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효율적인 공간 데이터 적재를 위한 이기종 데이터 소스의 비중복 추출기법 = Non Duplicated Extract Method of Heterogeneous Data Sources for Efficient Spatial Data Load in Spatial Data Warehou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53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는 공간 DBMS 또는 다양한 소스데이터로부터 시간에 따라 추출된 공간데이터를 ETL 과정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적재 주기 마다 추출된 공간데...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는 공간 DBMS 또는 다양한 소스데이터로부터 시간에 따라 추출된 공간데이터를 ETL 과정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적재 주기 마다 추출된 공간데이터는 비공간 데이터와 달리 같은 주제의 중복된 공간 정보가 유용하지 않으며, 공간 데이터의 특징으로 저장 공간의 낭비가 크다. 또한 이기종간의 시스템에서 소스 데이터를 추출할 경우 서로 다른 공간데이터 타입 및 스키마를 가지고 있어 이를 위한 공간데이터 추출 기법이 요구된다. 기존 기법에서는 기준이 되는 Geocoding DB를 이용하여 추출된 공간데이터에 대한 주소 매칭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정형화된 데이터 셋을 적재한다. 하지만 이 기법은 추출 데이터를 매번 Geocoding DB와 비교 연산이 발생하며, 주제별로 공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함에 따라 이 기종 공간 DBMS 사이에 중복된 데이터를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기 내에서 이 기종의 소스 시스템으로부터 추출된 갱신질의 통합을 이용한 효율적 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이 기종의 공간 DBMS로부터 발생한 과거 적재 시점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질의 중 삽입이나 삭제 등의 업데이트 관련 질의만을 추출하여 공간데이터의 불필요한 추출 연산 비용을 제거한다. 또한 소스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업데이트 질의를 이용하여 추출된 공간 데이터를 주제별로 중복 제거 및 통합 한다. 제안 기법은 데이터 중복 저장에 의한 저장 공간의 낭비를 줄이고, 적재시점 별 통합된 데이터를 적재함으로써 빠른 공간데이터 분석을 지원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patial data warehouses are a system managing manufactured data through ETL step with extracted spatial data from spatial DBMS or various data sources. In load period, duplicated spatial data in the same subject are not useful in extracted spatial dat...

      Spatial data warehouses are a system managing manufactured data through ETL step with extracted spatial data from spatial DBMS or various data sources. In load period, duplicated spatial data in the same subject are not useful in extracted spatial data dislike aspatial data and waste the storage space by the feature of spatial data. Also, in case of extracting source data on heterogeneous system, as those have different spatial type and schema, the spatial extract method is required for them. Processing a step matching address about extracted spatial data using a standard Geocoding DB, the exiting methods load formal data set. However, the methods cause the comparison operation of extracted data with Geocoding DB, and according to integrate spatial data by subject it has problems which do not consider duplicated data among heterogeneous spatial DBMS. This paper proposes efficient extracting method to integrate update query extracted from heterogeneous source systems in data warehouse constructer. The method eliminates unnecessary extracting operation cost to choose related update queries like insertion or deletion on queries generated from loading to current point. Also, we eliminate and integrate extracted spatial data using update query in source spatial DBMS. The proposed method can reduce wasting storage space caused by duplicate storage and support rapidly analyzing spatial data by loading integrated data per loading poi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동선, "다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저장기법 및 분리된 저장구조" 7 (7): 1-11, 2000

      2 전치수,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시공간 분석 지원을 위한 비중복 적재기법"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9 (9): 81-91, 2007

      3 전병윤,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GML데이터의 효율적인 적재를 위한 데이터 통합기법" 27-30, 2006

      4 유병섭,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공간 집계연산"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9 (9): 1-16, 2007

      5 E. Sperley, "The EnterpriseData Warehouse: Planning, Building and Implementation" Prentice Hall PTR 88-15, 1999

      6 TIGER/Line Files, "Technical Documentation" U.S. Bureau of Census, California, accessiblevia

      7 ESRI, "Spatial Data Warehousing for Hospital Organizations" ESRI White Paper

      8 ESRI, "Spatial Data Warehousing" ESRI White Paper

      9 L. Savary, "Spatial Data Warehouse – A Prototype" 335-340, 2003

      10 ESRI, "Spatial Data Standards and GIS Interoperability" ESRI White Paper

      1 박동선, "다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저장기법 및 분리된 저장구조" 7 (7): 1-11, 2000

      2 전치수,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시공간 분석 지원을 위한 비중복 적재기법"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9 (9): 81-91, 2007

      3 전병윤,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GML데이터의 효율적인 적재를 위한 데이터 통합기법" 27-30, 2006

      4 유병섭,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공간 집계연산"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9 (9): 1-16, 2007

      5 E. Sperley, "The EnterpriseData Warehouse: Planning, Building and Implementation" Prentice Hall PTR 88-15, 1999

      6 TIGER/Line Files, "Technical Documentation" U.S. Bureau of Census, California, accessiblevia

      7 ESRI, "Spatial Data Warehousing for Hospital Organizations" ESRI White Paper

      8 ESRI, "Spatial Data Warehousing" ESRI White Paper

      9 L. Savary, "Spatial Data Warehouse – A Prototype" 335-340, 2003

      10 ESRI, "Spatial Data Standards and GIS Interoperability" ESRI White Paper

      11 Oracle, "Oracle Spatial" Oracle White Paper

      12 A. Simitsis, "Optimizing ETL Process in Data Warehouse" 564-575, 2005

      13 L. Stoimenov, "Integration of GIS Data Sources over the Internet Using Mediator and Wrapper Technology" 334-336, 2000

      14 Oracle, "Integrated ETL and Modeling" An Oracle White Paper

      15 D. Skoutas, "Designing ETL processes using semantic web technologies" 67-74, 2006

      16 C. Squire, "Data extraction and transformation for the data warehouse" 446-447, 1995

      17 M. Howard, "Combining Heterogeneous Spatial Data From Distributed Sources" 59-70, 2005

      18 W. H. Inmon, "Building the Data Warehouse, 2nd Ed" John Wiley & Sons. Inc 1996

      19 X. CHEN, "Applying DP to ETL of Spatial Data Warehouse" 1616-1619, 2004

      20 S. Chaudhuri, "An Overview of Data Warehousing and OLAP Technology" 65-74,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0-05-01 평가 학술지 폐간(기타)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7-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br>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