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의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Applying Keyword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54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were analyzed. Specifically, the studies published from 2002 to 2018 were analyzed with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KrKwic and UCINET 6.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were cerebral palsy and physical disability. Second, the ranking of the keyword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three periods, 1st period(2002~2007), 2nd period (2008~2012), and 3rd period(2013~2018). Finally, the keywords with highest centrality wer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nd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these keywords with high centrality varied according to the three period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Phy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were analyzed. Specifically, the studies published from 2002 to 2018 were analyzed with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KrKwic and UCINET 6.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were cerebral palsy and physical disability. Second, the ranking of the keyword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three periods, 1st period(2002~2007), 2nd period (2008~2012), and 3rd period(2013~2018). Finally, the keywords with highest centrality wer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nd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these keywords with high centrality varied according to the three period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의 연구동향과 지적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2002년부터 2018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이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주로 KrKwic와 UNICET 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현 빈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에서의 나타난 주요 키워드들은 ‘뇌성마비’, ‘지체장애’ 등이었다. 둘째, 출현 빈도가 높은 주요 키워드들은 시기에 따라 변화가 나타났다. 즉 1기(2002년∼2007년), 2기 (2008년∼2012년), 3기(2013∼2018년)를 거치는 동안 주요 키워드의 순위에는 변화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높은 중심성을 지닌 것으로 밝혀진 키워드로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직업 및 진로교육’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던 키워드들과 상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높은 중심성을 지닌 키워드들 역시 각 시기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적으로 제시하고, 연구에서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의 연구동향과 지적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의 연구동향과 지적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2002년부터 2018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이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주로 KrKwic와 UNICET 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현 빈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에서의 나타난 주요 키워드들은 ‘뇌성마비’, ‘지체장애’ 등이었다. 둘째, 출현 빈도가 높은 주요 키워드들은 시기에 따라 변화가 나타났다. 즉 1기(2002년∼2007년), 2기 (2008년∼2012년), 3기(2013∼2018년)를 거치는 동안 주요 키워드의 순위에는 변화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높은 중심성을 지닌 것으로 밝혀진 키워드로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직업 및 진로교육’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던 키워드들과 상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높은 중심성을 지닌 키워드들 역시 각 시기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적으로 제시하고, 연구에서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영출,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5 (45): 123-139, 2011

      2 박은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학회 소개"

      3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목록"

      4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5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소개"

      6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7 김진화,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동향과 과제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89-122, 2007

      8 한용진, "학회지 분석을 통한 한국의 교육사 연구 동향" 교육사학회 20 (20): 155-179, 2010

      9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국립특수교육원 2017

      10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실태조사" 국립특수교육원 2014

      1 최영출,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5 (45): 123-139, 2011

      2 박은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학회 소개"

      3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목록"

      4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5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소개"

      6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7 김진화,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동향과 과제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89-122, 2007

      8 한용진, "학회지 분석을 통한 한국의 교육사 연구 동향" 교육사학회 20 (20): 155-179, 2010

      9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국립특수교육원 2017

      10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실태조사" 국립특수교육원 2014

      11 이대식,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제" 학지사 2011

      12 조남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상담학연구』의 연구동향과 지식구조 탐색" 한국상담학회 18 (18): 1-19, 2017

      13 박지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장애인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107-126, 2017

      14 김종훈,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및 지적구조"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69-288, 2017

      15 구현진, "지체장애의 쓰기중재에 대한 국외연구 동향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21, 2014

      16 오호영, "지체장애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17 박은혜, "지체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및 지원방안" 특수교육연구소 9 (9): 5-24, 2010

      18 김수영, "중도·중복 장애 교육 연구의 동향 및 과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73-98, 2015

      19 국립특수교육원,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기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6

      20 이상훈, "정서·행동장애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377-399, 2015

      21 한경근,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시대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47-65, 2017

      22 김현미,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연구 경향 분석 - ‘음악교육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음악교육학회 44 (44): 49-68, 2015

      23 김상아,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449-471, 2015

      24 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1

      25 신현석, "비교교육학과 교육정치학: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협력적 관계의 모색" 한국교육정치학회 24 (24): 23-48, 2017

      26 박희찬, "뇌성마비장애인 출현율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1-20, 2016

      27 조재인,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 최근 연구 경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28 (28): 65-83, 2011

      28 안명숙,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기법을 적용한 특급호텔 패키지이용에 대한 태도 분석 - 포털사이트 활용 -"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163-181, 2015

      29 김소희, "국내 학습장애아 교육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1996-2006년 학술지 수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223-256, 2007

      30 조규락, "국내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의 모습과 특성 탐색: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2 (32): 571-609, 2016

      31 이미숙, "건강장애학생 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의 동향" 교육발전연구소 26 (26): 149-168, 2016

      32 전헌선,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학술지 게재 논문 특성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8 : 201-222, 2006

      33 Borgatti, S. P, "Ucinet 6 for Windows :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Analytic Technologies 2002

      34 Schalock, R. L, "The renaming of mental retardation: Understanding the change to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y" 45 (45): 116-124, 2007

      35 Babbie, E. R,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Wadsworth 2010

      36 Borgatti, S. P, "Analyzing social networks" SAGE Publications Limited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