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teaching)역량 프레임 제안 = Teaching Competencies of University Professors in Future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18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represent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he researcher's council.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derived the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of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according to the social needs of future social universities. Next, according to the social needs of future social universities, the teaching competency required for university professors was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is theoretical argument, the concept of teaching competency of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was defined and its sub-elements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eaching competency frame of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was proposed with 8 capabilities in 3 areas including 2 ability to respond to change, 2 ability to promote innovation, and 4 ability to instruct. Through the theoretical basis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plan will be established to prepare for the instability of the uncertain futu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nnovation and change strategies of each university will be established, and class innovation strategies will be establish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represent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he researcher's council.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represent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he researcher's council.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derived the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of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according to the social needs of future social universities. Next, according to the social needs of future social universities, the teaching competency required for university professors was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is theoretical argument, the concept of teaching competency of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was defined and its sub-elements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eaching competency frame of professors in the future society was proposed with 8 capabilities in 3 areas including 2 ability to respond to change, 2 ability to promote innovation, and 4 ability to instruct. Through the theoretical basis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plan will be established to prepare for the instability of the uncertain futu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nnovation and change strategies of each university will be established, and class innovation strategies will be establish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이론적 근거 탐색을 문헌분석과 연구자 협의를 통해 수행하였다. 미래 사회 변화 및 교수역량과 관련하여 이미 활발한 주장 및 논의들이 진행되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고찰하고 미래 사회의 변화를 탐색하여 교수역량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먼저,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주는 함의를 먼저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 논거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하위요소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으로서 변화대응역량 2개 능력, 혁신추진역량 2개 능력, 수업역량 4개 능력 등 3개 영역 8개 능력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함양 계획을 세워 4차 산업혁명 시대 불확실한 미래가 갖는 불안정성에 대비하고, 각 대학의 혁신과 변화 전략을 수립하며, 학생의 필요와 시대적 요구에 맞는 수업 혁신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이론적 근거 탐색을 문헌분석과 연구자 협의를 통해 수행하였다. 미래 사회 변화 및 교수역량과 관련하여 이...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이론적 근거 탐색을 문헌분석과 연구자 협의를 통해 수행하였다. 미래 사회 변화 및 교수역량과 관련하여 이미 활발한 주장 및 논의들이 진행되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고찰하고 미래 사회의 변화를 탐색하여 교수역량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먼저,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주는 함의를 먼저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 논거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하위요소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으로서 변화대응역량 2개 능력, 혁신추진역량 2개 능력, 수업역량 4개 능력 등 3개 영역 8개 능력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함양 계획을 세워 4차 산업혁명 시대 불확실한 미래가 갖는 불안정성에 대비하고, 각 대학의 혁신과 변화 전략을 수립하며, 학생의 필요와 시대적 요구에 맞는 수업 혁신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은주,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역량 탐구" 대한사고개발학회 5 (5): 107-134, 2009

      2 하오선, "학습자 관점에서의 대학교수 강의역량 요인 도출 및 강의 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교육종합연구원 15 (15): 1-26, 2017

      3 강경종,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e-Learning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모형: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를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103-134, 2005

      4 노혜란,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수 역량(teaching competency) 모델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7): 1-28, 2004

      5 백종남,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융합학회 11 (11): 331-339, 2020

      6 홍효정,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위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도출" 한국교육공학회 32 (32): 391-425, 2016

      7 엄미리, "대학 교원의 역량 분석을 통한 교수지원 프로그램 방향성 제고: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을 중심으로" 한독교육학회 17 (17): 21-45, 2012

      8 강경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88-98, 2017

      9 엄우용, "국내 사립 종합대학교 교원의 역량 규명 사례" 한국교육공학회 31 (31): 869-907, 2015

      10 최미순,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 연구: S대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353-1373, 2020

      1 오은주,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역량 탐구" 대한사고개발학회 5 (5): 107-134, 2009

      2 하오선, "학습자 관점에서의 대학교수 강의역량 요인 도출 및 강의 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교육종합연구원 15 (15): 1-26, 2017

      3 강경종,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e-Learning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모형: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를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103-134, 2005

      4 노혜란,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수 역량(teaching competency) 모델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7): 1-28, 2004

      5 백종남,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융합학회 11 (11): 331-339, 2020

      6 홍효정,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위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도출" 한국교육공학회 32 (32): 391-425, 2016

      7 엄미리, "대학 교원의 역량 분석을 통한 교수지원 프로그램 방향성 제고: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을 중심으로" 한독교육학회 17 (17): 21-45, 2012

      8 강경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88-98, 2017

      9 엄우용, "국내 사립 종합대학교 교원의 역량 규명 사례" 한국교육공학회 31 (31): 869-907, 2015

      10 최미순,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 연구: S대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353-1373, 2020

      11 서금택, "교수자 자가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49-158, 2019

      12 정인호,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교수 직급별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7 (7): 1-22, 2012

      13 양은하,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변화필요도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6 (26): 25-52, 2010

      14 이현영, "공과대학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진단도구 개발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8 (28): 439-469, 2012

      15 W. Lim., "The study of the core teaching competency model for the professor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7

      16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rrency 2017

      17 D. E. Tigelaa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ramework for teaching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48 (48): 253-268, 2004

      18 S. K. Baek, "The Institute Ministry of Education" 2016

      19 D. C. McClelland,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28 (28): 1-14, 1973

      20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Terminology of Educational Psychology" Hakjisa 2000

      21 P. Mishra,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108 (108): 1017-1054, 2006

      22 J. D. Klein, "Instructor competencies: Standards for face to face, online, and blended settings" IAP 2004

      23 L. S. Patricia, "Instruction design" John Wiley & Sons. Inc. 1999

      24 임유진, "IPA 기법을 활용한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교육발전연구소 28 (28): 45-72, 2018

      25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HRD Terminology Dictionary" Joongang Economy 2010

      26 D. D. Dubois,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Inc 1993

      27 L. Spencer, "Competency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and Sons, Inc 1993

      28 임유진, "A대학 교수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연구" 교육과학연구소 50 (50): 1-23, 2019

      29 이원준, "4차 산업혁명의 논의와 경영 및 마케팅 관리의 변화" 한국경영학회 22 (22): 177-194, 2018

      30 강경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분석 연구: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49-82, 2019

      31 H. Heo, "21st century learner and teacher competencies modeling"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1

      32 Ji-Yeon LEE, "21st Century Learners' Core Competencies and Challenges for Korean Education" Korean Physical Society 22 (22): 13-,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5.85 5.8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7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