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관련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5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관련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노인일자리사업 기관에 근무하는 총 160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변수로는 실무자의 직무관련 요인(업무특성, 직무여건, 운영합리성, 보상, 인간관계), 인구사회적 요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직업, 고용형태, 노인복지분야 경력, 종교)과 이직의도가 포함되었다. 분석결과, 직무관련 요인 중 보상과 운영합리성 순으로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무자의 업무에 대한 보상이 클수록, 직장의 운영합리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보상 확대 및 직장 내 운영합리성 향상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관련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노인일자리사업 기관에 근무하는 총 160명의 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관련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노인일자리사업 기관에 근무하는 총 160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변수로는 실무자의 직무관련 요인(업무특성, 직무여건, 운영합리성, 보상, 인간관계), 인구사회적 요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직업, 고용형태, 노인복지분야 경력, 종교)과 이직의도가 포함되었다. 분석결과, 직무관련 요인 중 보상과 운영합리성 순으로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무자의 업무에 대한 보상이 클수록, 직장의 운영합리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보상 확대 및 직장 내 운영합리성 향상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impact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EP) Workers" job related factors on their intentions of job turnover. Data were collected from 160 practitioners of SEP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y responded to the survey which measured socio-demographic factors, job related factors(job characteristics, job conditions, rationality management, rewards, and human relations) and intentions of job turnover. Results of regression showed that reward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factors of job turn over intention of SEP workers, followed by rationality management of workplace. That is, the greater the compensation for the work and rationality management of SEP are, the lower the turnover of SEP workers is. Some recommendations, including high rewards for the SEP practitioners and improvement of rationality management for institutions of SEP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impact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EP) Workers" job related factors on their intentions of job turnover. Data were collected from 160 practitioners of SEP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y responded to the su...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impact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EP) Workers" job related factors on their intentions of job turnover. Data were collected from 160 practitioners of SEP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y responded to the survey which measured socio-demographic factors, job related factors(job characteristics, job conditions, rationality management, rewards, and human relations) and intentions of job turnover. Results of regression showed that reward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factors of job turn over intention of SEP workers, followed by rationality management of workplace. That is, the greater the compensation for the work and rationality management of SEP are, the lower the turnover of SEP workers is. Some recommendations, including high rewards for the SEP practitioners and improvement of rationality management for institutions of SEP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섭, "회귀분석" 나남출판 2000

      2 김형섭,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19 (19): 12-224, 2005

      3 양참삼, "조직이론" 박영사 1999

      4 조상미, "조직요인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조직공정성, 조직지원인식, 상사-부하교환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7 (17): 1-27, 2010

      5 이익섭,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289-312, 2010

      6 이인재, "자활후견기관 실무자 이직의도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2 : 229-256, 2003

      7 강종수,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279-298, 2010

      8 권치영,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427-443, 2007

      9 이주재, "요양보호사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연구소 34 (34): 93-113, 2010

      10 김종란,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22 (22): 1-11, 2010

      1 김두섭, "회귀분석" 나남출판 2000

      2 김형섭,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19 (19): 12-224, 2005

      3 양참삼, "조직이론" 박영사 1999

      4 조상미, "조직요인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조직공정성, 조직지원인식, 상사-부하교환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7 (17): 1-27, 2010

      5 이익섭,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289-312, 2010

      6 이인재, "자활후견기관 실무자 이직의도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2 : 229-256, 2003

      7 강종수,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279-298, 2010

      8 권치영,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427-443, 2007

      9 이주재, "요양보호사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연구소 34 (34): 93-113, 2010

      10 김종란,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22 (22): 1-11, 2010

      11 공계순,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이직의도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9) : 7-36, 2005

      12 강은나, "사회적기업 비정규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27-48, 2010

      13 김정헌,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9) : 127-143, 1999

      14 권용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 및 이직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부학회 18 (18): 743-764, 2006

      15 김교정, "사회복지실무자의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 19 (19): 65-93, 2003

      16 김성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인과모형" (10) : 353-381, 1997

      17 설진화, "사회복지사의 보상인식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사회복지기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25 : 171-201, 2010

      18 문영주,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다중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0

      19 곽대영, "보상제도, 인간관계 및 이직기회가 여행업 종사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소재 BSP 여행사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3 (23): 37-52, 2009

      20 박상현, "보상제도 및 상사ㆍ동료와의 관계가 여행업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7 (7): 270-279, 2007

      21 서태양, "변혁적 리더십과 상사에 대한 신뢰가 여행사 종사자의 서비스개선 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107-126, 2009

      22 이형룡, "리조트직원의 경력몰입 결정요인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21 (21): 173-195, 2009

      23 송재훈, "리조트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미치는 영향: 스키리조트 레저스포츠분야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한국관광.레저학회 21 (21): 197-212, 2009

      24 이문국,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자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1) : 5-27, 2008

      25 권구영,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527-547, 2007

      26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인일자리사업의 진단과 질적성장 방안 모색" 19-50, 2010

      27 이석원, "노인일자리사업의 연차별 의료비 절감효과" 한국행정학회 41 (41): 421-424, 2007

      28 김소향,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309-327, 2009

      29 하춘광,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93-414, 2009

      30 조준행,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빈곤수준 및 소득구성에 대한 연구" (1) : 28-47, 2008

      31 함철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참여자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229-250, 2010

      32 박경순,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0 (30): 1059-1075, 2010

      33 김욱,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 하위요인과 전반적 직무만족간의 관계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4) : 221-254, 2008

      34 박영란,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들의 성역할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2) : 129-149, 2010

      35 권구영, "노인일자리 참여경험과 삶의 질 간의 관계-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8) : 51-78, 2007

      36 이석원,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시간활용 변화와 적극적 노년생활" 한국노인복지학회 (49) : 51-80, 2010

      37 박희수,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355-375, 2010

      38 박영옥,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간호학회 11 (11): 81-89, 2009

      39 박연희,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 영향 요인: 광주・전남지역 노인복지시설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241-262, 2009

      40 문영미, "노인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4 (4): 91-109, 2007

      41 김성혁, "관광기업에서 직속상관의 괴롭힘이 직원 직무수행,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이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한국관광학회 32 (32): 233-254, 2008

      42 박찬규, "골프장 종업원의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3 (13): 139-149, 2008

      43 김명숙, "간호조직에서 직무특성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격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9 (29): 1434-1444, 1999

      44 서연숙,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12) : 151-172, 2007

      45 이미애, "간호사가 지각한 보상 공정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195-204, 2008

      46 Barak, M. E, "Why Do They Leave? Modeling Child Welf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s" (28) : 548-577, 2006

      47 Price, J. L, "The Study of Turnover" Iowa State University Press 1977

      48 Smith, P. C,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Rand McNally Co 1969

      49 Nissly, J. A, "Stress, Social Support, and Workers' Intentions to Leave their Jobs in Public Child Welfare" 29 (29): 79-99, 2005

      50 Mobley, W. H, "Review and Conceptual Analysis of Employee Turnover Process" (86) : 497-503, 1979

      51 Abrams, D,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 Group: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Subjective Norms as Predictors of Workers' Turnover Intentions" (24) : 1027-1040, 1998

      52 Poter, L,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80) : 151-176, 1973

      53 Koch, J. T, "Job attachment,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New Employee: A Replication and Extension" (12) : 119-128, 1978

      54 Poulin, J,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 Supervisors and Administrators" 19 (19): 35-49, 1995

      55 Mobley, W. H,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82

      56 Cotton. L, "Employee Turnover: A Meta Analysis and Review with Implication for Research" 11 (11): 55-70, 1986

      57 Hom. P. W, "Employee Turnover"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1955

      58 Hackerman, J, "Employee Reactions to Job Characteristics" (55) : 259-286, 1971

      59 Brown, S. P,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Meta-Analysis and Assessment of Causal Effects" (30) : 63-77, 1993

      60 보건복지부, "2011년도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3 1.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