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인호, "황진이-최인호 중단편소설전집2" 문학동네 2002
2 서세린, "합치라는 환영-대학생 담론과 1970년대 최인호 문학-"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32) : 161-192, 2022
3 오세영, "한국현대詩사" 민음사 398-, 2007
4 최인호, "타인의 방-최인호 중단편 소설전집1" 문학동네 2002
5 곽상순, "최인호 중편소설에 나타난 자유의 문제 -「무서운 복수(複數)」와 「깊고 푸른 밤」을 대상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77) : 37-66, 2020
6 김창남, "청년문화의 역사와 과제" 문화과학사 173-185, 2004
7 박진우, "중립의 욕망 : 롤랑 바르트, 정치적 삶과 방식에 대하여" 21 (21): 228-247, 2017
8 김진영, "중립 개념을 통해 본 롤랑 바르트의 사진론-『밝은 방』을 중심으로" 서울대 2016
9 롤랑 바르트, "중립 :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강의 1977-78" 동문선 36-105, 2004
10 김지혜, "조숙(早熟)과 만숙(晩熟)의 경계 - 1970년대 최인호 소설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59 : 247-273, 2014
1 최인호, "황진이-최인호 중단편소설전집2" 문학동네 2002
2 서세린, "합치라는 환영-대학생 담론과 1970년대 최인호 문학-"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32) : 161-192, 2022
3 오세영, "한국현대詩사" 민음사 398-, 2007
4 최인호, "타인의 방-최인호 중단편 소설전집1" 문학동네 2002
5 곽상순, "최인호 중편소설에 나타난 자유의 문제 -「무서운 복수(複數)」와 「깊고 푸른 밤」을 대상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77) : 37-66, 2020
6 김창남, "청년문화의 역사와 과제" 문화과학사 173-185, 2004
7 박진우, "중립의 욕망 : 롤랑 바르트, 정치적 삶과 방식에 대하여" 21 (21): 228-247, 2017
8 김진영, "중립 개념을 통해 본 롤랑 바르트의 사진론-『밝은 방』을 중심으로" 서울대 2016
9 롤랑 바르트, "중립 :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강의 1977-78" 동문선 36-105, 2004
10 김지혜, "조숙(早熟)과 만숙(晩熟)의 경계 - 1970년대 최인호 소설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59 : 247-273, 2014
11 죠지 브렌커트, "정치적 자유" 세종출판사 246-, 2002
12 에리히 프롬, "자유로부터의 도피" 휴머니스트출판그룹 171-172, 2021
13 조영란, "유랑하는 청년과 여성 몸-장소라는 로컬리티 - 최인호 초기 중단편 소설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3) : 387-411, 2014
14 지그문트 바우만, "유동하는 공포" 웅진씽크빅 2009
15 프랭크 푸레디, "우리는 왜 공포에 빠지는가? : 공포문화 벗어나기" 이학사 151-, 2011
16 임지현, "우리 안의 파시즘" 삼인 49-63, 2016
17 빌헬름 라이히, "오르가즘의 기능" 그린비 188-, 2005
18 김은하, "예외상태로서의 박정희 시대와 남성 주체의 형성 - 최인호의 초기작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51) : 673-700, 2016
19 김상봉, "서로주체성의 이념" 도서출판 길 176-177, 2007
20 김명수, "발전주의는 언제 일상이 되었는가?: 도시 중산층 가정성의 확립으로 본 현대 정착의 양상과 시간성" 비판사회학회 (131) : 126-171, 2021
21 대통령비서실편,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제7집" 대통령비서실 50-52, 1970
22 황병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 : 근대화 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23 송은영, "대중문화 현상으로서의 최인호 소설 -1970년대 청년문화/문학의 스타일과 소비풍속" 상허학회 15 : 419-445, 2005
24 뱅상 세스페데스, "남자답지 않을 권리 : 강요된 남성성에 대한 철학적 도선" 명랑한 지성 77-, 2013
25 조지 L.모스, "남성의 이미지 : 현대남성성의 창조" 문예출판사 98-109, 2004
26 김종욱, "근대화의 유혹과 개인적 자유 사이에서의 줄다리기" 40-53, 2000
27 장문석, "근대의 경계에서 독재를 읽다" 그린비 2006
28 박형신,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 공포 감정의 거시사회학" 한길사 71-79, 2015
29 잭 바바렛, "감정과 사회학" 이학사 9-, 2009
30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 56-57, 2000
31 최인호, "靑年文化 선언"
32 정영진, "4.19혁명의 투시도법- 1950년대 법감정과 숨은 주체 -" 한국문학연구학회 (72) : 301-335, 2020
33 민족문학사연구소 현대문학분과, "1970년대 문학 연구" 소명출판 443-462, 2000