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적자본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건강행동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7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Campbell 외(1999) 사회적 자본과 건강 경로 모델을 기반으로 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자본, 우울, 건강행동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들 관계에서 우울과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6차 조사자료를 일부 활용하였다. 65세 이상 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 노인 491명을 추출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건강상태로 가는 경로, 사회적 자본이 우울로 가는 경로, 우울이 주관적 건강상태로 가는 경로, 건강행동이 주관적 건강상태로 가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을 매개로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Campbell 외(1999) 사회적 자본과 건강 경로 모델을 기반으로 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자본, 우울, 건강행동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

      본 연구는 Campbell 외(1999) 사회적 자본과 건강 경로 모델을 기반으로 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자본, 우울, 건강행동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들 관계에서 우울과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6차 조사자료를 일부 활용하였다. 65세 이상 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 노인 491명을 추출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건강상태로 가는 경로, 사회적 자본이 우울로 가는 경로, 우울이 주관적 건강상태로 가는 경로, 건강행동이 주관적 건강상태로 가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을 매개로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Campbell et al. (1999) social capital and health path model,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social capital,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using long-term care home service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verified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in their relationships. For this, some of the data from the 16th survey of the Korean Welfare Panel were used. 491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ho used long-term care home service were extrac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ath of social capital to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path of social capital to depression, the path of depression to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path of health behavior to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oci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it was identified as a factor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us through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educational,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using long-term care home services were presented.
      번역하기

      Based on Campbell et al. (1999) social capital and health path model,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social capital,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using long-term care home services on subjective health statu...

      Based on Campbell et al. (1999) social capital and health path model,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social capital,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using long-term care home service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verified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in their relationships. For this, some of the data from the 16th survey of the Korean Welfare Panel were used. 491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ho used long-term care home service were extrac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ath of social capital to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path of social capital to depression, the path of depression to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path of health behavior to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oci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it was identified as a factor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us through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educational,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using long-term care home services were present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