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차 베이비붐 세대의 희망은퇴연령 결정요인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7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고령화시대에서 중고령자의 미래 시간 관점과 자원이론 관점에서, 2021년 수행된 고령화고용패널조사(KLoEE) 1차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2차 베이비붐 세대의 희망은퇴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월평균 소득과 근로시간이 많을수록, 건강문제가 있을 경우 희망은퇴연령이 높아지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한편 자녀의 경제 의존도가 커지면 희망은퇴연령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건강문제 유무는 근로시간이 희망은퇴연령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문제가 있는 경우 근로시간이 많을수록 희망은퇴연령이 낮아졌다. 셋째, 종사상 지위에 따라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의 희망은퇴연령에 미치는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자리 만족도, 근로시간, 건강문제 유무 등의 요인은 동일한 효과를 보였으나 월평균 소득의 경우 임금근로자에게만 유의한 부(-)의 영향이 나타났으며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의 영향도 임금근로자에게서 대부분 유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퇴직이 본격화된 2차 베이비붐 세대가 희망하는 은퇴연령에 대한 인식을 고려하여, 이들이 오랫동안 노동시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제도적 · 사회적 인식 개선 및 일터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고령화시대에서 중고령자의 미래 시간 관점과 자원이론 관점에서, 2021년 수행된 고령화고용패널조사(KLoEE) 1차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2차 베이비붐 세대의 희망은퇴연령에 영...

      본 연구는 초고령화시대에서 중고령자의 미래 시간 관점과 자원이론 관점에서, 2021년 수행된 고령화고용패널조사(KLoEE) 1차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2차 베이비붐 세대의 희망은퇴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월평균 소득과 근로시간이 많을수록, 건강문제가 있을 경우 희망은퇴연령이 높아지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한편 자녀의 경제 의존도가 커지면 희망은퇴연령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건강문제 유무는 근로시간이 희망은퇴연령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문제가 있는 경우 근로시간이 많을수록 희망은퇴연령이 낮아졌다. 셋째, 종사상 지위에 따라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의 희망은퇴연령에 미치는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자리 만족도, 근로시간, 건강문제 유무 등의 요인은 동일한 효과를 보였으나 월평균 소득의 경우 임금근로자에게만 유의한 부(-)의 영향이 나타났으며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의 영향도 임금근로자에게서 대부분 유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퇴직이 본격화된 2차 베이비붐 세대가 희망하는 은퇴연령에 대한 인식을 고려하여, 이들이 오랫동안 노동시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제도적 · 사회적 인식 개선 및 일터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a determinants that affects the hoped retirement age of secondary baby-boom generations based on the first survey data of the employment panel investigation (KLoEE), which was carried out in 2021, from the perspectives of future time and job maintenance. As a result, first, the more monthly income and working hours, the higher hoped retirement age. On the other hand, if the child’s dependence on economic dependence increased, hoped retirement age was low. Second, the presence of health problems showed the impact of working hours on the hoped retirement age. If there is a health problem, the higher the working hours, the lower the hoped retirement age. Third,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work, the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were analyzed, and the factors of the two groups of the hoped retirement 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institutional and social awareness and create a workplace environment where middle-aged can continue to work, considering the perception of the second baby boom generation, which has begun to retire in earnest.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analyze a determinants that affects the hoped retirement age of secondary baby-boom generations based on the first survey data of the employment panel investigation (KLoEE), which was carried out in 2021, from the perspectives of futu...

      This study is to analyze a determinants that affects the hoped retirement age of secondary baby-boom generations based on the first survey data of the employment panel investigation (KLoEE), which was carried out in 2021, from the perspectives of future time and job maintenance. As a result, first, the more monthly income and working hours, the higher hoped retirement age. On the other hand, if the child’s dependence on economic dependence increased, hoped retirement age was low. Second, the presence of health problems showed the impact of working hours on the hoped retirement age. If there is a health problem, the higher the working hours, the lower the hoped retirement age. Third,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work, the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were analyzed, and the factors of the two groups of the hoped retirement 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institutional and social awareness and create a workplace environment where middle-aged can continue to work, considering the perception of the second baby boom generation, which has begun to retire in earnes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