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부터 거래실무계에서 활용되기 시작한 담보신탁은, 근저당권에 비해 담보설정비용이 저렴하고, 실행절차가 간편하며, 특히 2001년부터 대법원이 일관되게 긍정하고 있는도산절연 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73310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5-66(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부터 거래실무계에서 활용되기 시작한 담보신탁은, 근저당권에 비해 담보설정비용이 저렴하고, 실행절차가 간편하며, 특히 2001년부터 대법원이 일관되게 긍정하고 있는도산절연 효...
1990년대부터 거래실무계에서 활용되기 시작한 담보신탁은, 근저당권에 비해 담보설정비용이 저렴하고, 실행절차가 간편하며, 특히 2001년부터 대법원이 일관되게 긍정하고 있는도산절연 효과로 인하여 채무자의 도산절차의 구속력을 회피하고자 하는 채권자 측의 주도로 더욱 사용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담보신탁의 도산절연을 인정할 경우 채무자가 저렴하게 자금조달 수단을 얻을 수 있어다른 채권자들에게도 일반적 이익이 될 수 있고, 궁박한 채무자가 금융을 얻기 쉬워질 수있으며, 판례의 변경은 시장참여자의 신뢰보호 문제상 큰 혼란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대법원의 담보신탁 도산절연 판례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담보신탁의 도산절연을 인정하게 될 경우 채무자의 계속기업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높음에도 담보신탁 채권자의 버티기 전략에 따라 회생이 실패하는 채무자가 발생하는 부작용이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채무자는 담보신탁 채권자에 대하여 도산절차의 구속력이라는 방패가 없어 회생절차에서 당사자들이 과다한 거래 비용을 지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담보신탁이 근저당권 등 다른 담보에 비해 저렴한 자금조달 수단임을 인정할 수 있는 실증적인 근거는 찾기 어렵고, 궁박한 채무자에 대해 담보신탁 제공 대가 구제금융이라는 금융특혜를 베푸는 것이 사회적으로 효율적이라고 보기도 어려우며, 판례가 법리적으로 잘못되었다면 법치주의 원칙상 이를 변경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특히 담보신탁의 도산절연 판례를 변경한다고 하여 특정 시장참여자에게 감내하기 어려운 불이익이 온다고 보기 어렵고, 기존의 사례 등을 보더라도 시장은 판례 변경의 충격을 서서히 흡수하여 받아들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법원은 이미 2018년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판례 변경을 시사하는 판단을 한 바 있어 시장참여자가 현시점에서 판례 변경을 전혀 예상할 수 없었다고도할 수 없다. 따라서 도산법리에 맞지 않고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담보신탁 도산절연 긍정 대법원 판례는 변경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욱, "회생절차에 있어서 청산가치보장의 원칙" 한국경영법률학회 26 (26): 305-338, 2016
2 서울회생법원 재판실무연구회, "회생사건실무 상권" 박영사 2019
3 박준, "회사채 관련 법제의 개선" 한국상사법학회 36 (36): 63-98, 2017
4 윤진수, "판례의 무게―판례의 변경은 얼마나 어려워야 하는가?―" 한국법철학회 21 (21): 131-204, 2018
5 최수정, "타인 채무의 담보를 위하여 신탁을 설정한 위탁자의 지위" 법무부 (101) : 69-90, 2023
6 안성포, "채권금융기관에 의한 담보신탁의 활용" 한국증권법학회 13 (13): 293-319, 2012
7 이동진, "은행거래 표준약관 근저당권설정비용부담조항의 직권 개정 - 불공정성 판단기준과 표준약관 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155 : 165-198, 2016
8 이정선, "유언대용신탁과 유류분의 관계 재론 - 영미법상 ‘철회가능신탁’과의 비교를 통한 시론적 고찰 -" 한국사법학회 29 (29): 103-129, 2022
9 이정선, "우리나라 저당권과 부동산담보신탁 - Mortgage와 Deed of Trust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연세법학회 (39) : 369-397, 2022
10 함대영, "신탁형 자산유동화에서의 진정양도 판단" 66-84, 2010
1 김경욱, "회생절차에 있어서 청산가치보장의 원칙" 한국경영법률학회 26 (26): 305-338, 2016
2 서울회생법원 재판실무연구회, "회생사건실무 상권" 박영사 2019
3 박준, "회사채 관련 법제의 개선" 한국상사법학회 36 (36): 63-98, 2017
4 윤진수, "판례의 무게―판례의 변경은 얼마나 어려워야 하는가?―" 한국법철학회 21 (21): 131-204, 2018
5 최수정, "타인 채무의 담보를 위하여 신탁을 설정한 위탁자의 지위" 법무부 (101) : 69-90, 2023
6 안성포, "채권금융기관에 의한 담보신탁의 활용" 한국증권법학회 13 (13): 293-319, 2012
7 이동진, "은행거래 표준약관 근저당권설정비용부담조항의 직권 개정 - 불공정성 판단기준과 표준약관 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155 : 165-198, 2016
8 이정선, "유언대용신탁과 유류분의 관계 재론 - 영미법상 ‘철회가능신탁’과의 비교를 통한 시론적 고찰 -" 한국사법학회 29 (29): 103-129, 2022
9 이정선, "우리나라 저당권과 부동산담보신탁 - Mortgage와 Deed of Trust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연세법학회 (39) : 369-397, 2022
10 함대영, "신탁형 자산유동화에서의 진정양도 판단" 66-84, 2010
11 이중기, "신탁법" 삼우사 2022
12 정순섭, "신탁법" 지원출판사 2021
13 이중기, "신탁법" 삼우사 2007
14 한민, "신용위험 관리의 법적 쟁점" 69-88, 2020
15 고일광, "부동산신탁에 관한 회생절차상 취급 - 부동산담보신탁의 경우를 중심으로 -" 사법발전재단 1 (1): 59-117, 2009
16 윤미영, "부동산신탁, 부동산금융의 현황과 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87-324, 2012
17 김상용, "부동산담보신탁제도개발의 필요성과 법적문제점 검토" 5 : 659-685, 1992
18 송각엽, "부동산담보신탁의 우선수익권에 대한 고찰" 27 : 913-932, 2020
19 김원순, "부동산담보신탁에서의 수익권의 성질에 대한 검토" 법학연구원 30 (30): 319-370, 2020
20 장현옥, "부동산담보신탁에 관한 연구" 10 : 519-536, 1998
21 최수정, "부동산담보신탁상 우선수익권의 성질과 우선수익권질권의 효력 - 대법원 2017. 6. 22. 선고 2014다225809 전원합의체 판결을 계기로 -" 대한변호사협회 (470) : 40-59, 2017
22 나인성, "부동산담보신탁상 우선수익권의 법적 성질" 9 : 409-455, 2019
23 이석, "부동산금융의 최신 동향" 35-54, 2018
24 송상열, "부동산개발사업 PF대출에 따른 리스크 관리방안" (92) : 23-31, 2009
25 양회직, "부동산 담보신탁의 도산절연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18. 10. 18. 선고 2016다220143 판결-" 법학연구소 35 (35): 139-160, 2019
26 김상명, "부동산 담보신탁에서 위탁자인 채무자가 도산하는 경우의 취급" 법과정책연구원 24 (24): 25-53, 2018
27 김병두, "부동산 담보신탁에 관한 관견" 사단법인 한국신탁학회 4 (4): 1-58, 2022
28 양시호, "변제자대위에서 담보신탁의 위탁자와 인적 보증 사이의 관계" (131) : 168-206, 2022
29 고학수 ; 최준규, "법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판례의 변경" 민사판례연구회 (36) : 1013-1082, 2014
30 이동진, "법경제학 이론과 응용 [Ⅱ]" 해남 185-236, 2013
31 김성용, "법경제학 이론과 응용" 해남 573-627, 2013
32 김관기, "미국 파산법개론" 박영사 2016
33 오영걸, "리부트 - 대법원 2001. 7. 13. 선고 2001다9267 판결 -" 법조협회 71 (71): 317-343, 2022
34 김두얼, "로널드 코즈의“사회적 비용의 문제”다시 읽기" 한국법경제학회 10 (10): 3-23, 2013
35 김성용, "도산판례백선" 박영사 131-133, 2021
36 이정선, "담보신탁의 특징과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7
37 정소민, "담보신탁의 법리에 관한 비판적 고찰" 법무부 (85) : 87-115, 2019
38 이원삼, "담보신탁의 도산절연에 대한 고찰" 한국상사판례학회 32 (32): 237-266, 2019
39 이혜원, "담보신탁의 도산절연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40 윤진수, "담보신탁의 도산절연론 비판" 한국사법학회 25 (25): 697-748, 2018
41 김기홍, "담보신탁에 따른 공매절차에 대한 체육시설법 제27조의 적용 여부 - 대법원 2018. 10. 18. 선고 2016다220143 전원합의체 판결 -" 대한변호사협회 (485) : 119-139, 2019
42 이계정, "담보신탁과 분양보증신탁에 관한 연구" 사법발전재단 1 (1): 83-127, 2017
43 이중기, "담보신탁과 담보권신탁-부종성과 신탁관리인의 역할, 도산격리성을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14 (14): 659-690, 2013
44 문혜영, "담보신탁과 담보권신탁에 대한 연구" 대한변호사협회 (509) : 142-162, 2022
45 박준, "금융거래와 법" 박영사 2022
46 Jackson, Thomas, "Bankruptcy, Non-Bankruptcy Entitlements, and the Creditors’ Bargain" 91 (91): 857-907, 1982
47 최효종 ; 김소연, "2010년대 골프장 회생절차에 대한 실증연구" 법조협회 67 (67): 465-513, 2018
인공지능과 책임공백에 관한 법경제학적 연구: 소비재로서 자동화 기술의 대중화가 초래하는 변화에 관한 분석을 중심으로
플랫폼 기업의 내부 정보 활용과 이에 대한 규제가 사회적 후생에 미치는 영향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권리금회수기회 보호규정의 문제점: 입법론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조세행정에 관한 경험적 연구: 납세자에 대한 구제 절차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