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단계 기계번역을 활용한 비전문가 번역 품질 향상 방안 모색 —학부 실습 과정 및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A Search for Quality Improvement of Non-professional Translator Translations through Relay Machine Translation: A Case Study of an Undergraduate Course Pract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59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apid development of machine translation(MT) has recently facilitated the spread of non-professional translations. Non-professionals or amateur translators participate in translation works in a wider range of contexts, emerging as a new distinctiv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Therefore, this research explores ways to help non-professional translators make full use of MT systems. One of the ways suggested in this research is to run MT twice or a relay MT. It is applied to a Korean-English translation practice of 5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The hypothesis at the practice is that the MT would produce better translation output in English if it goes through Korean-Japanese-English translation process because the quality of MT output depends heavily on accumulated parallel data. It has long been known that Japanese-English translation parallel data have been systematically stored, whereas the history of collecting Korean-English translation data is not as long as that between Japanese and English. The participants compare and analyze two MT outputs, and many of them conclude that the Korean-Japanese-English MT is better to post-edit than the Korean-English MT. They also emphasize that building their translation capacity is as important as knowing how to make use of MT efficiently because ultimately, they are the ones who judge the MT quality and make final decisions.
      번역하기

      The rapid development of machine translation(MT) has recently facilitated the spread of non-professional translations. Non-professionals or amateur translators participate in translation works in a wider range of contexts, emerging as a new distinctiv...

      The rapid development of machine translation(MT) has recently facilitated the spread of non-professional translations. Non-professionals or amateur translators participate in translation works in a wider range of contexts, emerging as a new distinctiv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Therefore, this research explores ways to help non-professional translators make full use of MT systems. One of the ways suggested in this research is to run MT twice or a relay MT. It is applied to a Korean-English translation practice of 5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The hypothesis at the practice is that the MT would produce better translation output in English if it goes through Korean-Japanese-English translation process because the quality of MT output depends heavily on accumulated parallel data. It has long been known that Japanese-English translation parallel data have been systematically stored, whereas the history of collecting Korean-English translation data is not as long as that between Japanese and English. The participants compare and analyze two MT outputs, and many of them conclude that the Korean-Japanese-English MT is better to post-edit than the Korean-English MT. They also emphasize that building their translation capacity is as important as knowing how to make use of MT efficiently because ultimately, they are the ones who judge the MT quality and make final decis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옥수, "한영 병렬 코퍼스와 기계번역에서 의존 명사 ‘-것’이 포함된 어휘의 번역 방식 연구" 동아인문학회 (37) : 469-492, 2016

      2 마승혜, "한영 기계번역 포스트 에디팅에 대한 경험적 고찰: 학부 교육 과정 및 결과를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22 (22): 53-87, 2018

      3 박옥수, "한영 기계 번역에서 ST의 유형적 특징에 따른 번역 오류 분석" 동아인문학회 (41) : 155-183, 2017

      4 이상빈, "학부번역전공자의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한국통역번역학회 19 (19): 37-64, 2017

      5 곽중철, "포스트에디팅 측정지표를 통한 기계번역 오류 유형화 연구" 통번역연구소 22 (22): 1-25, 2018

      6 최효은, "특허 기계번역 결과물의 평가 - KIPRIS의 무료 한영 기계번역을 중심으로" 한국통역번역학회 19 (19): 259-286, 2017

      7 김호영, "전지구적 미디어 텍스트의 온라인 유통과 자막 제작자의 역할:미국 드라마 팬자막(fansub) 제작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3) : 43-77, 2012

      8 정희연, "전자매체 시대를 고려한 문학번역방법" 한국번역학회 19 (19): 235-276, 2018

      9 박성용, "일본, 왜 노벨상 수상자 다수 배출국 됐나...번역국과 탄탄한 인문학 기반"

      10 이주리애, "인공신경망 기계 번역의 한일/일한 번역 품질에 대한 예비연구-품질향상 검토와 교열코드 적용-" 한국통역번역학회 20 (20): 43-71, 2018

      1 박옥수, "한영 병렬 코퍼스와 기계번역에서 의존 명사 ‘-것’이 포함된 어휘의 번역 방식 연구" 동아인문학회 (37) : 469-492, 2016

      2 마승혜, "한영 기계번역 포스트 에디팅에 대한 경험적 고찰: 학부 교육 과정 및 결과를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22 (22): 53-87, 2018

      3 박옥수, "한영 기계 번역에서 ST의 유형적 특징에 따른 번역 오류 분석" 동아인문학회 (41) : 155-183, 2017

      4 이상빈, "학부번역전공자의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한국통역번역학회 19 (19): 37-64, 2017

      5 곽중철, "포스트에디팅 측정지표를 통한 기계번역 오류 유형화 연구" 통번역연구소 22 (22): 1-25, 2018

      6 최효은, "특허 기계번역 결과물의 평가 - KIPRIS의 무료 한영 기계번역을 중심으로" 한국통역번역학회 19 (19): 259-286, 2017

      7 김호영, "전지구적 미디어 텍스트의 온라인 유통과 자막 제작자의 역할:미국 드라마 팬자막(fansub) 제작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3) : 43-77, 2012

      8 정희연, "전자매체 시대를 고려한 문학번역방법" 한국번역학회 19 (19): 235-276, 2018

      9 박성용, "일본, 왜 노벨상 수상자 다수 배출국 됐나...번역국과 탄탄한 인문학 기반"

      10 이주리애, "인공신경망 기계 번역의 한일/일한 번역 품질에 대한 예비연구-품질향상 검토와 교열코드 적용-" 한국통역번역학회 20 (20): 43-71, 2018

      11 이성화, "영-한 및 한-영 기계번역 품질향상을 위한프리에디팅 기법 제안" 한국번역학회 19 (19): 121-154, 2018

      12 박지영, "언어 기술 혁신과 통번역 산업의 미래: 20대 글로벌 LSP의 통번역 서비스 분석을 바탕으로" 통번역연구소 21 (21): 137-168, 2017

      13 김순미, "신경망번역기(NMT) 활용 학부 번역교육의 가능성 연구"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5 (15): 5-37, 2017

      14 박상익, "번역청을 설립하라"

      15 박상익, "번역청 설립을 공약하라"

      16 이근희, "번역과 한국 및 일본의 근대화" 한국번역학회 8 (8): 103-132, 2007

      17 김순미, "번역가의 ‘전문성’ 개념 변화의 필요성—디지털 시대 ‘비전문가’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통역번역학회 18 (18): 1-29, 2016

      18 강인귀, "미래에 사라질 직업 1위 ‘번역가’, 살아남을 직업 1위는?"

      19 마승혜, "문학작품 기계번역의 한계에 대한 상세 고찰" 통번역연구소 22 (22): 65-88, 2018

      20 이창수, "문학번역에서의 기계번역과 인간번역 문체에 대한 전산문체학적 비교 연구" 한국번역학회 20 (20): 111-130, 2019

      21 이준호, "문학번역 적용을 위한 기계번역의 현주소" 통번역연구소 23 (23): 143-167, 2019

      22 김순미, "디지털 시대 비전문가들의 참여 번역 현상 — 그 의미와 번역계의 미래에 주는 시사점" 한국번역학회 17 (17): 7-32, 2016

      23 정재승, "데이터청과 데이터거래소를 설립하자"

      24 곽영섭, "뉴스 잉글리시 파워딕" 도서출판 넥서스 2008

      25 조인희, "기계번역을 활용한 영어작문 수업의 효과: 자기 효능감과 글쓰기의 양적 증가를 중심으로"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60 (60): 253-279, 2018

      26 서보현, "기계번역 결과물의 오류유형 고찰" 한국번역학회 19 (19): 99-117, 2018

      27 이미경, "기계번역 vs. 인간번역, 텍스트 모호성 해소를 위한 전략 고찰 -연설문 번역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687-700, 2019

      28 이상빈, "국내학부 번역전공자의 구글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과정(process) 및 행위 연구" 한국번역학회 19 (19): 259-286, 2018

      29 노자운, "[한국어와 인공지능]⑨ 투로프스키 구글 번역 총괄 “中 바이두도 구글의 중국어 번역 속도 못 따라와...스케일 차이"

      30 Perrino, Saverio, "User-generated Translation: The Future of Translation in a Web 2.0 Environment’"

      31 Raído, Vanessa Enríquez, "Translators as Adaptive Experts in a Flat World: From Globalization 1.0 to Globalization 4.0" 10 : 970-988, 2016

      32 Boéri, Julie, "Translation/Interpreting Politics and Praxis" 18 (18): 269-290, 2012

      33 DePalma, Donald, "Translation of, for, and by the people" Common Sense Advisory 2008

      34 Cronin, Michael, "Translation in the Digital Age" Routledge 2013

      35 Pym, Anthony, "Translation Skill-Sets in a Machine-Translation Age’" 58 (58): 479-672, 2013

      36 Cronin, Michael, "The Translation Crowd"

      37 Diño, Gino, "The State of Neural Machine Translation for Asian Languages"

      38 Cadwell, Patrick, "Resistance and accommodation: factors for the (non-) adoption of machine translation among professional translators’" 26 (26): 301-321, 2017

      39 Krings, Hans P, "Repairing Texts: Empirical Investigations of Machine Translation Post-editing Processes"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001

      40 Pérez-González, Luis, "Non­professionals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Participatory and Engaged Perspectives’" 18 (18): 149-165, 2012

      41 Neather, Robert, "Non-Expert’ Translators in a Professional Community: Identity, Anxiety and Perceptions of Translator Expertise in the Chinese Museum Community" 12 (12): 245-268, 2012

      42 Greenstein, Eric, "Japanese-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43 Guo, Jia-Wen, "Is Google Translate Adequate for Facilitating Instrument Translation from English to Mandarin" 34 (34): 377-383, 2016

      44 O’Hagan, Minako, "Human issues in translation technology" Routledge 2017

      45 Groves, Michael, "Friend or Foe? Google Translate i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37 : 112-121, 2015

      46 Jenkins, Henry, "Fans, Bloggers, and Gamers: Exploring Participatory Cultur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47 O’Hagan, Minako, "Evolution of User-generated Translation: Fansubs, Translation Hacking and Crowdsourcing’" 1 (1): 94-121, 2009

      48 이지민, "Crowdsourced translation and machine translation and their implications in the digital age: A case study of Flitto" 한국번역학회 18 (18): 91-120, 2017

      49 O’Hagan, Minako, "Community translation: Translation as a social activity and its possible consequences in the advent of Web 2.0 and beyond" 10 : 11-23, 2011

      50 Pokorn, Nike Kocijančič, "Challenging the traditional axioms: Translation into a non-mother tongu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5

      51 Calefato, Fabio, "Assessing the Impact of Real-time Machine Translation on Multilingual Meetings in Global Software Projects’" 21 (21): 1002-1034, 2016

      52 McDonough Dolmaya, Julie, "Analyzing the Crowdsourcing Model and Its Impact on Public Perceptions of Translation" 18 (18): 167-191, 2012

      53 Koglin, Arlene,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Cognitive Effort Required to Post-edit Machine Translated Metaphors Compared to the Translation of Metaphors’" 7 (7): 126-143,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nslation St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for Translatio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1 1.06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