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기업에 있어 해외 자회사의 효율적 관리 전략의 수립과 이행이 기업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자회사의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인적자원관리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48055
2010
-
325
학술저널
1-3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다국적 기업에 있어 해외 자회사의 효율적 관리 전략의 수립과 이행이 기업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자회사의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인적자원관리에 ...
다국적 기업에 있어 해외 자회사의 효율적 관리 전략의 수립과 이행이 기업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자회사의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주로 본사주도형 전략과 현지 주도형 전략으로 나뉘어 본사-자회사간에 도입된 인사제도나 노사관계 관행들 간의 차이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며, 인적자원관리 관행과 성과를 비교하는 경우에는 의사결정의 중심이 본사, 자회사, 지역적 단위 중 어디에 있는지 등에 따라서 구분하였기에 이러한 접근법은 본사주도-현지주도의 내용을 제공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국제적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연구에서는 여전히 보편주의적 접근법과 상황주의적 접근법 중 어느 것이 보다 적합한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적자원관리의 두 가지 유형(보편주의적 관점 vs. 상황주의적 관점)과 전략적 의사결정의 두 가지 차원(본사주도형 vs. 현지주도형)을 교차하여 네 가지의 인적자원관리 유형을 제시한 후 각 유형들이 기업 성과와 맺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제도적 힘과 문화적 긴장이 강한 중국 시장 환경에서 어떤 유형의 인적자원관리 전략이 최적의 성과를 유도할 수 있는가를 탐색하기 위해 한국 노동연구원의 2008년 ‘중국 노사관계 변화와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실태연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유형과 성과(매출액)사이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던 Type1과 4 보다 Type 2와 3이 보다 중국 자회사의 성과에 긍정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일부 모델에서는 Type1이 오히려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ype 2와 3 중에서는 Type3이 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본사가 해외 자회사의 특성을 반영하여 본사가 디자인한 정책을 자회사에 적용하는 것보다, 자회사의 주도로 본사의 best practice 중 자회사에 맞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더 성과에 긍정적임을 밝혔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인적자원관리의 자율적 형성을 위한 제도적 인프라와 문화적 기반이 취약한 경우 본사 또는 현지 자회사의 주도로 현지에 독자적인 전략과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보다 본사의 제도들을 현지의 주도로 현지의 조건에 맞게 변환.조정하는 것이 경영성과를 위해 훨씬 더 효율적일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감정부조화와 직장-가정 갈등이 종합병원 임상간호사들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고몰입 인사관리가 구성원의 자발적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