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정국 신탁통치 반대 국민대회와 기독교 = Large Anti-trusteeship Meeting and Christianity under the political situation of Lib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50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hind the joy of liberation in 1945, the history of division in Korean peninsula was beginning. Moreover, the announcement of the trusteeship added to the disappointment and confusion of the Korean people who wished for independence. It wa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 and the situation of the country, to present directions to the nation, and to unite the public’s opinions. I think in the process, the national movements that led “national consensus” was the national meetings, and one of the most notable was ‘The Large anti-trusteeship Meetings.’ The anti-trusteeship national convention was ignited at the Seoul Stadium and spread to local cities, towns and villages. Thousands to tens of thousands of people gathered to shout “absolute opposition to the trusteeship” and “complete Independence” Various political parties and numerous groups joined, leaders supported by the public such as Gu Kim and Syngman Rhee took the lead, youth college students arose, government officials resigned, and gisaengs also joined the ranks by going on strike. The national rallies were places for public communication, where opinions and power were gather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gave the direction of the nation to the people.
      In the process of the Anti-Trusteeship National Congress, Christianity played a leading role, whether individually or as a group. In the liberation regime, Christianity is considered to have fulfilled its own responsibility and mission to the nation and society. Many of the leaders who led the anti-trusteeship meetings and movement were Christians, such as Mansik Cho, Koo Kim, Syngman Rhee etc. They exercised their leadership by individual qualification or by organizing political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Mobilization Committee against trusteeship, National Society for the Rapid Realization of Korean Independence. In addition, Christian communities and Christian women leaders participated the movement actively. Today we have to not only reflect on the history of the past, but also preserve and develop the precious values established by advanced people’s prayer, blood, and tears.
      번역하기

      Behind the joy of liberation in 1945, the history of division in Korean peninsula was beginning. Moreover, the announcement of the trusteeship added to the disappointment and confusion of the Korean people who wished for independence. It was very impo...

      Behind the joy of liberation in 1945, the history of division in Korean peninsula was beginning. Moreover, the announcement of the trusteeship added to the disappointment and confusion of the Korean people who wished for independence. It wa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 and the situation of the country, to present directions to the nation, and to unite the public’s opinions. I think in the process, the national movements that led “national consensus” was the national meetings, and one of the most notable was ‘The Large anti-trusteeship Meetings.’ The anti-trusteeship national convention was ignited at the Seoul Stadium and spread to local cities, towns and villages. Thousands to tens of thousands of people gathered to shout “absolute opposition to the trusteeship” and “complete Independence” Various political parties and numerous groups joined, leaders supported by the public such as Gu Kim and Syngman Rhee took the lead, youth college students arose, government officials resigned, and gisaengs also joined the ranks by going on strike. The national rallies were places for public communication, where opinions and power were gather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gave the direction of the nation to the people.
      In the process of the Anti-Trusteeship National Congress, Christianity played a leading role, whether individually or as a group. In the liberation regime, Christianity is considered to have fulfilled its own responsibility and mission to the nation and society. Many of the leaders who led the anti-trusteeship meetings and movement were Christians, such as Mansik Cho, Koo Kim, Syngman Rhee etc. They exercised their leadership by individual qualification or by organizing political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Mobilization Committee against trusteeship, National Society for the Rapid Realization of Korean Independence. In addition, Christian communities and Christian women leaders participated the movement actively. Today we have to not only reflect on the history of the past, but also preserve and develop the precious values established by advanced people’s prayer, blood, and tea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찬영, "황해도교회사" 도서출판 소망사 1995

      2 이영식, "해방정국 대한민국 국가건설과정에서의 국민대회 연구"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37 : 162-208, 2020

      3 송건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한길사 2004

      4 장금현, "해방 후 한국정치와 기독교인" 도서출판 선인 175-198, 2019

      5 이은선, "해방 후 한국기독교인들의 토착적인 사회복지 형성 연구"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37 : 76-125, 2020

      6 박명수, "해방 후 한국 기독교인의 정치 활동" 도서출판 선인 72-136, 2018

      7 "한성일보 1946년 6월 18일, 8월 2일, 9월 12일"

      8 송남헌, "한국현대정치사 제1권" 성문각 1980

      9 한국반탁·반공학생운동기념사업회, "한국학생건국운동사: 반탁·반공 학생운동 중심" 한국반탁·반공학생운동기념사업회 출판국 1986

      10 이영식, "한국장로교회와 민족운동"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9

      1 이찬영, "황해도교회사" 도서출판 소망사 1995

      2 이영식, "해방정국 대한민국 국가건설과정에서의 국민대회 연구"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37 : 162-208, 2020

      3 송건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한길사 2004

      4 장금현, "해방 후 한국정치와 기독교인" 도서출판 선인 175-198, 2019

      5 이은선, "해방 후 한국기독교인들의 토착적인 사회복지 형성 연구"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37 : 76-125, 2020

      6 박명수, "해방 후 한국 기독교인의 정치 활동" 도서출판 선인 72-136, 2018

      7 "한성일보 1946년 6월 18일, 8월 2일, 9월 12일"

      8 송남헌, "한국현대정치사 제1권" 성문각 1980

      9 한국반탁·반공학생운동기념사업회, "한국학생건국운동사: 반탁·반공 학생운동 중심" 한국반탁·반공학생운동기념사업회 출판국 1986

      10 이영식, "한국장로교회와 민족운동"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9

      11 Brown, George Thompson, "한국선교이야기" 동연 2010

      12 신복룡, "한국분단사연구(1943-1953)" 한울아카데미 2006

      13 도진순, "한국민족주의와 남북관계" 서울대출판부 1997

      14 김양선, "한국기독교해방십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종교교육부 발행 1956

      15 정석기, "한국기독교여성인물사" 쿰란출판사 1995

      16 박명수, "한국교회와 공산주의(초기에서 1970년대까지)" 18 : 83-111, 2009

      17 "중앙신문 1946년 1월 1일, 3일, 7일, 11일"

      18 "중앙대학교 홈페이지"

      19 "조선일보 1945년 11월 30일, 12월 29일, 30일, 31일; 1946년 1월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1일, 12일, 17일, 18일, 19일, 21일, 26일, 31일, 2월 1일, 8일, 3월 5일, 6 일, 24일, 4월 30일, 5월 13일, 6월 11일, 11월 3일; 1947년 1월 28일, 2월 4일, 7월 2일; 1948년 3월 7일; 1949년 7월 5일"

      20 차재명, "조선예수교장로회사기"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 1928

      21 조선일보사 출판국, "전환기의 내막" 조선일보사 1982

      22 차상진, "장로회신학생 명적비고" 평양신학교 1914

      23 "자유신문 1945년 10월 23일, 27일, 29일, 31일, 12월 30일; 1946년 1월 2일, 12월 8일"

      24 국사편찬위원회, "자료 대한민국사 2" 탐구당 1969

      25 손충무, "임영신 전기: 한강은 흐른다" 동아출판사 1972

      26 임영신박사회갑기념사업추진위원회, "임영신 박사: 빛나는 생애" 임영신박사회갑기념사업추진위원회 1959

      27 박명수, "이윤영 목사와 해방공간의 반탁·통일운동" 한국기독교역사학회 (48) : 247-301, 2018

      28 이은선, "이승만의 남선 순행과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지방 조직 확산과 기독교" 한국복음주의신학회 86 : 141-175, 2018

      29 양동안, "이승만과 대한민국 건국"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41-70, 2008

      30 유영익, "이승만 연구-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건국-"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31 윤해동, "우리역사 바로 알자 반탁운동은 분단·단정노선이다" 170-180, 1989

      32 우남실록편찬회, "우남실록(1945-1948)" 열화당 1976

      33 이영식, "올리버 R. 에비슨(Oliver R. Avison)의 생애와 한국에서의 선교활동" 28 : 150-226, 2015

      34 "영남일보 1946년 1월 15일, 17일, 3월 5일"

      35 이만열, "역사에 살아있는 그리스도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5

      36 이현희, "실력양성과 반탁반공의 애국투사 고당 조만식" (봄) : 18-22, 2002

      37 심지연, "신탁통치문제와 해방정국-반탁과 찬탁의 논리를 중심으로-" 19 : 147-161, 1985

      38 "수산경제신문 1947년 6월 25일"

      39 "서울신문 1946년 10월 26일, 3월 21일"

      40 "부인신문 1947년 6월 28일, 7월 2일"

      41 김구, "백범일지" 나남출판사 2002

      42 "민중일보 1946년 1월 4일, 13일"

      43 "매일신보 1945년 9월 14일"

      44 "동아일보 1921년 2월 27일; 1929년 1월 19일; 1945년 12월 28일, 29일, 30일, 31일; 1946년 1월 1일, 3일, 4일, 9일, 11일, 13일, 14일, 16일, 17일, 20일, 21일, 22일, 2월 16일, 3월 4일, 3월 6일, 20일, 4월 19일, 29일, 30일, 5월 12일, 13일, 6월 2일, 11월 2일; 1947년 2월 6일, 8일, 15일, 6월 20일, 25일"

      45 "동광신문 1947년 6월 26일, 1947년 6월 27일, 1947년 6월 28일"

      46 장금현,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조선기독교단 남부대회와의 관계 연구: 신탁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38 (38): 169-228, 2017

      47 이승만, "독립정신" 동서문화사 2010

      48 김지연, "독립운동가 출신 여성정치가 박현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100) : 251-287, 2019

      49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2006

      50 이철승, "대한민국 뿌리는 광복→반탁→반공이다" 125-130, 1993

      51 양동안, "대한민국 건국전후사 바로알기" 도서출판 대추나무 2019

      52 양동안, "대한민국 건국사" 현음사 2001

      53 "대동신문 1945년 11월 29일, 12월 29일, 30일; 1946년 1월 6일, 15일, 17일, 18일, 19일, 20일, 23일, 27일, 2월 1일"

      54 박현숙, "내가 걸어온 길 내가 걸어갈 길: 나의 정치백서" 신태양사 44-46, 1957

      55 임영신, "내가 걸어온 길 내가 걸어갈 길: 나의 정치백서" 신태양사 109-119, 1957

      56 박순천, "내가 걸어온 길 내가 걸어갈 길: 나의 정치백서" 신태양사 32-43, 1957

      57 조병옥, "나의 회고록" 선진 2003

      58 백남훈, "나의 일생" 신현실사 1973

      59 최기영, "김구와 기독교"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7) : 121-154, 2012

      60 "기독교대한감리회 역사 정보자료실"

      61 "기독교공보 1946년 1월 17일"

      62 오순덕, "국사 오화영의 리더십 연구 : 3·1 독립운동과 광복 후 정치에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63 "광주민보 1946년 1월 24일"

      64 "공업신문 1946년 1월 20일"

      65 조윤승, "고당 조만식 회상록" 조광출판인쇄주식회사 52-56, 1995

      66 박재창, "고당 조만식 회상록" 조광출판인쇄주식회사 203-222, 1995

      67 고당조만식선생기념사업회, "고당 조만식 회상록" 조광출판인쇄주식회사 1995

      68 송삼용, "고당 조만식" 생명의말씀사 2006

      69 "경향신문 1946년 12월 8일; 1947년 2월 1일, 4일, 6일; 1948년 1월 18일; 1972년 7월 27일"

      70 유영익, "건국대통령 이승만" 일조각 2013

      71 "가정신문 1946년 5월 5월 21일, 9월 1일; 1947년 6월 28일, 7월 9일"

      72 李炳憲, "三一運動祕史" 時事時報出版局 1959

      73 Benninghoff, H. Merrell, "The Acting Political Adviser in Korea to the Secretary of State, Seoul, 27 December, 1945"

      74 "G-2 Periodic Report(Hedadquartes USAFIK), 16 Feb., 1946, No. 154, 13"

      75 Emmons, Arthur B., "3d, to the Secretary of State, Seoul, December 30, 194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