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 우호적이며, 수천 년의 우호적 교류의 역사를 통해 풍부한 문화적,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양국의 문화교류는 일찍이 국적과 민족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650969
제주 :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2023
한국어
350 판사항(6)
제주특별자치도
(A) Study on the enjoyment of Chinese culture in the Jeju communit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events
xii, 143 p. : 표 ; 30 cm
지도교수: 황경수
참고문헌 수록
I804:49002-00000001097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 우호적이며, 수천 년의 우호적 교류의 역사를 통해 풍부한 문화적,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양국의 문화교류는 일찍이 국적과 민족을...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 우호적이며, 수천 년의 우호적 교류의 역사를 통해 풍부한 문화적,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양국의 문화교류는 일찍이 국적과 민족을 초월하여 서로 융합하고 함께 발전하여 동아시아와 세계 문명의 발전과 번영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올해는 한중 수교 30주년이자 한중 문화교류의 해가 마무리되는 해다. 양국 정부와 민간은 다양한 문화행사를 지속해서 전개해 양국 각 분야의 교류 협력의 질을 높이고 새로운 자세로 수교를 맞이하고 있다. 중앙일보 중국어판(http://chinese.join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713).
문화도 국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문화의 참여 과정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지난 10월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서는 핼러윈 행사 도중 14개국에서 온 외국인 26명을 포함해 154명이 숨졌다. 따라서 문화 참여 과정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에 거주 중인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문화 향유 과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제주도의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에 대한 평가와 문화 향유에 관한 고찰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의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지원과 전체적인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문화 참여 의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에 대한 만족도 및 문화 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제주도에서 생활하면서 문화 향유를 고찰한다. 동양의 하와이로 불리는 제주도는 한국의 최남단일 뿐만 아니라 한·중·일의 중심에 있는 중요한 국제자유도시다. 제주도에는 국제 대도시로서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중국인이 가장 많다. 제주도에 사는 중국인들은 제주도의 일원으로서 함께 제주도를 위해 노력하면서도 마땅히 받아야 할 권리를 누린다. 외국인의 지방투표권, 신변안전 등은 모두 법적으로 보호되고 있는 기본권이지만 생활 속에서 문화처럼 향유할 수 있는 권리가 제대로 있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이를 계기로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의 문화적 향유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화 향유에 대해 어떻게 고찰해야 하는지에 대한 선행 연구가 이루어졌다. 한국의 다른 지역의 문화 향유에 관한 연구를 통해 문화시설, 문화행사, 문화정책, 문화교육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 연구는 제주도의 실태를 종합해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에서 중국인의 제주도 문화 향유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둘째, 제주도의 문화시설 및 문화행사에 대한 고찰한 내용이다. 이번 연구는 제주도청 홈페이지, 제주도 중국영사관, 제주도문화원 등을 통해 관련 뉴스와 함께 제주도의 문화시설과 문화행사, 중국과 관련된 문화시설과 문화행사에 대한 현황 고찰과 선행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제주도의 문화시설은 관련 기구의 문화시설 분류와 본 논문의 고찰 요소를 종합하면 크게 박물관, 도서관, 공연장, 미술관, 영화관, 문화공원 등 6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박물관은 인기 많은 국립제주박물관, 민속자연사박물관, 제대박물관, 해녀박물관 등으로 하였고 도서관이 제주도서관, 한라도서관, 탐라도서관 등으로 하였다. 공연장은 제주도문예회관, 아트센터, 탑동 공연장, 서귀포 예술의전당 등이 있다. 미술관은 도립미술관, 현대미술관, 이중섭미술관, 기당미술관 등이 있다. 영화관은 CGV 제주, 롯데시네마(아라점, 삼화동점), 메가박스 제주 등이 있다. 문화공원은 돌문화공원, 4.3평화공원, 항몽유적지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은 문화시설과 문화행사로 본 연구의 기본 평가의 참고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평가 내용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을 문화시설 및 행사 만족도 분석의 요인으로 사용하였다. 일반 연구와 달리 이번 연구는 제주도에 있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므로 요인 부분에서 정책 지원이 추가되었다. 성별, 연령, 학력, 중국인의 한국어 수준, 거주지, 문화시설/행사의 방문목적에 따라 문화 향유 과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통계변수로 설정했다. 종속변수는 전체만족도, 서비스 만족도, 프로그램 만족도, 분위기 만족도, 이용과정 만족도를 5가지 내용으로 만족도 연구를 진행하였다. 독립변수가 문화 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과 문화 참여 의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 모형은 문화 참여 의사를 매개변수로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위의 연구 모형을 사용하여 본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설문지를 설계하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이번 연구에는 남성 204명, 여성 171명 총 375건의 유효한 설문 결과를 받았다.
넷째, 문화시설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에서 수집한 결과에 대해 기술통계, 교차분석, 구조방정식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검사, 가설검증 등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기술통계는 종속변수인 문화시설 만족도,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 지원,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 등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기술 통계분석을 한다. 다음으로 교차분석은 주로 성별, 연령, 학력, 한국어 수준, 거주지, 방문목적 등 6가지 통계변수와 종속변수인 문화시설 만족도,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 지원,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 간의 교차분석을 통해 이뤄졌다. 그리고 신뢰도와 타당성을 고찰해 보면 Cronbach’s α 값이 모두 0.8을 초과하여 문화시설의 신뢰도가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고 표준화 요인의 값들 대부분 기준치에 근접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CR(t) 값은 모두 높게 나타났으니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판단한다. 문화시설에 대한 구조방정식 및 가설의 분석 결과를 따르면 문화시설의 접근성, 정책 지원은 문화시설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하고 접근성과 편의성은 문화시설의 참여 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한다. 반면에 문화시설의 안전성과 편의성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기각하고 안전성과 정책 지원은 문화시설의 참여 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기각한다.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는 문화시설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한다.
다섯째, 문화행사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부분이다. 문화행사도 마찬가지로 설문지에서 수집한 결과에 대해 기술통계, 교차분석, 구조방정식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검사, 가설검증 등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기술통계는 종속변수인 문화행사 만족도,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 지원,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 등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기술 통계분석을 한다. 다음으로 교차분석은 주로 성별, 연령, 학력, 한국어 수준, 거주지, 방문목적 등 6가지 통계변수와 종속변수인 문화행사 만족도,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 지원,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 간의 교차분석을 통해 이뤄졌다. 그리고 신뢰도와 타당성을 고찰해 보면 Cronbach’s α 값이 모두 0.8을 초과하여 문화시설의 신뢰도가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고 표준화 요인의 값들 대부분 기준치에 근접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CR(t) 값은 모두 높게 나타났으니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판단한다. 문화행사에 대한 구조방정식 및 가설의 분석 결과를 따르면 문화행사의 접근성, 안정성과 편의성은 문화행사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하고 편의성은 문화행사의 참여 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한다. 반면에 문화행사의 정책 지원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기각하고 접근성, 안전성과 정책 지원은 문화행사의 참여 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기각한다. 매개변수인 참여 의사는 문화행사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채택한다. 마지막으로 정책제언 부분을 통해 문화시설, 문화행사 및 제주도에서의 중국인의 문화생활 적응성 제고를 제안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문화와 향유에 관한 이론과 지식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하게 되었고,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 향유에 대한 고찰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시사점을 갖게 되었다. 둘째, 관련 데이터 고찰을 통해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국인에 대한 기본적인 인구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중국인의 문화 향유 현황에 대한 이번 연구를 통해 중국인의 문화 향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하게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and Korea are geographically close, culturally cordial, and form a rich cultural and emotional concord through thousands of years of friendly interactions.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made an essential contribution to the d...
China and Korea are geographically close, culturally cordial, and form a rich cultural and emotional concord through thousands of years of friendly interactions.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made an essentia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East Asian and global civilizations by converging and developing together beyond nationality and ethnicity. This year celebrates the 30th anniversary of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also marks the end of the Korea-China Cultural Exchange Year. In addition, the two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s continuously carry out a wide range of cultural events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various fields. Therefore, culture plays a vi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However, there are many concerns in the process of cultural participation. For example, 154 people, including 26 foreigners from 14 countries, died during the Halloween event in Itaewon, Yongsan-gu, Seoul, on October 29. Therefore, research on the problems of the cultural participation process is crucial. Thus, this study studied the process of cultural enjoyment for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This work conducts a study on cultural enjoyment by evaluating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events in Jeju Island for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In addition,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policy support, and overall satisfaction of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event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participation intention and explore the effect of cultural participation intention on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event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work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work examines the enjoyment of culture by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Jeju Island, Hawaii in the East, is not only the southernmost part of Korea, but also a critical free international city in Korea, China, and Japan. As an international municipality, many foreigners live in Jeju Island, and among them, the Chinese are the most.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work hard for Jeju Island and enjoy their rights. Foreigners' right to vote in local regions and safety are all legally protected as fundamental righ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they enjoy their cultural rights. Consequently, this work executes a study to enhance the cultural enjoyment of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This thesis documents a complete and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how to examine cultural enjoyment. By reviewing cultural enjoyment in other regions of Korea, it is deducted that research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cultural facilities, cultural events, cultural policies, and cultural education is feasible. This work is a consolidated analysis of Chinese people's enjoyment of Jeju Island's cultural events with considering the reality of Jeju Island in terms of cultural facilities and events.
Second, this work reviews and describes the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events in Jeju Island. According to the reports and news from the Jeju Island Office website, the Chinese Consulate on Jeju Island, and the Jeju Cultural Institute, this work investigates and summarizes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al facilities and events related to China on Jeju Island. Combin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ultural facilities in Jeju and the elements proposed in this thesis, the cultural facilitie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museums, libraries, performance venues, art museums, cinemas, and cultural parks. The museums include the famous National Jeju Museum, Folklore and Natural History Museum, Jeju University Museum, and the Sea Maiden Museum, etc. Libraries consist of Jeju Library, Hanna Library, and Tamna Library. Performance venues comprise Jeju Cultural Arts Hall, Art Center, Ta-dong Performance Hall, Seogwipo Art Hall, etc. Art museums include the Do-ri Art Museum, the Museum of Modern Art, the Lee Chung-sub Art Museum, and the Ki-dang Art Museum. Movie theatres include CGV Jeju, Lotte Cinema (Ara branch, Samhwa-dong branch), Megabox Jeju, etc. Furthermore, cultural parks include the Stone Culture Park, the 4.3 Peace Park, and the Anti-Mongolian Site. The aforementioned cultural facilities and events are examined as the main elements of the evaluation of this work.
The third part is the evaluation of this thesis. With the previous studies, this work considers accessibility, safety, and convenience as factors for analyzing satisfaction with cultural facilities and events.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this work focuses on Chinese people in Jeju Island, thus the policy support factor is considered. According to the previous analysis, the process of cultural enjoyment varies depending on gender, 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level of Chinese people, place of residence, and purpose of visiting, therefore, they are set as statistical variables. Besides, the dependent variables are examined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five components: overall satisfaction, service satisfaction, program satisfaction, atmosphere satisfaction, and usage process satisfaction. Furthermore, this study designs a research model with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ulture as a parameter to examine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ulture and the effect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ulture on satisfaction. The mentioned research model is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Based on the model mentioned above, this work uses an online questionnaire to survey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A total of 375 valid questionnaire results are collected, including 204 males and 171 females.
Based on the collected survey data, the fourth part of this thesis documen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cultural facilities. This section analyzes and evaluates the data using various analytical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reliability and feasibility testing, and hypothesis testing.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are conducted for fundamental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satisfaction with cultural faciliti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policy support,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Then,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is achieved through the analysis of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and six statistical variables, including gender, 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level, residence, and purpose of visiting. Third, by examining the credibility and feasibility, this paper finds that Cronbach's α values are all over 0.8, which indicates that the credibility of the cultural facility nexus is reliable, the values of the standardized factors are mostly close to the standard values, and the CR(t) values are all high, therefore it i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llow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and hypotheses of cultural facilities, the accessibility of cultural facilities and the adoption of policy support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ultural facilities, and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ultural facilities. On the contrary, the statistical analysis rejects that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cultural facilities have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nd rejects that safety and policy support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ultural facilities. Simultaneously,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ffirm the hypothesis tha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has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with cultural facilities.
The fifth part of the thesis describes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cultural events. Similarly, this section presents various analyses of the cultural events on the results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such as technical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reliability and feasibility testing, and hypothesis testing. First, this work analyzes the statistical results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with cultural events satisfaction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policy support,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arameters, by using technical statistical methods. Secondly, this work examines the credibility and feasibility and finds that Cronbach's α values are all over 0.8, indicating that the cultural facility junctions are trustworthy, the values of the standardized factors are mostly close to the standard values, and the CR (t) values are all high, so they are conside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s and hypotheses of cultural events, accessibility, stability and convenience adoption of cultural events have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with cultural events, and convenience adop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ultural events. In contrast, policy support for cultural events rejects the hypothesis of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while accessibility, safety, and policy support reject the hypothesis of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ultural events. Moreover, the research finds a positive (+) effect of participation intention on cultural events satisfaction. Finally, this work proposes improving Chinese cultural facilities, events, and the adaptability of cultural life in Jeju in the policy suggestion section.
With this thesis, basic theoretical knowledge of culture and enjoyment is accumulated, and the most basic insight into the examination of cultural enjoyment is gaine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Second, the basic demographic structure of Chines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is obtained through the inspection of relevant data. Finally, this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ultural enjoyment of Chinese residents has provided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enjoyment of Chinese resi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산업론, 이대희, 대영문화사, , 2001
2. 문화정책론, 정철현, 서울경제경영, , 2004
3. 언어와문화, 나상배,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3
4. 영어교육학, 박 원, 인천대학교출판부, , 2000
5. 문화예술행정론, 황경수,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교재, , 2021
6. 생활문화 참여자 만족도 연구, 나 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9
7. 공연 행사장 안전 의식도 조사, 이왕기, 왕한진, 손기상, 한국문화산업학 회. 17(1):53-60, , 2017
8. 공공문화 기반기설 이용 만족도, 박승규, 신두섭, 문화경제연구. 15(3): 139-159, , 2012
9. LANGUAGE: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df speech, Edward Sapir, :26-17, , 1921
10. 공연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송은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 학회. 12(5):19-23, , 2012
1. 문화산업론, 이대희, 대영문화사, , 2001
2. 문화정책론, 정철현, 서울경제경영, , 2004
3. 언어와문화, 나상배,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3
4. 영어교육학, 박 원, 인천대학교출판부, , 2000
5. 문화예술행정론, 황경수,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교재, , 2021
6. 생활문화 참여자 만족도 연구, 나 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9
7. 공연 행사장 안전 의식도 조사, 이왕기, 왕한진, 손기상, 한국문화산업학 회. 17(1):53-60, , 2017
8. 공공문화 기반기설 이용 만족도, 박승규, 신두섭, 문화경제연구. 15(3): 139-159, , 2012
9. LANGUAGE: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df speech, Edward Sapir, :26-17, , 1921
10. 공연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송은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 학회. 12(5):19-23, , 2012
11. 경기도의 대중국 관광마케팅 전략 연구, 김흥식, 좌승희, 경기개발연구 원. 31(-):1-8, , 2009
12. 제주도내 중국어 안내 책자에 대한 고찰, 김중섭, 한국언어연구학회. 8(1):119-128, , 2003
13. A New Framework for Building Participation in the Arts, Kevin F. McCarthy KJmberly Jinnett, :17-18, , 2001
14. 제주 지역주민과 중국 관광객간 상호인식, 홍성화, 제주관광학 회. 8(1): 29-40, , 2008
15. 한국 성인들의 예술문화소비에 관한 연구, 박은희, 이화여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 2013
16. Cultural Desire: The Key to Unlocking Cultural Competence, Joseph Campinha-Bacote, 42(6):239-240, , 2003
17. Theorizing Arts Participation as a Social Change Mechanism, Kim Dunphy, 18(05) :301-322, , 2018
18. 문화예술향유 다양성 추이와 영향요인 연구, 김두이, 한국문화교육학 회 16(3): 21-52, , 2021
19. 문화예술제 행사 평가연구: 단원미술제 사례, 정강환, 노봉호, 디자인 학연구. 17(4):319-326, , 2004
20. 대학생의 문화소비성향과 발레공연 관람분석, 허인정, 세종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 2010
21. 사립박물관 방재안전관리 문제점 및 개선방안, 김용수, 김성중, 주동후,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12(1):13-19, , 2001
22. 지역축제유형에 따른 축제성공요인 영향 비교, 김경선, 서구원, 한국디 자인트렌드학회. 29(-):147-158, , 2010
23. 광주시민 문화예술 욕구조사의 결과 분석 연구, 류재한,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10(1):225-246, , 2016
24. Neither Class nor Status: Arts Participation and the Social Strata, Aaron Reeves, 49(4):624-642, , 2015
25. 중국어 문화권 외국인 관광객의 설악원 유치 방안, 김재영, 한국호텔 관광학회연구. 20(9):33-56, , 2000
26.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전혜정, 이가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0(6): 137-165, , 2015
27. 문화예술 기반시설의 지역 간 격차요인에 관한 연구, 김광용, 대진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21
28. 소득과 문화소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람, 홍익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7
29. 지방 공연행사장의 안전관련 법제 고찰 및 정책제언, 김태민, 한국지 방자치연구. 16(3):241-266, , 2014
30. 국내 공연장 안전관리 실태 및 개선 대책에 관한연구, 갈원모, 대한안 전경영학회. 28(1):101-111, , 2008
31. 대규모 행사 안전 확보를 위한 민간경비 활성화 방안, 이석만, 공석주, 한국사회안전학회. 12(1):23-49, , 2017
32. 지역축제의 이미지측정척도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이장주, 경기대 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 1997
33. 축제 방문동기 세분화에 따른 지각된 성 과와 만족 분석, 정승훈, 윤동구, 박은아, 고승익, 관광학연구. 23(2):246-266, , 2000
34. 제주지역 음악축제 활성화를 통한 문화콘텐츠 육성 방안, 김태관, 제 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3): 37-63, , 2013
35. 중국 대문에 등장하는 상징물을 통한 중국인의 문화표상, 정연학, 동 아시아문화연구. 63(11): 133-175, , 2015
36. 제주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지역문화 적응에 대한 연 구, 현미경 , 황경수, 제주학회. 34(-): 191-231, , 2010
37. 중국 유학생의 여가활동유형과 대학생활만족도간의 관계, 이귀옥, Tourism Researc. 25(-): 23-41, , 2007
38. 지역 애착도 및 문화시설 만족도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정봉현, 김주진, 한국지역개발학회. 18(06): 266-280, , 2018
39. 경주 문화관광지역의 편의시설 만족도와 접근성에 대한 연구, 박경일, 박종회, 경주지역발전협의회. 13(3):137-160, , 2005
40. 2019문화예술교육 전용 시설 지원 사업꿈꾸는 예술터평가 연구, 류승완, 장웅초, 이민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5(6):25-46, , 2019
41. 공공문화예술회관 관점의 지역문화향유지수에 대한 실증연구, 이창기, 문화예술콘텐츠. -(15): 273-302, , 2015
42. 문화예술에 대한 수요: 문화예술 향수 증대를 위한 정책 제 언, 소병희, 문화정책논총. 20(-): 106-125, , 2008
43. 외국인 관광 객을 위한 다국어 지원 모바일 서버 설계 및 구현, 박지수, 유승주, 이재욱, 윤영선, 정진만, 곽노섭, 강민규, 은성배, 한국컴퓨터종합학술 대회 눈문집. 17(6):138-139, , 2017
44. 지역축제의 만족도에 관한연구: 청도 소싸움축제를 대상 으로, 유영준, 조현호, 경주대학교論文集12(1):49-68, , 1999
45. 국내 거주 외국인의 문화적응 전략과 관람스포츠 관여 도 비교, 강준호, 강승민,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12(2): 805-818, , 2015
46. 감천문화마을 주민의 문화욕구 탐색: 의미사용이론을 중 심으로, 김진회, 권평이, 글로벌문화콘텐츠. 24(-): 1-26, , 2016
47.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만족도와 방문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 향, 고호석, 한국농촌관광학회. 16(2):25-47, , 2005
48. 국내에 거주하는 젊은 중국인들의 문화 가치 형성과 대인 접촉도, 문성준, 우분, 다문화사회연구. 19(2): 79-102, , 2019
49. 제주지역 문화기반시설의 분포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 구, 김태일, 濟州島硏究. 32(-):69-86, , 2009
50. 주한외국인의 문화관광이벤트 방문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 구, 김순화, 한국자치행정학보. 23(1): 303-320, , 2009
51. 지역문화축제 안전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민간경비제도 구축방 안, 이민형,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1(2):161-184, , 2012
52. 안전하고 편리한 다중운집행사 개최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박영주, 윤우석, 한국경찰연구. 15(4):69-96, , 2013
53. New modes of arts participation and the limits of cultural indicators for local government, KatyaJohanson, :43-59, , 2014
54. 다도활동이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애자, 국제차문화학회. 28(2):79-126, , 2015
55. 제주지역 문화행정과 예술경영의 영역설정과 체계정립 에 관한 연구, 황경수, 고혜영,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3): 560-567, , 2021
56. 제주지역축제의 활성화 방안 : 2008 정월대보름 들불축 제를 중심으로, 송성진, 우기남, 濟州觀光學硏究. 12(-):163-200, , 2008
57. 다문화청소년의 복지에 대한 욕구분석- 외국인근로자 자녀 중 심으로, 임한나, 청소년문화포럼. 22(9): 142-168, , 2009
58. 문화예술향유의 다양성 측면에 대한 분석- 혼종성과 균 등성을 중심으로, 금현섭, 김두이, 문화정책논총. 32(2): 115-143, , 2018
59. 외국인 관광객의 문화관광 행태에 관한 비교 연구: 수원 화상을 중심으로, 오정학, 허상현, 대한관광경영학회. 21(2):141-154, , 2006
60. 도서관의 재난대비와 안전대책: 재난관리를 위한 도서관의 재난 대비계획, 전찬호, 한국도서관협회. 55(7):16-22, , 2014
61. 문화향유증진사업 정책 논거와 쟁점: 문화가 있는날 기획사업을 중심으로, 김세훈, 문화예술경영학연구. 11(2): 63-89, , 2018
62. 사회적 자본이 제주지역 공동체 문화인 괸당문화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황경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3): 1764-1772, , 2015
63. 지역축제 방문동기 세분화 및 만족의 차이: 부산 국제아 트페스티발 중심으로, 이정실, 양일용, 관광레저연구. 14(3):143-156, , 2003
64.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의 운영 활동이 지역 문화예술 활 성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미란, 남상문, 濟州島硏究. 56(-): 137-165, , 2021
65. 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가락 문 화재를 중심으로, 백승기, 한국지방정부학회. 10(2):137-156, , 2006
66. 한국 체류 중국인의 문화콘텐츠 경험이 문화변용과 목적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노희경 , 반결 , 이승환,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18(1): 25-43, , 2022
67. 외국인 유학생과 함께하는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참가자의 다문 화 인식 개선 연구, 박선옥, 漢城語文學. 38(-): 109-131, , 2021
68. 이주 외국인의 문화적응과 여가만족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박광원, 강현욱,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6(71): 209-218, , 2016
69. 공공문화시설의 안전취약계층을 배려한 유니버설 디자인 정책 방향성에 관한 연구, 김규리, 김주연, 장영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1):349-358, , 2021
70.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향유 실태 연구- 중국인 유 학생의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임지혜, 최정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6): 348-363, , 2009
71. 아산 성웅이순신 축제의 행사평가: 문화관광축제 지정 이전과 이후 평가를 중심으로, 정병웅, 이순신연구농촌. -(4):1-22, , 2005
72. 공공조직 구성원이 일중독과 조직 갈등의 관계에 대한 조직 냉소주의의 매개효과 분석, 김주경, 김영곤, 行政論叢. 55(1): 266-280, , 2017
73. 공연장 서비스 품질이 공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객 경험가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범석, 벤처혁신연구. 1(1):181-195, , 2018
74. 중국인관광객의 문화친속도, 관광만족도, 재방문의도 간 의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신으로, 최규환, 증가형, 동북아관광학회. 16(01): 195-281, , 2020
75. 지역축제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시설안전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금산인삼축제를 중심으로, 김현식, 김주호,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7(3):141-163, , 2015
76. 축제서비스품질이 만족도와 행도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안산국제거리극축제를 중심으로, 정혜진, 정승환, 최영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 회. 26(4):207-223, , 2017
77.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 역사문화 교육방안 연구: 대구 원도 심의 문화유산 담사를 중심으로, 이희정, 한중인문학연구. 64(1): 1-30, , 2019
78.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시설의 건축 및 공간적 특성에 관 한 연구 - 해외 건축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광택, 박정근, 청소년시설환경. 12(4):265-274, , 2010
79. 지역축제의 환경단서가 방문객의 축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 고창군 6개 축제를 중심으로, 서휘석, 류지원, 한국지방정부학회 27(2):133-158, , 2013
80. 국가별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와 삶의 만 족도 연구: 사회적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부현, 최석규,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 구소. 10(6):227-257, , 2021
81. 학교장의 진성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혜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 2022
82. 지역축제의 만족속성이 방문객 만족도와 재방문 및 추 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벚꽃축제를 중심으로, 부창산, 최용복, 법과정책. 13(2):269-288, , 2007
83. 주한 중국인 근로자의 문화지능과 문화적응 관계조절요 인 연구: 인지된 문화적 거리감과 리더 정서지능, 왕신우, 한수진, 한국문화산업학회. 22(1):151-160, , 2022
84. 다문화공생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 지원 강화방안: 외국 인 근로자 및 결혼이민자 사례를 중심으로, 조석주, 한국지방자치학회. 07(2):271-304, , 2007
85. 원전지역 주민의 원전 수용성 결정요인 분석: 커뮤니케 이션, 투명성, 경제적 편익 인식과 신뢰를 중심으로, 임은옥, 김주경, 한국정책학회보. 28(03): 221-246, , 2019
86. 제주지역 현대건축의 배치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 및 제주의 문화 집회시설에 관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수희, 김봉애, 농촌건축. 12(2):117-124, , 2014
87. 문화시설기반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인천시 동구 우리미술관 문화나눔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구영은, 강현주, 한국문화교육학 회. 13(4): 25-47, , 2018
88.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이 축제만족도, 재방문 및 구전 의사에 미치는 영향: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를 중심으로, 김명호, 장소운, 장기영, 한국 산업경제학회. 24(1):447-464, , 2011
89. 문화예술활동 참여 동기가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 연구: 문화교육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승혁,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6
90. 민족정체성 통일의식 간의 관계의서 다문화 수용성의 매개효과: 한국거주 내국민과 미국거주 해외동포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이기영, 최혜경, 다문화평화. 12(2): 107-127, , 2018
91. 제주도와 중국 해남도의 문화교류에 관한 시론(試論) : 중국 뉴 실크로드 전략 시행을 계기로 본 동일문화코드 유배문화를 중심으로, 이종무, 濟州島硏究. 46(2): 81-114,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