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인 가구의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디자인 제안 = Proposal of Product Design for the Separation Anxiety of One-person Households Companion Do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36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반려동물을 입양하는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집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는 반려동물이 늘어나고 있으며, 동시에 분리불안을 겪는 반려동물 또한 늘어나고 있다. 특히, 반려견의 분리불안은...

      반려동물을 입양하는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집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는 반려동물이 늘어나고 있으며, 동시에 분리불안을 겪는 반려동물 또한 늘어나고 있다. 특히, 반려견의 분리불안은 공격성 및 이상행동을 유발하며,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려견의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새로운 제품디자인을 제안하여 1인 가구가 반려견을 양육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고 시장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FGI를 통해 제품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노즈워크 장난감과 크레이트로 구성된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 제품을 디자인하였으며, 전문가의 검증 및 평가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adopting pets increases, more pets are spending time alone at home, and at the same time, more pets are experiencing separation anxiety. In particular, companion dogs separation anxiety causes aggression and abno...

      As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adopting pets increases, more pets are spending time alone at home, and at the same time, more pets are experiencing separation anxiety. In particular, companion dogs separation anxiety causes aggression and abnormal behavior and causes problems. To solve this problem, products are being released to ease separation anxiety of companion dogs, but there are limit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basic data for the promotion of the market by proposing a new product design to alleviate companion dogs separation anxiety, and to help one-person households raise companion dogs. To this end, the company se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roducts through FGI, designed a product composed of nosework toys and crate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hrough expert verification and eval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 사례 4. FGI를 통한 제품 개발 방향 설정 5. 제품디자인 제안 6. 제품디자인 제안 참고문헌
      •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반려견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제품 사례 4. FGI를 통한 제품 개발 방향 설정 5. 제품디자인 제안 6. 제품디자인 제안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민우, "파이캠을이용한 애완견 분리불안 자동 검출 시스템 설계" 2016

      2 "비피기술거래 비피제이기술거래, 반려동물관련국내외 산업분석보고서" 비피타임즈 2020

      3 김기환, "분리불안장애 : 엄마랑 떨어지기 무서워요" 학지사 2017

      4 이은경, "분리불안이 있는 유아의 예술심리치료 사례연구 : 말러의 발달이론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5 송규호, "반려동물 분리불안 해소를 위한 스마트 기기 개발" 한국기초조형학회 21 (21): 281-293, 2020

      6 지아영, "미술치료가 유아의 모자 분리불안 해소및 문제 행동개선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보건스포츠대학원 2014

      7 국세청, "국세통계로 보는 100대 샐황업종 현황"

      8 박지혜, "국내 펫코노미(Pet+Economy)시장의현황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2017

      9 "www.sisacast.kr"

      10 "www.naver.com"

      1 신민우, "파이캠을이용한 애완견 분리불안 자동 검출 시스템 설계" 2016

      2 "비피기술거래 비피제이기술거래, 반려동물관련국내외 산업분석보고서" 비피타임즈 2020

      3 김기환, "분리불안장애 : 엄마랑 떨어지기 무서워요" 학지사 2017

      4 이은경, "분리불안이 있는 유아의 예술심리치료 사례연구 : 말러의 발달이론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5 송규호, "반려동물 분리불안 해소를 위한 스마트 기기 개발" 한국기초조형학회 21 (21): 281-293, 2020

      6 지아영, "미술치료가 유아의 모자 분리불안 해소및 문제 행동개선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보건스포츠대학원 2014

      7 국세청, "국세통계로 보는 100대 샐황업종 현황"

      8 박지혜, "국내 펫코노미(Pet+Economy)시장의현황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2017

      9 "www.sisacast.kr"

      10 "www.naver.com"

      11 "www.mypetlife.co.kr"

      12 "www.holapet.com"

      13 "www.edaily.co.kr"

      14 "www.dailyvet.co.k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