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방문한 적이 없고 틱톡을 통해 한국 관련 영상 콘텐츠를 시청한 중국 대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틱톡 영상 콘텐츠 특성이 한국 관련 영상 콘텐츠의 이용만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40780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64-309(4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방문한 적이 없고 틱톡을 통해 한국 관련 영상 콘텐츠를 시청한 중국 대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틱톡 영상 콘텐츠 특성이 한국 관련 영상 콘텐츠의 이용만족...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방문한 적이 없고 틱톡을 통해 한국 관련 영상 콘텐츠를 시청한 중국 대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틱톡 영상 콘텐츠 특성이 한국 관련 영상 콘텐츠의 이용만족도, 한류 콘텐츠 선호도, 한국의 국가 이미지, 그리고 한국 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틱톡 영상 콘텐츠의 특성 중 직관성, 간결성, 정보성과 오락성은 이용만족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용만족도는 한류 콘텐츠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틱톡 영상 콘텐츠 특성과 한류 콘텐츠 선호도 사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한류 콘텐츠 선호도는 국가 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용만족도와 국가 이미지 및 방문의도 사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국가 이미지는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조절변수로서 자민족중심주의가 한류 콘텐츠 선호도와 국가 이미지 및 방문의도 사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약화시킨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있는 중국 대학생들은 틱톡을 통해 한국 관련 영상을 접한 후 한류 콘텐츠를 좋아하게 되더라도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부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문화 후광효과에 일정한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국 대학생들이 틱톡을 통해 한국 관련 영상 콘텐츠를 접한 후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대해 모순된 태도를 가지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제’는 왜 공중의제가되지 못했나? : 제주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옥천신문> 지면 변화 추적 : 보도 형태와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지역 미디어와 공중 의제 전이의 상관성 연구 : 제주 제2공항 건설 이슈와 삶의 관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