및 토의2001년 5-6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연구선 온누리호를 이용하여 수행된 서태평양 대양항해 중 자동 기록으로 획득된 TSG 자료를 분석하고 이의 운용상 문제점 및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
및 토의2001년 5-6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연구선 온누리호를 이용하여 수행된 서태평양 대양항해 중 자동 기록으로 획득된 TSG 자료를 분석하고 이의 운용상 문제점 및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관측된 TSG 값은 CTD 측정값에 비하여 수온은 약 +0.3oC, 염분은 시간에 따라 약 0.06에서 +0.04 psu 편향오류를 보여주었으며, 관측오류의 요인은 취수된 해수의 TSG까지 이동시 수온 상승과 TSG 내에서의 미세한 기포로 판단된다. TSG 운용상 제기된 문제점은 TSG 센서를 통과하는 해수의 공급의 방법(즉, 통과 유속 증가에 의한 센서 통과 해수 내 기포 생성 유무)과 자료(특히, 염분) 검정 문제였다. 관측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TSG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기포감지기와 압력계의 설치가 필요하며, TSG 센서의 사전 검·교정이 이루어졌을 경우라도 TSG 자료를 검정할 수 있는 CTD 또는 염분계에 의한 현장 측정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SG 자료는 동중국해 대륙붕, 쿠로시오 통과해역, 필리핀해 및 서태평양 적도해역 표층의 해황을 잘 나타내었다. 특히, 적도해역에서 표층수온은 약 0.4-1.3oC 변화 폭의 뚜렷한 일 변화를 보여주었고 일중 최고 및 최저 수온은 현지 시간으로 14-15시 및 5-6시경으로 나타나 수온 상승 시간이 하강 시간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 자료와 비교 결과 구름에 의한 태양복사 차단 영향이 약 0.5oC 정도임을 시사해주었다. 적도해역에서 특징적인 염분 변화는 수 십 분에서 수 시간 지속되는 저염의 peak로 이는 열대 소나기성 강우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수온도 약 0.2-0.6oC 정도로 낮아지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측되었다.TSG 자료로부터 여러 해양물리학적 해석이 가능하였던 점은 TSG의 유용성을 나타낸 것으로 적절한 자료 처리 과정을 거치면 TSG 자료가 항해 해역 표층의 물리적인 해황 특성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국내의 TSG 운용의 수준이 SOOP(2001)과 같은 선박을 이용한 해양 표층 해황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참가 할 수 있는 수준에 근접해 가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연구사업에 관련된 항해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항해 기간 중 TSG 자료가 획득될 수 있도록 하여 유용한 자료의 누적을 도모하고 연구선 활용의 효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TSG 자료를 전지구해양예보를 위한 자료동화에 이용될 수 있도록 위성통신 등을 이용한 준 실시간 자료 전달 체계의 구성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