받고 있다. 또한 여가문화 소비를 위한 다양한 선결과제가 우선적으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여가문화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인식의 기회를 부여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현실적 제약 속에서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여가문화는 전통적 관점의 시간소비하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매우 제한적이고 단선적인 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우리사회에서 농촌지역이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들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다시 말해 과도한 도시화로 인하여 파생되는 다양한 문제점들 중에서 농촌지역의 소외, 낙후, 그리고 공동화와 같은 문제점들이 궁극적으로 농촌지역 주민들의 여가문화 활성화에도 결정적인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농촌지역에 대한 정책적 및 제도적 지원과 이를 통한 농촌지역 주민들의 인식의 전환을 도모하고 농촌지역의 특성에 부합되는 여가문화 및 여가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여가문화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여가문화 및 여가...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여가문화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여가문화 및 여가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10명이며, 연구자료 수집방법은 심층면접과 참여관찰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고 특히 관점이론을 통하여 본 연구의 참여자와 같은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사회적 약자 또는 소외계층의 관점과 인식에 대하여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농촌지역 여성노인은 여가에 대한 기본적 인식 자체가 부재하거나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생활 속에서의 여가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기회가 원천적으로 제약받고 있다. 또한 여가문화 소비를 위한 다양한 선결과제가 우선적으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여가문화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인식의 기회를 부여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현실적 제약 속에서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여가문화는 전통적 관점의 시간소비하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매우 제한적이고 단선적인 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우리사회에서 농촌지역이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들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다시 말해 과도한 도시화로 인하여 파생되는 다양한 문제점들 중에서 농촌지역의 소외, 낙후, 그리고 공동화와 같은 문제점들이 궁극적으로 농촌지역 주민들의 여가문화 활성화에도 결정적인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농촌지역에 대한 정책적 및 제도적 지원과 이를 통한 농촌지역 주민들의 인식의 전환을 도모하고 농촌지역의 특성에 부합되는 여가문화 및 여가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의 여가와 삶의 질" 127-147, 1997

      2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01

      3 "한국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 도시와 농촌 청소년을 중심으로" 3 (3): 75-89, 1998

      4 "한국 여성지위 아태 13개국 중 13위" 2005.03.21

      5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논문계획서 작성법" 1 (1): 165-171, 2000

      6 "지역 간 문화격차에 관한 연구: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2001

      7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1998

      8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2002

      9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1996

      10 "스포츠와 삶의 질" 1992

      1 "한국인의 여가와 삶의 질" 127-147, 1997

      2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01

      3 "한국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 도시와 농촌 청소년을 중심으로" 3 (3): 75-89, 1998

      4 "한국 여성지위 아태 13개국 중 13위" 2005.03.21

      5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논문계획서 작성법" 1 (1): 165-171, 2000

      6 "지역 간 문화격차에 관한 연구: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2001

      7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1998

      8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2002

      9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1996

      10 "스포츠와 삶의 질" 1992

      11 "생활체육활동이 노인의 여가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03

      12 "생활체육 참여가 노인의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03

      13 "사회적 지원망과 노인의 생활 만족도: 도시와 농촌의 비교" 33 (33): 1-15, 1995

      14 "도시와 농촌아동의 노인에 대한 인식 연구" 5 : 163-198, 1995

      15 "도시 노인의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와 운동경험 및 사회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연구" 2001

      16 "농촌과 도시지역 주민 간 지역사회친밀도 비교연구" 9 (9): 87-100, 2002

      17 "농촌 노인들의 욕구충족과 욕구생성의 실태에 관한 사례연구" 34 : 1007-1036, 2000

      18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도, 여가몰입도 및 고독감과의 관계" 42 (42): 227-238, 2003

      19 "노인의 생활체육참여가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02

      20 "노인의 사회체육 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1996

      21 "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생활체육 참가 및 생활만족의 관계" 13 (13): 109-122, 2000

      22 "노인여성의 여가무용 참여에 따른 정서체험과 상호작용" 2003

      23 "노인 복지지설의 지리적 분포 현황분석" 24 : 19-38, 2004

      24 "노년기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19 : 157-169, 1998

      25 "노년기 여가활동과 스트레스, 삶의 질에 관한 연구" 2003

      26 "국민생활체육활동참여실태조사" 문화광광부 2006

      27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서울: 과학 교육사 1998

      28 "Wisdom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52B : 15-27, 1997

      29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s for activity and older adult well-being" 18 : 325-340, 1999

      30 "The process of successful aging" 16 : 397-422, 1996

      31 "The Dictionary of Feminist Theory" Columbus, OH: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95

      32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aging an d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329-353, 1994

      33 "Social influences on physical activity in old adults: A review" 6 : 1-17, 1998

      34 "Social Forces in Later Life" 1980

      35 "Research Acts" Prentice Hall 1989

      36 "Paper presented at the NRPA Leisure Research Symposium" 1987

      37 "Older women in retirement communities: Perceptions of recreation and leisure" 20 : 53-66, 1998

      38 "Activity through the years Sociology of Sport Journal" 1-17, 1993

      39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Let's learn about Aging" Schenkman Publishing Inc 1977

      40 "A research approach to improving our quality of life" 33 : 138-147, 1978

      41 "A glossary of Feminist Theory" New York: Arnold 1997

      42 "A frame of reference and implication for research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leisure recreation" 38-62, 1980

      43 "2005 체육백서" 문화관광부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사회학회 ->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9 1.14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