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원경제학(林園經濟學)과 조선(朝鮮)의 음식문화(飮食文化) = Food and Culture of Traditional Rural Home Econom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6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후기의 학자 관료인 풍석(楓石) 서유구(徐有?, 1764∼1845)가 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인 『임원경제지』를 통해서 구축한 임원경제학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음식문화를 고찰하였다. 임원경제학은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강조하는데 주안점이 있지 않고 우리의 생활방식을 비판적으로 정리하면서 한중일 삼국의 생활문화의 장점을 흡수하여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임원경제학의 음식문화는 조선 음식문화 당대의 현실인 동시에 오래된 미래였다. 한식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며 끊임없이 형성중인 과정이다. 그 과정을 이끄는 대원칙은 우리의 입과 몸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문화적 감각이다. 교류와 통섭을 통해 실질을 형성하고 감각을 고양해야한다.
      번역하기

      조선 후기의 학자 관료인 풍석(楓石) 서유구(徐有?, 1764∼1845)가 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인 『임원경제지』를 통해서 구축한 임원경제학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음식문화를 고찰하였다. ...

      조선 후기의 학자 관료인 풍석(楓石) 서유구(徐有?, 1764∼1845)가 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인 『임원경제지』를 통해서 구축한 임원경제학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의 음식문화를 고찰하였다. 임원경제학은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강조하는데 주안점이 있지 않고 우리의 생활방식을 비판적으로 정리하면서 한중일 삼국의 생활문화의 장점을 흡수하여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임원경제학의 음식문화는 조선 음식문화 당대의 현실인 동시에 오래된 미래였다. 한식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며 끊임없이 형성중인 과정이다. 그 과정을 이끄는 대원칙은 우리의 입과 몸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문화적 감각이다. 교류와 통섭을 통해 실질을 형성하고 감각을 고양해야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 Yu-gu,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cum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wrote Treatises on Management of Rural Life (Imwon Gyeongjeji), a most comprehensive practical encyclopedia dealing with rural life in the history of Korea.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alled Imwon economics. Seo Yu-gu, whose pen-name was Pungseok, examined the food culture of the Joseon period centered on Imwon economics. It does not focus on the excellence of Korean culture. Rather, it critically examined the daily life pattern of Korea. Besides, it suggested a new criterion of daily life pattern by absorbing the positive aspects of living cul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book has set a new standard. The food culture dealt with in Imwon encyclopedia was both the contemporary reality and the old future of Joseon`s food culture. Korean food is not a fixed entity but a process that is constantly changing. The great principle that guides the process is our mouth and body and the corresponding cultural sense. Through exchanges and convergences, we must form contents and enhance our senses.
      번역하기

      Seo Yu-gu,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cum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wrote Treatises on Management of Rural Life (Imwon Gyeongjeji), a most comprehensive practical encyclopedia dealing with rural life in the history of Korea. This led...

      Seo Yu-gu,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cum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wrote Treatises on Management of Rural Life (Imwon Gyeongjeji), a most comprehensive practical encyclopedia dealing with rural life in the history of Korea.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alled Imwon economics. Seo Yu-gu, whose pen-name was Pungseok, examined the food culture of the Joseon period centered on Imwon economics. It does not focus on the excellence of Korean culture. Rather, it critically examined the daily life pattern of Korea. Besides, it suggested a new criterion of daily life pattern by absorbing the positive aspects of living cul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book has set a new standard. The food culture dealt with in Imwon encyclopedia was both the contemporary reality and the old future of Joseon`s food culture. Korean food is not a fixed entity but a process that is constantly changing. The great principle that guides the process is our mouth and body and the corresponding cultural sense. Through exchanges and convergences, we must form contents and enhance our sen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창록, "풍석 서유구에 대한 한 연구: '임원경제'와 『번계시고』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2 문성희, "풍석 서유구 선생의 생명밥상"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14

      3 김대중, "풍석 서유구 산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정정기, "조선시대 가족의 식색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5 곽미경, "조선셰프 서유구 : 요리하는 조선 사대부"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16

      6 이효지, "임원십육지 정조지" 교문사 2007

      7 조은자, "임원십육지 속의 죽" 광문각 2007

      8 서유구, "임원경제지-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12

      9 정명현, "서유구(1764∼1845)의 선진 농법 제도화를 통한 국부 창출론 : 『의상경계책』의 해제 및 역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0 한민섭, "서명응 일가의 박학과 총서·류서 편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 조창록, "풍석 서유구에 대한 한 연구: '임원경제'와 『번계시고』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2 문성희, "풍석 서유구 선생의 생명밥상"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14

      3 김대중, "풍석 서유구 산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정정기, "조선시대 가족의 식색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5 곽미경, "조선셰프 서유구 : 요리하는 조선 사대부"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16

      6 이효지, "임원십육지 정조지" 교문사 2007

      7 조은자, "임원십육지 속의 죽" 광문각 2007

      8 서유구, "임원경제지-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12

      9 정명현, "서유구(1764∼1845)의 선진 농법 제도화를 통한 국부 창출론 : 『의상경계책』의 해제 및 역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0 한민섭, "서명응 일가의 박학과 총서·류서 편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1 서유구, "본리지1,2,3" 소와당 2008

      12 이성우, "韓國食經大典" 향문사 1981

      13 빙허각 이씨, "閨閤叢書" 보진재 2008

      14 李學勤, "禮記正義 (十三經注疏整理本)" 北京大學出版社 2000

      15 서유구, "林園經濟志" 보경문화사 1983

      16 李學勤, "尙書正義 (十三經注疏整理本)" 北京大學出版社 2000

      17 李學勤, "孟子注疏 (十三經注疏整理本)" 北京大學出版社 2000

      18 김대중, "倪圭志의 가정 경제학" 한국한문학회 (51) : 363-415, 2013

      19 서명응, "保晩齋叢書"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20 이헌창, "『林園經濟志』의 경제학" 진단학회 (108) : 43-8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7-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5 0.85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