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전인문학`을 파성 설창수의 문학관을 반영한 것으로 파악하고, 그 내용과 의의를 밝히는 데 목표를 두었다. 그의 전인문학관은 1940년대부터 1990년대 만년에 이르기까지 설창수 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61340
2010
Korean
설창수 ; 전인문학 ; 진주 ; 민족문학 ; 지역문학 ; 문학 실천 ; Sul chang-su ; total-man Literature ; Jinju ; national ; Literature ; regional Literature ; Literature practice
801
KCI등재
학술저널
357-379(23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전인문학`을 파성 설창수의 문학관을 반영한 것으로 파악하고, 그 내용과 의의를 밝히는 데 목표를 두었다. 그의 전인문학관은 1940년대부터 1990년대 만년에 이르기까지 설창수 문...
이 연구는 `전인문학`을 파성 설창수의 문학관을 반영한 것으로 파악하고, 그 내용과 의의를 밝히는 데 목표를 두었다. 그의 전인문학관은 1940년대부터 1990년대 만년에 이르기까지 설창수 문학의 본질적 요소였다. 전인문학의 주체인 작가는 현실인과 역사인이 일치된 삶을 지향해야 하며, 민중과 더불어 행동하는 문학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 전인문학은 전동적(全動的)이어야 하는데, 모든 문학인에게 기회 균등화하는 문학운동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설창수 문학관의 배경으로, 의지와 내용에 대한 고민·엄숙주의적 시각의 유가적 시인 의식과, 온전한 인간이라는 르네상스적 인본주의를 찾아낼 수 있다. 곧 그는 조화된 삶, 전인적 인간에 대한 지향이 뚜렷하였고, 동서양을 아우르는 사유의 폭이 넓었다. 또한 당대적 배경으로 계급문학 진영과 민족문학 진영의 대립 구도도 살펴보았다. 설창수는 광복기 문단에서 계급문학 진영의 허구성과 민족문학 진영의 문학지상적 처신을 동시에 비판하였다. 이는 광복기의 대립적인 문학 상황 속에서 우익 진영의 민족문학을 바라보는 세밀하고 정확한 안목을 우리에게 요구하는 부분이다. 이처럼 설창수의 전인문학은 광복기의 대립적 문단 상황 속에서 현실과 시대를 보는 비판적이고 정확한 안목을 보여 주며, 시대와 현실 속에 문학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그는 지속적으로 문학 실천과 지역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의지와 행동`, 그리고 신념을 일관되게 견지하며 문학적 실천을 고민했던 예술·문화 운동가이자 시인이다. 우리는 문학의 효용을 폭넓게 고민하고 행동한 시인에 합당한 방법론으로 설창수 문학을 조명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grasped total-man literature to reflect viewpoint of literature of Pasung Sul Chang-su and was settled into aim to make clear in the result of contents and significance. As advocacy of total-man literature of him, He exposed reality conscio...
This study grasped total-man literature to reflect viewpoint of literature of Pasung Sul Chang-su and was settled into aim to make clear in the result of contents and significance. As advocacy of total-man literature of him, He exposed reality consciousness and practical willpower. This literature viewpoint was looked into warp and woof of Sul Chang-su literature discovering diachrony from 1940`s to half of 1990`s. He was a writer giving belief "literature was human". Total-man cognized complete whole existence of individual, nation, mankind and god. Because of this facts, the writer in principal body of total-man literature directed into united life in practical person with historical person and catched sight of having to literature acting together populace. Also, total-man literature was active and was unfold into literature movement to equality opportunity all of them. As the following, literature viewpoint of Sul Chang-su was outlined against a background of looking hard for stoicism poet consciousness and whole man humanism. Eventually, He was clear to directivity of harmonic life and total-man and broad with width to put together thinking. Also, An opponent face of proletarian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camp was looked against a background of the same age. He simultaneously criticised realistic property of proletarian literature and literary behavior of national literature camp in the literary circles of restoration. they were parts to ask us for detailed correctness to look national literature of the right wing camp in opponent literary situation with period of independence. As this fact, total-man literature of Sul Chang-su suggested for direct into criticise correctness perspective sighting the realities of life and the times in opponent literary situation with period of independence. He was a man to emphasis the importance of slowness literature practice and regional literature. He was valuative to anguish artist, culture, campaign person and poet to literature practice to go through with intention, activity and belief original idea. We should do lighting his literature by propriety perspective to widely agony and activity poet in the utility of litera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설창수, "혁명과 문화" 영남문학회 18 : 1960
2 권영민, "해방직후의 민족문학운동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3 이우용, "해방공간의 민족문학사론" 태학사 1991
4 신형기, "해방 직후 문학 논의의 쟁점 in: 해방전후사의 인식" 한길사 1989
5 김윤식, "해방 공간 한국 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 서울대출판부 2006
6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상사론" 일지사 1992
7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3
8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0
9 김재용,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10 구자희, "한국 현대 생태담론과 이론 연구" 새미 2005
1 설창수, "혁명과 문화" 영남문학회 18 : 1960
2 권영민, "해방직후의 민족문학운동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3 이우용, "해방공간의 민족문학사론" 태학사 1991
4 신형기, "해방 직후 문학 논의의 쟁점 in: 해방전후사의 인식" 한길사 1989
5 김윤식, "해방 공간 한국 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 서울대출판부 2006
6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상사론" 일지사 1992
7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3
8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0
9 김재용,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10 구자희, "한국 현대 생태담론과 이론 연구" 새미 2005
11 권영민, "한국 민족문학론 연구" 민음사 1988
12 박태일, "한국 근대 지역문학의 발견과 파성 설창수"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창간) : 2009
13 설창수, "처녀작품 회상―설창수편"
14 설창수, "창작의 산실―시인 설창수씨"
15 설창수, "참된 시혼은 어둠을 찢는 빛 in: 설창수 전집" 시문학사 1986
16 설창수, "지방문단의 활로―설창수 시인에게 듣는다"
17 설창수, "지방문단과 중앙문단"
18 설창수, "전인문학의 신운동단계―경향일체와 최면기의 서울지반주의" 영남문학회 8 : 1949
19 설창수, "앙가쥬망 백서"
20 설창수, "신민족문학운동론―청문진영에서의 제창" 영남문학회 5 : 1948
21 설창수, "신년에 구상하는 시 in: 설창수 전집" 시문학사 1986
22 설창수, "신과 실존 이외에" 영남문학회 17 : 1959
23 설창수, "시인이 된 동기와 이유"
24 이상옥, "시인의 위의, 시의 힘―설창수론, in: 아름다운 상처의 시학" 국학자료원 1999
25 설창수, "시의 자리" 시와비평사 (여름) : 1989
26 설창수, "시와 혁명 in: 설창수 전집" 시문학사 1986
27 설창수, "시와 지정의의 초극―시인과 시의 편아성에 대하여"
28 "시와 시인을 찾아서 4․파성 설창수편" 시와시학사 (8) : 1992
29 설창수, "시에 대한 단상" 시와시학사 (봄) : 1996
30 윤재근, "시론" 둥지 1990
31 설창수, "시대와 사람과" 시와비평사 (봄) : 1990
32 설창수, "소우주형성" 시인협회 4 : 1948
33 김춘수, "소외자의 영탄과 의지의 알레고리―동기와 파성의 시세계, in: 시의 표정" 문학과지성사 1979
34 강희근, "설창수론-남강, 그 비유를 이룬 시인, in: 오늘 우리시의 표정" 국학자료원 2000
35 설창수, "설창수 전집" 시문학사 1986
36 강희근, "설창수 시 연구 in: 경남의 시인들" 박이정 2005
37 에른스트 블로흐, "서양 중세·르네상스 철학 강의" 열린책들 2008
38 김영석, "새로운 도의 시학" 국학자료원 2006
39 설창수, "민족정신앙양 전국문화인총궐기대회 취지서"
40 설창수, "문학적 각서"
41 설창수, "문학의 뿌리" 시와비평사 (가을) : 1989
42 설창수, "문학과 종교의 연관―문학론의 일방법적 고찰" 영남문학회 6 : 1948
43 "문학 화제―2백6번째 시화전"
44 E. 카시러, "르네상스 철학에서의 개체와 우주" 민음사 1996
45 설창수, "노응(老鷹)―한라산록(漢拏山麓)"
46 김동리, "김동리대표작선집 6; 시·평론·수필·자전기" 삼성출판사 1978
47 김상선, "광복 뒤의 우리 문학 연구" 집문당 1996
48 이상옥, "경남의 비평, in: 역류하는 시학" 보고사 1996
49 김재홍, "修者斷莖―김재홍의 다시 읽는 좋은 시" 시와시학사 (56) : 2004
50 박태일, "50년대 한국 전쟁시 연구, in: 한국 근대문학의 실증과 방법" 소명출판 2004
한국 현대소설사상 연구1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과 샤머니즘
이상 소설의 사회성과 서사 구성 원리 -반복 강박과 모방 충동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 | 0.879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