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대학 구내식당에서 한식메뉴도입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01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Korean food for campus dining service in USA which has one of the biggest food markets. In-depth interview with 10 manageri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Korean food for campus dining service in USA which has one of the biggest food markets. In-depth interview with 10 managerial level of staffs in campus dining service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and challenges of adopting Korean menus in their campus dining service and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food.
      This study found that the critical factors they consider for introduction of new menu are ‘profitability’, ‘easy and speedy cooking process’, ‘stable food display’, ‘customers’ ‘preference’, ‘food characteristics’, and ‘ingredients & equipment’. They indicated several positive aspects of Korean food for campus dining service: ‘existence of potential demand’, ‘high interest of American in new food’, ‘good for catering & buffet service’, and ‘variety and health of Korean food’. They also suggested several potential challenges: ‘uncertainty of student customers preference over Korean food’, ‘no information about marketing methods’, ‘different style of cooking process’, ‘time required for cooking & service’, ‘lack of information on Korean food’, and ‘consistent ingredient supp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연정, "한식의 세계화전략이 국가이미지, 한국태도,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7 (17): 117-135, 2008

      2 조현순, "한식의 세계화,관광 상품화 전략에 관한 연구" 9 (9): 37-58, 2009

      3 나정기, "한식의 세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0 (10): 155-179, 2007

      4 나정기, "한식당의 현지화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1 (11): 307-336, 2008

      5 김윤옥, "한식, 표준화. 현지화해야"

      6 한국외식산업연구소, "한식 세계화를 위한 세계 주요 국가 음식 관광정책 사례 분석"

      7 농림수산식품부, "한식 세계화 추진전략(안)"

      8 이연정, "한류가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방한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6 (16): 497-505, 2006

      9 고경일, "한국전통식품의 국제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9 (9): 375-397, 2007

      10 이연정, "한국음식의 세계화를 위한 푸드코디네이터의 역할에 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544-555, 2007

      1 이연정, "한식의 세계화전략이 국가이미지, 한국태도,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7 (17): 117-135, 2008

      2 조현순, "한식의 세계화,관광 상품화 전략에 관한 연구" 9 (9): 37-58, 2009

      3 나정기, "한식의 세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0 (10): 155-179, 2007

      4 나정기, "한식당의 현지화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1 (11): 307-336, 2008

      5 김윤옥, "한식, 표준화. 현지화해야"

      6 한국외식산업연구소, "한식 세계화를 위한 세계 주요 국가 음식 관광정책 사례 분석"

      7 농림수산식품부, "한식 세계화 추진전략(안)"

      8 이연정, "한류가 한국 음식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방한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6 (16): 497-505, 2006

      9 고경일, "한국전통식품의 국제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9 (9): 375-397, 2007

      10 이연정, "한국음식의 세계화를 위한 푸드코디네이터의 역할에 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544-555, 2007

      11 삼성경제연구소, "한국음식의 상품화․국제화 전략"

      12 김재수, "한국음식의 국제화 방안"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 (20): 499-507, 2005

      13 한경수, "한국궁중음식의 프랜차이징 메뉴개발을 위한 타당성 분석" 한국외식경영학회 5 (5): 141-162, 2002

      14 설원식, "재한 외국인의 한국음식 선호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영향 요인 간 상호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학회 11 (11): 712-731, 2007

      15 이영희, "인터뷰조사기법: 질적 연구를 위한 인터뷰 성공기술"

      16 이인구, "음식 한류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대한경영학회 19 (19): 2135-2355, 2006

      17 신혜란, "심층인터뷰 연구방법론: 타인에게 배우는 데이터 수집․분석기법"

      18 김태희, "브랜드쉐프를 통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방안-일본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682-689, 2007

      19 서진욱, "미국내 민족음식의 조사를 통한 한식당의 현지화 전략" 4 (4): 125-147, 2001

      20 "World’s Healthiest Foods: Kimchi(Korea)"

      21 Haerens, L., "The effects of a middle-school healthy eating intervention on adolescents' fat and fruit intake and soft drinks consumption" 10 (10): 443-449, 2007

      22 Kubik, M. Y., "The association of the school food environment with dietary behaviors of young adolescents" 93 (93): 1168-1173, 2003

      23 Lee, S., "The Relative Importance of Menu Attributes at Point of Menu Selection Through conjoint analysis: Focused on Adolescents" 10 (10): 3-18, 2007

      24 "Taste of Tech"

      25 "Sodexo rolls out special menu series: Asian, Mexican dishes courtesy of Mai Pham and Roberto Santibanez"

      26 Andaleeb, S. S., "Satisfaction with Food Services: Insights from a College Cafeteria" 10 (10): 51-65, 2007

      27 "Online student surveys put foodservice on right track"

      28 Hansen, A., "Mass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NYU Press 1998

      29 "Kogi Korean BBQ, a taco truck brought to you by Twitter"

      30 "For a New Generation, Kimchi Goes With Tacos"

      31 Hackes, B. L., "Factors other than environmental issues influence resource allocation decisions of school" 99 (99): 944-949, 1999

      32 Neumark-Sztainer, D., "Factors influencing food choices of adolescents: findings from focus-group discussions with adolescents" 99 (99): 929-937, 1999

      33 "Digest of Education of Statistics"

      34 Kim, Y., "Customers' Satisfaction Factors Regarding University Food Court Service" 7 (7): 97-110, 2004

      35 "College dining directors test ways to cut costs"

      36 Bassett R., "Autonomy and control: The co-construction of adolescent food choice" 50 (50): 325-332, 2008

      37 Bissonnette, M. M., "Adolescents' Perspectives and Food Choice Behaviors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Food Production Practices: Application of a Psychosocial Model" 33 (33): 72-82,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5 2.45 2.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8 2.37 2.735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