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황석우와 李金髮의 시 비교 연구 -상징주의 시와 그로테스크 미학을 중심으로 = The comparison research on Xiyu Huang’s and Jinfa Li’s poetry -focusing on symbolism poetry and grotesque aesthet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3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20세기 초 한․중 양국의 현대시에 선구적 역할을 했던 상징주의의 대표시인 황석우(黃錫禹, 1895-1960)와 리진파(李金髮, 1900-1976)를 비교 연구 대상으로 한다. 그들은 프랑스 상징주의의 영향을 받아 시를 창작할 때 기괴하고 악마적인 시어들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징을 보이며 현실에 내재된 절망과 고통을 기괴한 이미지로 추출하고 새로운 ‘추(醜)’의 미학을 시도한 유사점이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그로테스크’이며 두 시인은 그로테스크를 통해 양국의 현대시에 신선한 미학적 요소를 불어넣었고 ‘악’과 ‘추’를 표출하는 방식을 통해서 현실 사회의 절망적이고 퇴폐한 본래 모습을 그리고자 노력했다.
      또한 본고는 그들의 부정적인 현실세계에서 벗어나기 위한 지향방법을 살펴보았다. 황석우는 구원을 믿었고 그에게 있어 자신을 구원의 공간으로 인도해 주는 구원자는 바로 ‘애인’이었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시적 화자는 자주 울고 있는 ‘약한 영’으로 그려지며 ‘광야’와 ‘묘장’ 같은 타나토스로 가득 찬 공간에서 ‘애인’을 강렬하게 호소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반면, 리진파는 구원을 믿지 않았고 오히려 죽음을 동경한다. 그의 시에서 그려지는 여성은 황석우에 시에 나타난 신성성을 가진 애인과는 다른 인간성을 가진 여성이다. 그는 자신의 생활과 그로부터 오는 삶의 비애를 여인의 형상으로 투영시켜 여성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내고 있다. 리진파에게 객체의 생명은 만물성쇠의 한 부분이며, 인간은 만물의 미소한 종류로 보잘 것 없는 존재라고 여겼으며 여러 유형의 심추(審醜)와 죽음에 대한 대량의 서술로 자신이 여기고 있는 생명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표현하며 세계에 대한 불만과 삶에 대한 절망을 죽음을 통해 도피한 것이다. 이렇게 상징주의가 한․중 근대문학의 성립과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감안할 때, 이러한 연구는 한․중 양국의 근대문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주제어: 상징주의, 그로테스크, 추, 절망, 구원
      번역하기

      본고는 20세기 초 한․중 양국의 현대시에 선구적 역할을 했던 상징주의의 대표시인 황석우(黃錫禹, 1895-1960)와 리진파(李金髮, 1900-1976)를 비교 연구 대상으로 한다. 그들은 프랑스 상징주의...

      본고는 20세기 초 한․중 양국의 현대시에 선구적 역할을 했던 상징주의의 대표시인 황석우(黃錫禹, 1895-1960)와 리진파(李金髮, 1900-1976)를 비교 연구 대상으로 한다. 그들은 프랑스 상징주의의 영향을 받아 시를 창작할 때 기괴하고 악마적인 시어들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징을 보이며 현실에 내재된 절망과 고통을 기괴한 이미지로 추출하고 새로운 ‘추(醜)’의 미학을 시도한 유사점이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그로테스크’이며 두 시인은 그로테스크를 통해 양국의 현대시에 신선한 미학적 요소를 불어넣었고 ‘악’과 ‘추’를 표출하는 방식을 통해서 현실 사회의 절망적이고 퇴폐한 본래 모습을 그리고자 노력했다.
      또한 본고는 그들의 부정적인 현실세계에서 벗어나기 위한 지향방법을 살펴보았다. 황석우는 구원을 믿었고 그에게 있어 자신을 구원의 공간으로 인도해 주는 구원자는 바로 ‘애인’이었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시적 화자는 자주 울고 있는 ‘약한 영’으로 그려지며 ‘광야’와 ‘묘장’ 같은 타나토스로 가득 찬 공간에서 ‘애인’을 강렬하게 호소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반면, 리진파는 구원을 믿지 않았고 오히려 죽음을 동경한다. 그의 시에서 그려지는 여성은 황석우에 시에 나타난 신성성을 가진 애인과는 다른 인간성을 가진 여성이다. 그는 자신의 생활과 그로부터 오는 삶의 비애를 여인의 형상으로 투영시켜 여성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내고 있다. 리진파에게 객체의 생명은 만물성쇠의 한 부분이며, 인간은 만물의 미소한 종류로 보잘 것 없는 존재라고 여겼으며 여러 유형의 심추(審醜)와 죽음에 대한 대량의 서술로 자신이 여기고 있는 생명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표현하며 세계에 대한 불만과 삶에 대한 절망을 죽음을 통해 도피한 것이다. 이렇게 상징주의가 한․중 근대문학의 성립과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감안할 때, 이러한 연구는 한․중 양국의 근대문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주제어: 상징주의, 그로테스크, 추, 절망, 구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민호, "李金髮 詩의 頹廢美에 대한 小考" 영남중국어문학회 (50) : 47-75, 2007

      2 김학동, "황석우 평전"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6

      3 김학동, "황석우 전집" 국학자료원 2016

      4 이순선, "황석우 문학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5 김학동, "한국근대시의 비교문학적 연구" 일조각 1981

      6 이승하, "한국 현대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7 유낙, "한·중 상징주의 시인 황석우와 이금발의 시 비교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2

      8 정수국, "중국의 상징주의 시문학" 한국할술정보 2008

      9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1997

      10 조르주 바타유, "에로티즘" 민음사 2004

      1 강민호, "李金髮 詩의 頹廢美에 대한 小考" 영남중국어문학회 (50) : 47-75, 2007

      2 김학동, "황석우 평전"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6

      3 김학동, "황석우 전집" 국학자료원 2016

      4 이순선, "황석우 문학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5 김학동, "한국근대시의 비교문학적 연구" 일조각 1981

      6 이승하, "한국 현대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7 유낙, "한·중 상징주의 시인 황석우와 이금발의 시 비교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2

      8 정수국, "중국의 상징주의 시문학" 한국할술정보 2008

      9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1997

      10 조르주 바타유, "에로티즘" 민음사 2004

      11 헤르베르크 마르쿠제, "에로스와 문명" 대양서적 1975

      12 지그문트 프로이트, "문화의 불안" 박영사 1974

      13 이승훈, "문학으로 읽는 문화상징사전" 푸른사상 2011

      14 윤호병, "문학과 문학의 비교-한국 현대시에 반영된 외국시의 영향과 수용" 푸른사상 2008

      15 정영운, "그로테스크의 형식, 내용, 수용" 중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 : 149-169, 2001

      16 김혜련, "그로테스크의 시각성과 존재론적 함의" 한국가톨릭철학회 (12) : 203-232, 2009

      17 필립 톰슨, "그로테스크" 서울대출판부 1986

      18 李金髮, "飄零閑筆" 臺灣僑聯出版社 1964

      19 김은전, "韓國象徵主義詩硏究" 한샘 1991

      20 杜格靈, "詩問答" 文藝畫報 1935

      21 李金髮, "異國情調" 華夏出版社 2008

      22 河紅聯, "中韓象徵主義詩人-李金髮․黃錫禹之比較" 延邊大學 2006

      23 朱自淸, "中國新文學大系․詩集" 上海良友圖書印刷公司 1936

      24 권유성, "1920년대 초기 황석우 시의 비유 구조 연구" 국어국문학회 (142) : 243-269,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