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中等學校 統一敎育의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 Thesis on Effective Ways of Teaching 'Reunification of Korea Peninsul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5083439

      • 저자
      • 발행사항

        제주 :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민윤리교육전공 , 1998. 8

      • 발행연도

        199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6.419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제주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iii, 58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49-51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통일은 우리가 실험해야 할 민족 최대의 과제이다. 통일교육은 그러한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며, 적어도 우리는 통일 및 통일교육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하나의 힙의를 이루며 ...

      통일은 우리가 실험해야 할 민족 최대의 과제이다. 통일교육은 그러한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며, 적어도 우리는 통일 및 통일교육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하나의 힙의를 이루며 살아 왔다. 하지만 그러한 통일 및 통일교육의 방법을 둘러싸고 남북한간에 그리고 대내적으로 심각한 혼란과 갈등을 유발함으로써 우리는 오히려 통일을 지체시키는 중대한 잘못을 범해 왔다. 특히 통일교육에 대한 대내적인 시각 차이는 명확한 통일교육의 방향 설정데 대한 혼란 초래함으로써 통일교육의 실효성을 제약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오늘날 우리가 통일교육을 중시해야 할 주된 이유는 토일교육이 통일이라는 현실적이고도 당위적인 민족적 과제 해결에 있어서 통일의 주역이 될 세 세대드에게 확고한 민족에의 통일관을 심어주는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통일교육이 통일의 과정과 통일 이후에 필연적으로 뒤따르게 될 온갖 고통과 갈등, 그리고 혼란의요소들을 사전에 방지하고 바람직한 통일문화를 창조하는데 역할을 하기데 더욱 그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통일교육 특히 중등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은 입시위주의 주지주의적 교육풍토 속에서 명확한 자리 매김을 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학생들의 지적인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학교 통일교육이 급변하고있는 통일환경의 동태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부으하지 못한 채, 늘 시대 변화를 뒤쫓아가는 낡은 방식으로 통일교육이 잉루어져 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통일교육환경의 변화를 바탕으로 유동적인 통일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중등학교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통일교육은 분신과 대립의 냉전 구조 속에서 반세기를 상아온 우리 민족 전체의 마음 속의 장벽을 제거할 수 있는 생동감 있고 탄력성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전체 아래 본 연구에서는 우리가 지향해야 할 새로운 통일교육의 방향으로서 ① 올바른 통일관을 형성하는 교육. ② 민주 시민을 기르는 교육. ③ 민족공동체의식을 형성하는 교육. ④ 적극적인 평화 의식을 계발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방향에 부응하면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통일교육의 '열린'교수·학습 방법으로 시청각 매체 활용 수업, 토의 수업, 시사 자료 활용 수업, 가상현실 체험핛브, 현장 체험 학습 등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실행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도 학교 통일교육이야말로 우리 민족이 실질적인 마음의 통일을 이루기 위한 가장 확실하면서도 가장 파급 효과가 큰 확실한 교육적 투자라는 가치관을 가지고 통일교육에 임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unificatin of Korea peninsular is the most important task that we have to do. And its teaching is one of processes which achieve the reunification, so that we may prepare for the reunificaiton of Korea peninsular. At least we have lived with coming ...

      Reunificatin of Korea peninsular is the most important task that we have to do. And its teaching is one of processes which achieve the reunification, so that we may prepare for the reunificaiton of Korea peninsular. At least we have lived with coming to a consent that we should do the reunificatin and its teaching. But there has been a big confusion and conflict on how to reach the reunification and teach it between the south and the noth, and domestically. As a result, this has led us to make a big mistake; that is, this has resulted in delaying the reunification. More than anything else, the different jpoint of view on teaching the reunification domestically have made us confused at setting up the way of teaching the reunification. Accordingly this has been a basic reason to cause to reduce the efficacy on teaching the reunification.
      The reason why we have to concern about teaching the reunification is that it brings the strong love of people and viewpoint of the reunification to the new generations which will jplay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the reunification.
      Nevertheless, teaching the reunificatin basn't planted firmly, especially in secondary schools partly because of the test-centered educational circumstances under which students have been concerned only about passing exams, and unintersted in and bored of learning about the reunificati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eaching the reunification in schools has been done in the old way which couldn't deal with th rapid change of the reunification circumstances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effective way of teaching th reunification in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changeable circumstances of the reunification.
      The new way of teaching the reunifacation is to be so active and flexible that it can get rid of the barrier with which we Koreans have lived under the circumstances of cold war having distrust and confrontation. On this premise, this study shows the right way of teaching the reunification we intend to do: ① Education of forming a right point of view on the reunification ② Education of bringing up democratic citizen ③ Education of forming th ethnic community consciousness ④ Education of developing active consciousness jof peace. And it shows the new methodology of teaching the reunification in which there are multimedia teaching method, teaching method of discussion learning, that of using current news materials, simulaion learning,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shows the practical ways that can be applied in schools
      Top of all the things, teaching the reunification in schools should be the best investment on educatin which will bring the most effective and practical result by which we Koreans can feel the reunification inward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 目次 = ii
      • I.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 범위와 방법 = 2
      • <국문초록> = i
      • 目次 = ii
      • I. 서론 = 1
      • 1. 연구의 목적 = 1
      • 2. 연구 범위와 방법 = 2
      • II. 통일교육과 통일 환경의 변화 = 4
      • 1. 통일교육의 의의 = 4
      • 1) 통일교육의 의미 = 4
      • 2) 통일교육의 목적 = 5
      • 3) 통일교육의 기능 = 6
      • 2. 통일 교육의 변천 과정 = 10
      • 3. 통일환경의 변화 = 12
      • 4. 새 정부의 대북·통일정책 = 13
      • III. 중등학교 통일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 16
      • 1. 중등학교 통일교육의 목표 = 16
      • 1) 일반 목표 = 16
      • 2) 학교급(학년)별 목표 체계 = 19
      • 2. 통일교육의 내용 구성 = 21
      • 3. 제주도 도덕·윤리교사들의 통일 의식 = 25
      • 4. 중등학교 통일교육의 문제점 = 32
      • IV. 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 35
      • 1.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 = 35
      • 2. 민족 통합을 위한 통일교육의 내용 = 39
      • 3. 통일교육의 새로운 교수방법 = 41
      • V. 결론 = 47
      • 참고문헌 = 49
      • = 52
      • 부록 제주도 도덕·윤리교사들의 통일의식 설문조사 =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