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2001년 5월과 6월 서태평양에서의 Thermosalinograph 관측 = Thermosalinograph Measurements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in May and June, 200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81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have analyzed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collected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by using an automated Thermosalinograph (TSG) installed on the RV Onnuri during May - June of 2001. The TSG data exhibit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distributed in the near surface layer of the cruise area very well. Especially, they reveal the diurnal surface temperature cycle and the effect of rainfall on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equatorial region, showing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TSG. Problems to be improved for the better TSG operation are the method of water sampling and calibration of TSG sensors. Installation of a pressure gauge in the TSG system and periodical sensor calibration are strongly recommended to ensure reliability of data.
      번역하기

      We have analyzed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collected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by using an automated Thermosalinograph (TSG) installed on the RV Onnuri during May - June of 2001. The TSG data exhibit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

      We have analyzed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collected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by using an automated Thermosalinograph (TSG) installed on the RV Onnuri during May - June of 2001. The TSG data exhibit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distributed in the near surface layer of the cruise area very well. Especially, they reveal the diurnal surface temperature cycle and the effect of rainfall on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equatorial region, showing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TSG. Problems to be improved for the better TSG operation are the method of water sampling and calibration of TSG sensors. Installation of a pressure gauge in the TSG system and periodical sensor calibration are strongly recommended to ensure reliability of 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및 토의2001년 5-6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연구선 온누리호를 이용하여 수행된 서태평양 대양항해 중 자동 기록으로 획득된 TSG 자료를 분석하고 이의 운용상 문제점 및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관측된 TSG 값은 CTD 측정값에 비하여 수온은 약 +0.3oC, 염분은 시간에 따라 약 0.06에서 +0.04 psu 편향오류를 보여주었으며, 관측오류의 요인은 취수된 해수의 TSG까지 이동시 수온 상승과 TSG 내에서의 미세한 기포로 판단된다. TSG 운용상 제기된 문제점은 TSG 센서를 통과하는 해수의 공급의 방법(즉, 통과 유속 증가에 의한 센서 통과 해수 내 기포 생성 유무)과 자료(특히, 염분) 검정 문제였다. 관측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TSG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기포감지기와 압력계의 설치가 필요하며, TSG 센서의 사전 검·교정이 이루어졌을 경우라도 TSG 자료를 검정할 수 있는 CTD 또는 염분계에 의한 현장 측정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SG 자료는 동중국해 대륙붕, 쿠로시오 통과해역, 필리핀해 및 서태평양 적도해역 표층의 해황을 잘 나타내었다. 특히, 적도해역에서 표층수온은 약 0.4-1.3oC 변화 폭의 뚜렷한 일 변화를 보여주었고 일중 최고 및 최저 수온은 현지 시간으로 14-15시 및 5-6시경으로 나타나 수온 상승 시간이 하강 시간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 자료와 비교 결과 구름에 의한 태양복사 차단 영향이 약 0.5oC 정도임을 시사해주었다. 적도해역에서 특징적인 염분 변화는 수 십 분에서 수 시간 지속되는 저염의 peak로 이는 열대 소나기성 강우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수온도 약 0.2-0.6oC 정도로 낮아지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측되었다.TSG 자료로부터 여러 해양물리학적 해석이 가능하였던 점은 TSG의 유용성을 나타낸 것으로 적절한 자료 처리 과정을 거치면 TSG 자료가 항해 해역 표층의 물리적인 해황 특성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국내의 TSG 운용의 수준이 SOOP(2001)과 같은 선박을 이용한 해양 표층 해황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참가 할 수 있는 수준에 근접해 가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연구사업에 관련된 항해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항해 기간 중 TSG 자료가 획득될 수 있도록 하여 유용한 자료의 누적을 도모하고 연구선 활용의 효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TSG 자료를 전지구해양예보를 위한 자료동화에 이용될 수 있도록 위성통신 등을 이용한 준 실시간 자료 전달 체계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번역하기

      및 토의2001년 5-6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연구선 온누리호를 이용하여 수행된 서태평양 대양항해 중 자동 기록으로 획득된 TSG 자료를 분석하고 이의 운용상 문제점 및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

      및 토의2001년 5-6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연구선 온누리호를 이용하여 수행된 서태평양 대양항해 중 자동 기록으로 획득된 TSG 자료를 분석하고 이의 운용상 문제점 및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관측된 TSG 값은 CTD 측정값에 비하여 수온은 약 +0.3oC, 염분은 시간에 따라 약 0.06에서 +0.04 psu 편향오류를 보여주었으며, 관측오류의 요인은 취수된 해수의 TSG까지 이동시 수온 상승과 TSG 내에서의 미세한 기포로 판단된다. TSG 운용상 제기된 문제점은 TSG 센서를 통과하는 해수의 공급의 방법(즉, 통과 유속 증가에 의한 센서 통과 해수 내 기포 생성 유무)과 자료(특히, 염분) 검정 문제였다. 관측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TSG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기포감지기와 압력계의 설치가 필요하며, TSG 센서의 사전 검·교정이 이루어졌을 경우라도 TSG 자료를 검정할 수 있는 CTD 또는 염분계에 의한 현장 측정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SG 자료는 동중국해 대륙붕, 쿠로시오 통과해역, 필리핀해 및 서태평양 적도해역 표층의 해황을 잘 나타내었다. 특히, 적도해역에서 표층수온은 약 0.4-1.3oC 변화 폭의 뚜렷한 일 변화를 보여주었고 일중 최고 및 최저 수온은 현지 시간으로 14-15시 및 5-6시경으로 나타나 수온 상승 시간이 하강 시간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 자료와 비교 결과 구름에 의한 태양복사 차단 영향이 약 0.5oC 정도임을 시사해주었다. 적도해역에서 특징적인 염분 변화는 수 십 분에서 수 시간 지속되는 저염의 peak로 이는 열대 소나기성 강우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수온도 약 0.2-0.6oC 정도로 낮아지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측되었다.TSG 자료로부터 여러 해양물리학적 해석이 가능하였던 점은 TSG의 유용성을 나타낸 것으로 적절한 자료 처리 과정을 거치면 TSG 자료가 항해 해역 표층의 물리적인 해황 특성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국내의 TSG 운용의 수준이 SOOP(2001)과 같은 선박을 이용한 해양 표층 해황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참가 할 수 있는 수준에 근접해 가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연구사업에 관련된 항해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항해 기간 중 TSG 자료가 획득될 수 있도록 하여 유용한 자료의 누적을 도모하고 연구선 활용의 효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TSG 자료를 전지구해양예보를 위한 자료동화에 이용될 수 있도록 위성통신 등을 이용한 준 실시간 자료 전달 체계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3-3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연구원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영문명 :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SCOPUS 등재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Ocean and Polar Research
      외국어명 : Ocean and Polar Research
      KCI등재
      2005-06-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Ocean Science Journal
      외국어명 : Ocean Science Journal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5 0.74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