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득ㆍ자산기반 중산층 측정 및 계층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Income-Net Worth-Based Measurement of the Middle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90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WeisbrodㆍHansen(1968)이 제안한 소득-순자산가치(income-networth)의 개념을 도입하여 중산층을 새로운 기준에 따라 정의하고 이들의 특성과 계층 이동요인을 분석한다. 소득-순자산가치는 저량(stock)인 순자산을 연금화(annuitizing)하여 유량(flow)인 소득에 합산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중산층의 규모가 측정 기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소득과 자산을 모두 고려할 경우 경제적 취약계층의 규모가 크게 증가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또한 소득 기준과 소득-자산 기준 모두에서 근로가구원수가 경제적 계층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실증분석을 통해 소득-자산 기준에서 부동산의 보유 여부가 중산층과 하위층 간의 이행에서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자산의 형성이 중장기적으로 빈곤 탈출과 중산층 확대를 위한 핵심적 요소라는 점을 밝혔다. 우리의 분석결과는 중산층 확대와 강화를 위해서는 소득 증대뿐만 아니라 가계의 자산형성과 자산의 유동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WeisbrodㆍHansen(1968)이 제안한 소득-순자산가치(income-networth)의 개념을 도입하여 중산층을 새로운 기준에 따라 정의하고 이들의 특성과 계층 이동요인을 분석한다. 소득-순자산가치...

      본 논문은 WeisbrodㆍHansen(1968)이 제안한 소득-순자산가치(income-networth)의 개념을 도입하여 중산층을 새로운 기준에 따라 정의하고 이들의 특성과 계층 이동요인을 분석한다. 소득-순자산가치는 저량(stock)인 순자산을 연금화(annuitizing)하여 유량(flow)인 소득에 합산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중산층의 규모가 측정 기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소득과 자산을 모두 고려할 경우 경제적 취약계층의 규모가 크게 증가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또한 소득 기준과 소득-자산 기준 모두에서 근로가구원수가 경제적 계층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실증분석을 통해 소득-자산 기준에서 부동산의 보유 여부가 중산층과 하위층 간의 이행에서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자산의 형성이 중장기적으로 빈곤 탈출과 중산층 확대를 위한 핵심적 요소라는 점을 밝혔다. 우리의 분석결과는 중산층 확대와 강화를 위해서는 소득 증대뿐만 아니라 가계의 자산형성과 자산의 유동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class and the determinants of shift among classes, based on a concept of income-net worth which was suggested by Weisbrod and Hansen (1968). The income-net worth-based middle class is estimated by total available current income that is a sum of household``s income and the annuity value of its net worth. We show that the size of the economic fragile class largely increases when we consider household``s wealth as well as its income. Also, we obtain a result in which whether or not a household has the second earner is a key factor to determine its economic class and its shift to other classes, in both income-based and income-net worth-based criteria. Futhermore, our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whether or not a household owes its property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affect its shift between the middle class and the lower class. To make the middle class stronger, we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young to acquire assets and the old to utilize the annuity of their asset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class and the determinants of shift among classes, based on a concept of income-net worth which was suggested by Weisbrod and Hansen (1968). The income-net worth-based middle class is estimated by ...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class and the determinants of shift among classes, based on a concept of income-net worth which was suggested by Weisbrod and Hansen (1968). The income-net worth-based middle class is estimated by total available current income that is a sum of household``s income and the annuity value of its net worth. We show that the size of the economic fragile class largely increases when we consider household``s wealth as well as its income. Also, we obtain a result in which whether or not a household has the second earner is a key factor to determine its economic class and its shift to other classes, in both income-based and income-net worth-based criteria. Futhermore, our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whether or not a household owes its property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affect its shift between the middle class and the lower class. To make the middle class stronger, we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young to acquire assets and the old to utilize the annuity of their asse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우진, "한국 빈곤문제의 동태적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2014

      2 강성진, "중산층의 추이, 이탈원인과 대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3 유경준, "중산층의 정의와 추정" 한국개발연구원 2 (2): 2008

      4 김미곤, "중산층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시사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3 : 2014

      5 윤자영, "중산층 형성과 재생산에 관한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4

      6 윤희숙, "중산층 현황에 대한 다면적 분석과 중산층 확대전략에의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30 (30): 2013

      7 박소현, "중산층 측정 및 추이분석" 통계개발원 2013

      8 한국개발연구원, "중산층 복원을 위한 정책과제" 2013

      9 강성민, "자산빈곤이행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15-138, 2009

      10 최성근, "우리나라 중산층 삶의 질 변화" 현대경제연구원 2015

      1 강우진, "한국 빈곤문제의 동태적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2014

      2 강성진, "중산층의 추이, 이탈원인과 대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3 유경준, "중산층의 정의와 추정" 한국개발연구원 2 (2): 2008

      4 김미곤, "중산층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시사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3 : 2014

      5 윤자영, "중산층 형성과 재생산에 관한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4

      6 윤희숙, "중산층 현황에 대한 다면적 분석과 중산층 확대전략에의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30 (30): 2013

      7 박소현, "중산층 측정 및 추이분석" 통계개발원 2013

      8 한국개발연구원, "중산층 복원을 위한 정책과제" 2013

      9 강성민, "자산빈곤이행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15-138, 2009

      10 최성근, "우리나라 중산층 삶의 질 변화" 현대경제연구원 2015

      11 남준우,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의 규모 및 소득변화의 추이" 한국노동연구원 7 (7): 1-24, 2007

      12 석상훈, "외환위기 이후 소득이동에 대한 연구: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2008

      13 임병인, "소득빈곤과 자산빈곤과의 연계성 분석" 2012

      14 유경준, "소득분배 국제비교와 빈곤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3

      15 원종학, "소득계층 이동의 원인과 정책적 대응방안"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6) : 2013

      16 정지운, "소득-순가치(Income-Net Worth) 개념을 활용한 노인빈곤의 재고찰" 한국노년학회 34 (34): 595-611, 2014

      17 천현숙, "세대간․세대내 주거소비특성 변화에 대응한 정책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5

      18 김대일, "불평등도 지표로서의 소득과 소비의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77-102, 2007

      19 김미곤, "다차원적 중산층 개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20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Report 2000/2001: Attacking pover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1 Spilerman, S., "Wealth and Stratification Processes" 26 (26): 497-524, 2000

      22 Duncan, G., "W(h)ither the Middle Class? A Dynamic View" The Jerome Levy Economics Institute of Bard College 1991

      23 Sorensen, A., "Toward a Sounder Basis for Class Analysis" 105 : 1523-1558, 2000

      24 Landes, D., "The Wealth and Poverty of Nations" Norton 1998

      25 Easterly, W., "The Middle Class Consensus and Economic Development" 6 (6): 317-335, 2001

      26 Thurow, L., "The Disappearance of the Middle Class"

      27 Horrigan, M., "The Declining Middle-class Thesis: A Sensitivity Analysis" 111 (111): 3-13, 1988

      28 Pressman, S., "The Decline of the Middle Class :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41 (41): 181-200, 2007

      29 Wolff, E. N., "The Asset Price Meltdown and the Wealth of the Middle Class" NBER 2012

      30 Blau, P., "The American Occupational Structure" John Wiley 1967

      31 Adelman, I., "Society, Politics, and Economic Development: A Quantitative Approach" Johns Hopkins Press 1967

      32 Spilerman, S., "Social Theory and Social Policy" 1993

      33 Coleman, R., "Social Standing in America: New Dimensions of Class" Basic Books 1978

      34 Lawrence, R., "Sectoral Shifts and the Size of the Middle Class" 3 : 3-11, 1984

      35 이준협, "OECD 기준 중산층과 체감중산층의 괴리" 현대경제연구원 2013

      36 Clarke, G., "More Evidence on Income Distribution and Growth" 47 : 403-427, 1995

      37 Jencks, C., "Inequlaity" Basic Book 1972

      38 Galor, O., "Income Distribution and Macroeconomics" 60 (60): 35-52, 1993

      39 Morillas, J. R., "Assets, Earnings Mobility and the Black/white Gap" 36 : 808-833, 2007

      40 Sherraden, M., "Assets and the Poor : A New American Welfare Policy" M. E. Sharpe 1991

      41 Kober C., "Asset-based Welfare and Poverty: Exploring the Case for and Against Asset-based Welfare Policies"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2002

      42 Brandolini, A., "Asset-based Measurement of Poverty" 29 (29): 267-284, 2010

      43 Weisbrod, B. A., "An Income-net Worth Approach to Measuring Economic Welfare" 58 : 1315-1329,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Public Fina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재정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2008-01-01 평가 학술지 통합 (기타)
      2007-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 한국재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And Economic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 1.58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