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literary meaning of “white blood” motif. “Yun Jeom-hye Agatha” and “Moon Yeong-in Vivian”'s white blood motifs have not been introduced to academia properly yet. In this article, I introduce 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66587
2017
-
800
KCI등재
학술저널
355-385(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literary meaning of “white blood” motif. “Yun Jeom-hye Agatha” and “Moon Yeong-in Vivian”'s white blood motifs have not been introduced to academia properly yet. In this article, I introduce 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literary meaning of “white blood” motif. “Yun Jeom-hye Agatha” and “Moon Yeong-in Vivian”'s white blood motifs have not been introduced to academia properly yet. In this article, I introduce the white blood motif of these two martyrs as a main theme.
The white blood motif symbolizes ① food that gives his body to others, ② a cure for saving life, ③ a realization of altruistic actions, ④ a new religious growth, ⑤ a shock to the people, ⑥ awe to the new religion. And ⑦ this accuses the injustice of persecu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한국가톨릭대사전 제4권" 한국교회사연구소 1997
2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시복 시성 주교 특별위원회, "하느님의 종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시복자료집 제3집"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 특별위원회 2006
3 윤민구, "초기 순교자 시복 자료집 1. 한국 초기 교회에 관한 교황청 자료모음집" 가톨릭출판사 2000
4 윤보윤, "재생서사에 나타난 초월적 조력자의 비교 연구 : 불교서사와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5 일연, "읽기 쉬운 삼국유사"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6 천주교 수원교구 시복 시성 추진위원회, "윤유일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의 시복자료집 제5집" 한국교회사연구소 2000
7 천주교 수원교구 시복 시성 추진위원회, "윤유일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의 시복자료집 제2집" 한국교회사연구소 1997
8 조 광, "역사를 위한 증언: 다블뤼 주교의 비망기"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2
9 김병곤, "신라의 왕경 오악과 (소)금강산" 신라문화연구소 43 (43): 365-396, 2014
10 신선혜, "신라의 불교 전래와 교단의 확립" 한국불교연구원 (33) : 159-194, 2010
1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한국가톨릭대사전 제4권" 한국교회사연구소 1997
2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시복 시성 주교 특별위원회, "하느님의 종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시복자료집 제3집"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 특별위원회 2006
3 윤민구, "초기 순교자 시복 자료집 1. 한국 초기 교회에 관한 교황청 자료모음집" 가톨릭출판사 2000
4 윤보윤, "재생서사에 나타난 초월적 조력자의 비교 연구 : 불교서사와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5 일연, "읽기 쉬운 삼국유사"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6 천주교 수원교구 시복 시성 추진위원회, "윤유일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의 시복자료집 제5집" 한국교회사연구소 2000
7 천주교 수원교구 시복 시성 추진위원회, "윤유일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의 시복자료집 제2집" 한국교회사연구소 1997
8 조 광, "역사를 위한 증언: 다블뤼 주교의 비망기"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2
9 김병곤, "신라의 왕경 오악과 (소)금강산" 신라문화연구소 43 (43): 365-396, 2014
10 신선혜, "신라의 불교 전래와 교단의 확립" 한국불교연구원 (33) : 159-194, 2010
11 이근직, "신라 왕경의 형성과정과 사원" 동악미술사학회 (11) : 105-123, 2010
12 정서운, "불타의 십지행적" 명문당 1977
13 운허 용하, "불교사전" 仏泉 2012
14 강석근, "백률사(栢栗寺) 설화와 제영(題詠)에 대한 연구 -이차돈 순교 설화와 ‘백률송순(栢栗松筍)’을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32 : 27-65, 2012
15 김무조, "고슴도치(異次頓) 죽음의 二元的 悲劇性" 慶星大學校 13 (13): 1992
16 오준호, "경률이상(経律異相) 3" 동국역경원 2012
17 김정진, "가톨릭 성인전(상)" 가톨릭출판사 2004
18 求那跋陀羅, "高麗大藏経. 四十五, 仏說阿難分別経 外31部" 東國大學校東國譯経院 2009
19 법천, "高麗大藏経. 七十六, 廣弘明集 外42部" 東國大學校 東國譯経院 2009
20 이봉춘, "興輪寺와 異次頓의 순교" 신라문화연구소 (20) : 57-78, 2002
21 朴英珠, "興輪寺 주변의 風物 硏究" 신라문화연구소 (20) : 329-344, 2002
22 이도흠, "異次頓의 가계와 新羅의 佛敎 수용" 한국고대사탐구학회 (6) : 129-154, 2010
23 최광식, "異次頓說話에 대한 新考察"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 : 1985
24 최은영, "父母恩重経: 대방편불보은경(大方便仏報恩経)" 홍익출판사 2005
25 송성수, "方廣大莊嚴経. 普曜経(仏說). 中本起経(仏說)" 東國譯経院 2002
26 이향계, "新羅仏敎初期에 있어서의 巫仏融合에 관한 思想的 考察" 동아대학교교육대학원 1984
27 金在庚, "新羅 土着信仰의 分化進展" 역사학회 174 : 1-31, 2002
28 魏英, "新羅 初傳佛敎의 展開過程 檢討" 신라문화연구소 (20) : 99-138, 2002
29 용수, "大智度論 3" 東國大學校 附設 東國譯経院 1994
30 이기봉, "中古期 新羅 王京에서 佛敎의 公認과 都市의 變化" 신라문화연구소 (20) : 257-286, 2002
31 신선혜, "『삼국유사』 탑상편 『백률사』조의 종합적 검토"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6) : 2015
32 강종훈, "『삼국유사』 「흥법」편 ‘원종흥법 염촉멸신’조 고찰"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5) : 2014
33 차광호, "『三國遺事』에서의 猒髑 순교 설화 수용에 대한 검토" 역사문화연구소 (55) : 57-88, 2015
34 John Patrick Crichton-Stuart Bute, "The Roman Breviary reformed by order of the holy oecumenical Council of Trent" Blackwood 1908
35 김부식,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1, 신라본기"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4
36 조광, "(역주)사학징의 1"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 2001
漁村 沈彦光과 海雲亭 - 해운정에 걸린 현판을 중심으로
어촌(漁村) 심언광(沈彦光)과 해운정(海雲亭) - 해운정에 걸린 현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2-01-01 | 평가 | 탈락(현장점검) (기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문학보 -> 漢文學報외국어명 : 미등록 -> Han Mun Hak Bo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