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심청전>의 전승과 재담의 관련 양상 = The Aspect of Relation between Jaedam (才談) and the Transmission of Simcheong-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63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심청전>은 특별한 `갈등 관계`가 나타나지 않고, `비장미`를 주된 정조로 삼는다는 점에서 다른 판소리 작품과 구별된다. 언어의 묘미를 살린 재미있는 이야기를 가리키는 `재담`이 <심청전>에 그리 많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아버지를 위해 숭고한 희생을 실천한 인물의 행위와 그에 대한 보상을 위해 천상계가 개입하는 문제 해결 방식 사이에 재담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여지는 거의 없다. 하지만 지나치게 진지하고 엄숙하며 이념적인 인물의 모습은 때로는 작품의 완성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이에 매우 현실적이고 비속하며, 희극적인 인물이 작품 전체의 조화와 균형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을 것이고,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는 데에 재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심봉사를 중심에 두고 <심청전>을 요약하면, 모든 것을 잃고 추락했다가 회복하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추락하는 과정에서 심봉사는 한없이 비루하고 비속해진다. <심청전>에서 `심청의 서사`와 `심봉사의 서사`는 상반되는 관계 속에서 절묘한 균형을 이루고 있다. 말하자면, 경건한 심청과 비루한 심봉사의 이야기가 두 개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심청이 인당수에 빠지는 대목을 중심에 두고 볼 때, 이전 대목에 거의 없던 재담이 이후 대목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주목할 만하다. 심봉사를 묘사하는 데에 재담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엄숙성과 비속성, 비장미와 골계미가 조화를 이루면서 균형을 잡은 것이 <심청전>이 애호를 받으며 전승될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라고 판단되며, 비속성과 골계미를 표현하는 데에 재담이 매우 중대한 역할을 했다는 점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심청전>은 특별한 `갈등 관계`가 나타나지 않고, `비장미`를 주된 정조로 삼는다는 점에서 다른 판소리 작품과 구별된다. 언어의 묘미를 살린 재미있는 이야기를 가리키는 `재담`이 <...

      <심청전>은 특별한 `갈등 관계`가 나타나지 않고, `비장미`를 주된 정조로 삼는다는 점에서 다른 판소리 작품과 구별된다. 언어의 묘미를 살린 재미있는 이야기를 가리키는 `재담`이 <심청전>에 그리 많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아버지를 위해 숭고한 희생을 실천한 인물의 행위와 그에 대한 보상을 위해 천상계가 개입하는 문제 해결 방식 사이에 재담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여지는 거의 없다. 하지만 지나치게 진지하고 엄숙하며 이념적인 인물의 모습은 때로는 작품의 완성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이에 매우 현실적이고 비속하며, 희극적인 인물이 작품 전체의 조화와 균형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을 것이고,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는 데에 재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심봉사를 중심에 두고 <심청전>을 요약하면, 모든 것을 잃고 추락했다가 회복하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추락하는 과정에서 심봉사는 한없이 비루하고 비속해진다. <심청전>에서 `심청의 서사`와 `심봉사의 서사`는 상반되는 관계 속에서 절묘한 균형을 이루고 있다. 말하자면, 경건한 심청과 비루한 심봉사의 이야기가 두 개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심청이 인당수에 빠지는 대목을 중심에 두고 볼 때, 이전 대목에 거의 없던 재담이 이후 대목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주목할 만하다. 심봉사를 묘사하는 데에 재담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엄숙성과 비속성, 비장미와 골계미가 조화를 이루면서 균형을 잡은 것이 <심청전>이 애호를 받으며 전승될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라고 판단되며, 비속성과 골계미를 표현하는 데에 재담이 매우 중대한 역할을 했다는 점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edam (才談), or a joke, is considered to have taken on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of pansori narratives. But when one examines the transmission and transfiguration of pansori in a diachronic way, one can know jaedam hasn`t always been treated positively. Pansori as a performance art commonly had the tendency to reduce the amount of jaedam and seek musical completion. On the other hand, pansori as a text for reading takes on an entirely different tendency. It didn`t simply use jaedam but actively utilized it or expansively transformed it. Pansori as a performance art put top priority on the singers` talents and highly valued “popularity,” and pansori as a text for reading focused on `interest` through defamiliarization. So if this can be generalized, the relation between pansori and jaedam can be explained more clearly. Simcheong-jeon (A Story of Sim Cheong)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pansori works because it doesn`t have an apparent “conflictual relationship,” and it has the aesthetics of `tragic beauty` as its main mood. That is why jaedam, which means amusing jokes that contain textual beauty, is hardly employed in Simcheong-jeon. There is little space for jaedam to settle in between the character`s action of noble sacrifice, and the method of resolving a problem by the intervention of the heavenly mandate aimed at rewarding the character for her behaviors. The overly serious, solemn, and ideological behavior of the character can sometimes cause negative influences on the completion of this piece. That is why a realistic, vulgar, and comical character was vitally required for maintaining the piece`s harmony and balance.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necessity of jaedam was brought up to meet these needs. To summarize Simcheong-jeon by putting Sim Cheong`s father Sim Hak-gyu in the center of the story, it is about losing everything and then restoring it. Sim Hak-gyu, the blind man who had lost his wife but had a daughter, lost his daughter and got a second wife, and then loses not only his second wife but also all the possessions and honor. But he recovers almost all things after losing everything. In the process of losing everything and falling into the bottomless pit, the elder Sim turns vulgar and unhandsome. Simcheong-jeon is balanced sublimely between Sim Cheong and her father`s narrative. In other words, the solemn Simcheong and her vulgar father are forming two central axes. When one puts the part where Sim Cheong plunges into Indangsu Waters (印塘水) as the main scene, it is notable to see that jaedam, which hardly appeared prior to this scene, appears frequently. That is because jaedam takes an important role of describing Sim the blind father. The fact that solemnity and vulgarity, tragic beauty and comic beauty formed harmony and balance is regarded as the important reason why Simcheong-jeon has been loved and passed down to the present times. And it`s worth noticing that jaedam took on a very important part in expressing vulgarity and comic beauty.
      번역하기

      Jaedam (才談), or a joke, is considered to have taken on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of pansori narratives. But when one examines the transmission and transfiguration of pansori in a diachronic way, one can know jaedam hasn`t always been ...

      Jaedam (才談), or a joke, is considered to have taken on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of pansori narratives. But when one examines the transmission and transfiguration of pansori in a diachronic way, one can know jaedam hasn`t always been treated positively. Pansori as a performance art commonly had the tendency to reduce the amount of jaedam and seek musical completion. On the other hand, pansori as a text for reading takes on an entirely different tendency. It didn`t simply use jaedam but actively utilized it or expansively transformed it. Pansori as a performance art put top priority on the singers` talents and highly valued “popularity,” and pansori as a text for reading focused on `interest` through defamiliarization. So if this can be generalized, the relation between pansori and jaedam can be explained more clearly. Simcheong-jeon (A Story of Sim Cheong)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pansori works because it doesn`t have an apparent “conflictual relationship,” and it has the aesthetics of `tragic beauty` as its main mood. That is why jaedam, which means amusing jokes that contain textual beauty, is hardly employed in Simcheong-jeon. There is little space for jaedam to settle in between the character`s action of noble sacrifice, and the method of resolving a problem by the intervention of the heavenly mandate aimed at rewarding the character for her behaviors. The overly serious, solemn, and ideological behavior of the character can sometimes cause negative influences on the completion of this piece. That is why a realistic, vulgar, and comical character was vitally required for maintaining the piece`s harmony and balance.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necessity of jaedam was brought up to meet these needs. To summarize Simcheong-jeon by putting Sim Cheong`s father Sim Hak-gyu in the center of the story, it is about losing everything and then restoring it. Sim Hak-gyu, the blind man who had lost his wife but had a daughter, lost his daughter and got a second wife, and then loses not only his second wife but also all the possessions and honor. But he recovers almost all things after losing everything. In the process of losing everything and falling into the bottomless pit, the elder Sim turns vulgar and unhandsome. Simcheong-jeon is balanced sublimely between Sim Cheong and her father`s narrative. In other words, the solemn Simcheong and her vulgar father are forming two central axes. When one puts the part where Sim Cheong plunges into Indangsu Waters (印塘水) as the main scene, it is notable to see that jaedam, which hardly appeared prior to this scene, appears frequently. That is because jaedam takes an important role of describing Sim the blind father. The fact that solemnity and vulgarity, tragic beauty and comic beauty formed harmony and balance is regarded as the important reason why Simcheong-jeon has been loved and passed down to the present times. And it`s worth noticing that jaedam took on a very important part in expressing vulgarity and comic beau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석, "향목동 세책 춘향전 연구" 경인문화사 2011

      2 서대석, "한국 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연구" 서울대출판부 2004

      3 김영수, "필사본 심청전 연구" 민속원 2001

      4 배연형, "판소리 소리책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8

      5 판소리학회, "판소리 다섯마당" 한국브리태니커회사 1982

      6 이대중, "판소리 <심청전>에 나타난 ‘방아타령’의 내적 기능과 역할" 한국학연구소 (27) : 309-333, 2007

      7 구자균, "춘향전" 민중서관 1970

      8 배연형, "춘향가 심청가 소리책" 동국대학교출판부 2008

      9 최진형, "재담의 활용 양상과 판소리의 변화—장재백 소리책 춘향가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36) : 323-353, 2014

      10 최진형, "재담의 존재양상을 통해 본 <흥부전>의 전승과 변모" 반교어문학회 (43) : 259-294, 2016

      1 이윤석, "향목동 세책 춘향전 연구" 경인문화사 2011

      2 서대석, "한국 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연구" 서울대출판부 2004

      3 김영수, "필사본 심청전 연구" 민속원 2001

      4 배연형, "판소리 소리책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8

      5 판소리학회, "판소리 다섯마당" 한국브리태니커회사 1982

      6 이대중, "판소리 <심청전>에 나타난 ‘방아타령’의 내적 기능과 역할" 한국학연구소 (27) : 309-333, 2007

      7 구자균, "춘향전" 민중서관 1970

      8 배연형, "춘향가 심청가 소리책" 동국대학교출판부 2008

      9 최진형, "재담의 활용 양상과 판소리의 변화—장재백 소리책 춘향가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36) : 323-353, 2014

      10 최진형, "재담의 존재양상을 통해 본 <흥부전>의 전승과 변모" 반교어문학회 (43) : 259-294, 2016

      11 최진형, "재담 활용과 판소리 사설의 독서물화 기법 - 동양문고본 『춘향전』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70) : 207-236, 2014

      12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13 유영대, "심청전연구" 문학아카데미사 1989

      14 김진영, "심청전 전집 1∼11" 박이정 1997

      15 최운식, "심청전 연구" 집문당 1982

      16 송혜진, "심정순창 심청가의 장단구성 특징" 한국학중앙연구원 34 : 299-320, 1988

      17 강한영, "신재효 판소리사설집" 보성문화사 1978

      18 최진형, "신재효 판소리 사설의 개작 지향(2)" 판소리학회 (18) : 281-308, 2004

      19 이해조, "신소설⋅번안(역)소설" 아세아문화사 1978

      20 박진태, "디딜방아액막이굿의 주술성과 오락화 현상" 비교민속학회 (31) : 287-308, 2006

      21 박일용, "가사체 <심청전> 이본과 초기 창본계 <심청전>의 관련 양상" 7 : 47-76, 1996

      22 정출헌, "<심청전>의 민중정서와 그 형상화 방식" 민족문학사연구소 9 : 140-170, 1996

      23 박일용, "<심청전>의 가사적 향유 양상과 그 판소리사적 의미" 5 : 51-100,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7-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5 0.85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